목차
Ⅰ. 국제교육협력의 의의와 중요성
Ⅱ. 국제교육교류 관련기관 현황
가. 교육부 국제교육협력관실
나. 국제교육진흥원
다. 각 대학교
라. 시 도 교육청
마. UNESCO 한국위원회
바. 한국교육개발원
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차. 한국학술진흥재단(Korea Research Foundation)
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타. 한미교육위원단
Ⅲ. 국제교육협력 추진 현황 및 계획
1. 국가간 협력(bilateral cooperation)
2.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교육협력(Multilateral Cooperation)
3. 재외동포교육
4. 유학생 정책
Ⅳ. 국제교육협력 추진전략(발전방향)
가. 국제전문인력 양성체제의 구축
나. 국제교육협력 추진기관의 역할 재조정
다. 국제교육협력 네트워크 구축
라. 유학생 유치 기반 구축
마. 인접국가와의 교류 협력 확대 우선
바. 재정 투자 확대
참 고 문 헌
Ⅱ. 국제교육교류 관련기관 현황
가. 교육부 국제교육협력관실
나. 국제교육진흥원
다. 각 대학교
라. 시 도 교육청
마. UNESCO 한국위원회
바. 한국교육개발원
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차. 한국학술진흥재단(Korea Research Foundation)
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타. 한미교육위원단
Ⅲ. 국제교육협력 추진 현황 및 계획
1. 국가간 협력(bilateral cooperation)
2.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교육협력(Multilateral Cooperation)
3. 재외동포교육
4. 유학생 정책
Ⅳ. 국제교육협력 추진전략(발전방향)
가. 국제전문인력 양성체제의 구축
나. 국제교육협력 추진기관의 역할 재조정
다. 국제교육협력 네트워크 구축
라. 유학생 유치 기반 구축
마. 인접국가와의 교류 협력 확대 우선
바. 재정 투자 확대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경희대, 서강대, 중앙대, 한양대)에 '96~2000년간 760억원을 지원하는 국제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이 밖에도 국제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국제 중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국제 전문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인적자원(예 : 외교관, 상사원 등 외국근무자의 자녀)이 국제전문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교사 및 교육 행정가를 국외 교육기관에 파견하여 해외에서 인적자원 개발에 필요한 정책 아이디어와 경험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재외동포교육기관에 대한 효율적 지원체제 구축(해외교육청 설치 방안 등)으로 560만 재외동포의 인적자원을 개발하는 방안 등이다. 교육부는 이와 같은 방안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국제 전문 인력 양성체제 구축방안을 정책연구 추진, 설문조사 등으로 통한 의견수렵 절차를 거쳐 마련할 계획이다.
나. 국제교육협력 추진기관의 역할 재조정
국제교육협력분야가 워낙 광범위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서에서 독자적으로 다루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여러 부처에서 비슷한 협력 업무를 중복하여 추진함으로써 豫算과 人力의 非效率的인 문제도 있을 뿐 아니라 외국에서나 국내인들 조차 어느 부서에서 어떤 협력을 담당하는지 잘 알지 못하는 등 혼선을 빚고 있다. 예를 들면 韓國學에 대한 支援을 외교통상부 산하단체인 한국국제교류재단과 교육부 산하단체인 한국 학술 진흥재단 그리고 문화관광부 등에서 산발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재외동포교육 지원 역시 교육부 직속 국제교육진흥원과 외교통상부 산하단체인 재외동포재단에서 중복 추진하고 있음을 볼 때 아직도 국가 차원에서 국제협력에 대한 방향 정립이 안되고 있다는 증거로밖에 볼 수 없다. 그러므로 국제교육협력기관에 대하여도 역할을 재조정하고, 구조 개편을 하여야 한다.
다. 국제교육협력 네트워크 구축
국내에 국제교육교류협력을 추진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기관은 셀 수 없이 너무나 많다. 정책을 다루는 중앙부처(교육부, 외교통상부, 과기부, 문화관광부 등)가 있고 專門的인 硏究機關이나 國際敎育協力機構가 있는가 하면, 이를 지원하거나 집행하는 기관, 교류 협력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기관, 대학 및 기업체 등이 있는데, 제각기 역할은 다르지만 사실상 相互 密接한 關聯이 있으며, 서로의 역할에 대한 情報의 必要性과 관심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관간의 원활한 情報流通 Channel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그 기관 나름대로의 Know-how나 高貴한 情報들이 다른 관련 기관에 제공되지 못하고 死藏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국가차원에서 각 기관과의 종합적인 정보 Network나 공동 협의체를 구성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중장기적으로 組織間 情報共有를 원활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제 교육 협력사업을 총괄하는 통합기구 설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국제교육협력 사업을 하는 기관간, 예를 들면 대학의 국제교류협력 협의체, 시도교육청의 국제교류협력 협의체, 연구기관의 국제교육협력 협의체 조직이 시급하다.
라. 유학생 유치 기반 구축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우리 국민들이 외국에 나가지 않고도 외국인과의 직접 접촉 기회를 가질 수 있고, 이들을 지한친한 인사로 확보할 수 있으며, 우리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럼에도 유학생을 많이 유치하지 못하여 國際收支赤子가 1999년도에 7.5억불이나 되었다. 이의 주요 요인은 우리대학교의 敎育水準이 國際水準에 未達되고 있고, 英語 講義가 不足하며, 기숙사 등 生活 便宜 施設이 未備하고, 기타 學金등 留學生 서비스 體系가 未洽 하는 등 유학생 誘致 環境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유학생 유치 환경을 개선하는 데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교육의 세계화에 도달하는 첫 걸음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교육부는 대학의 유학생 유치 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동 조사 내용을 기초로 유학생 유치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획기적으로 유학생 유치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 밖에 국내에서 수학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이 우리나라에 자국의 문화를 소개할 기회를 제공하여 우리국민의 국제이해교육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마. 인접국가와의 교류 협력 확대 우선
지금까지 우리는 교육에 대한 교류 협력을 전 세계가 거의 비슷한 형태인 미국이나 서구 중심으로 하여왔기 때문에 다른 나라와의 差別性에서 뒤지고 競爭力 또한 갖추지를 못하고 있다. 냉전종식 이후 국제관계에 있어서 안보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경제협력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제경제가 배타적 지역블록화가 가속화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아태지역에 대한 국제협력의 비중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바. 재정 투자 확대
교육분야에 있어서 당면한 중요 현안사항이 너무 많아 財政確保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國際分野에 대한 財政投資가 상당히 劣惡한 실정이다. 그러나 다가오는 21세기는 國土와 天然資源이 이미 制限된 상태에서 知識을 基盤으로 하여 최첨단 물질을 개발하여야 하는 지식기반 시대이기 때문에 인력 개발에 치중하여야 할 것이며 이는 국제간 교류와 협력을 통해서 보다 接近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國家競爭力을 强化하고 國益을 圖謀하기 위해서는 다른 선진국과 같이 국제교육분야에 財政投資를 强化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교육부 (1999), 외국인 유학생 정책 개선 종합연구
교육부 (2000), 대학의 국제화 및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 방안 연구
교육부 (1999), 아태지역 국가간 학술 및 교육교류 확대방안
교육부 (2000), 국제교육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기구 활용방안 연구
교육부 국제교육협력관실 (1999), '99년도 유학관련 통계자료
교육부 국제교육협력관실 (1999), 외국대학과의 자매결연 체결 및 국내외 대학간 학점상호 교류 현황
김석현 (1999), 국제교육협력 현황과 발전방향(교육부 내부자료)
대학교육협의회 (1999), 대학간 교류 활성화 및 고등교육 국제비교 연구
문부성 학술국제국 (1998), 일본의 국제교류
나. 국제교육협력 추진기관의 역할 재조정
국제교육협력분야가 워낙 광범위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서에서 독자적으로 다루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여러 부처에서 비슷한 협력 업무를 중복하여 추진함으로써 豫算과 人力의 非效率的인 문제도 있을 뿐 아니라 외국에서나 국내인들 조차 어느 부서에서 어떤 협력을 담당하는지 잘 알지 못하는 등 혼선을 빚고 있다. 예를 들면 韓國學에 대한 支援을 외교통상부 산하단체인 한국국제교류재단과 교육부 산하단체인 한국 학술 진흥재단 그리고 문화관광부 등에서 산발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재외동포교육 지원 역시 교육부 직속 국제교육진흥원과 외교통상부 산하단체인 재외동포재단에서 중복 추진하고 있음을 볼 때 아직도 국가 차원에서 국제협력에 대한 방향 정립이 안되고 있다는 증거로밖에 볼 수 없다. 그러므로 국제교육협력기관에 대하여도 역할을 재조정하고, 구조 개편을 하여야 한다.
다. 국제교육협력 네트워크 구축
국내에 국제교육교류협력을 추진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기관은 셀 수 없이 너무나 많다. 정책을 다루는 중앙부처(교육부, 외교통상부, 과기부, 문화관광부 등)가 있고 專門的인 硏究機關이나 國際敎育協力機構가 있는가 하면, 이를 지원하거나 집행하는 기관, 교류 협력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기관, 대학 및 기업체 등이 있는데, 제각기 역할은 다르지만 사실상 相互 密接한 關聯이 있으며, 서로의 역할에 대한 情報의 必要性과 관심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관간의 원활한 情報流通 Channel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그 기관 나름대로의 Know-how나 高貴한 情報들이 다른 관련 기관에 제공되지 못하고 死藏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국가차원에서 각 기관과의 종합적인 정보 Network나 공동 협의체를 구성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중장기적으로 組織間 情報共有를 원활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제 교육 협력사업을 총괄하는 통합기구 설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국제교육협력 사업을 하는 기관간, 예를 들면 대학의 국제교류협력 협의체, 시도교육청의 국제교류협력 협의체, 연구기관의 국제교육협력 협의체 조직이 시급하다.
라. 유학생 유치 기반 구축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우리 국민들이 외국에 나가지 않고도 외국인과의 직접 접촉 기회를 가질 수 있고, 이들을 지한친한 인사로 확보할 수 있으며, 우리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럼에도 유학생을 많이 유치하지 못하여 國際收支赤子가 1999년도에 7.5억불이나 되었다. 이의 주요 요인은 우리대학교의 敎育水準이 國際水準에 未達되고 있고, 英語 講義가 不足하며, 기숙사 등 生活 便宜 施設이 未備하고, 기타 學金등 留學生 서비스 體系가 未洽 하는 등 유학생 誘致 環境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유학생 유치 환경을 개선하는 데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교육의 세계화에 도달하는 첫 걸음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교육부는 대학의 유학생 유치 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동 조사 내용을 기초로 유학생 유치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획기적으로 유학생 유치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 밖에 국내에서 수학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이 우리나라에 자국의 문화를 소개할 기회를 제공하여 우리국민의 국제이해교육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마. 인접국가와의 교류 협력 확대 우선
지금까지 우리는 교육에 대한 교류 협력을 전 세계가 거의 비슷한 형태인 미국이나 서구 중심으로 하여왔기 때문에 다른 나라와의 差別性에서 뒤지고 競爭力 또한 갖추지를 못하고 있다. 냉전종식 이후 국제관계에 있어서 안보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경제협력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제경제가 배타적 지역블록화가 가속화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아태지역에 대한 국제협력의 비중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바. 재정 투자 확대
교육분야에 있어서 당면한 중요 현안사항이 너무 많아 財政確保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國際分野에 대한 財政投資가 상당히 劣惡한 실정이다. 그러나 다가오는 21세기는 國土와 天然資源이 이미 制限된 상태에서 知識을 基盤으로 하여 최첨단 물질을 개발하여야 하는 지식기반 시대이기 때문에 인력 개발에 치중하여야 할 것이며 이는 국제간 교류와 협력을 통해서 보다 接近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國家競爭力을 强化하고 國益을 圖謀하기 위해서는 다른 선진국과 같이 국제교육분야에 財政投資를 强化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교육부 (1999), 외국인 유학생 정책 개선 종합연구
교육부 (2000), 대학의 국제화 및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 방안 연구
교육부 (1999), 아태지역 국가간 학술 및 교육교류 확대방안
교육부 (2000), 국제교육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기구 활용방안 연구
교육부 국제교육협력관실 (1999), '99년도 유학관련 통계자료
교육부 국제교육협력관실 (1999), 외국대학과의 자매결연 체결 및 국내외 대학간 학점상호 교류 현황
김석현 (1999), 국제교육협력 현황과 발전방향(교육부 내부자료)
대학교육협의회 (1999), 대학간 교류 활성화 및 고등교육 국제비교 연구
문부성 학술국제국 (1998), 일본의 국제교류
추천자료
- 한국교육을 위한 세계교육의 고찰
- [한국어교육]원격교육 방식을 통한 한국어 교재개발 및 교사교육
- [인권교육][인권존중][인권침해][인권][인권교육 목표][인권교육 방법][효과적 인권교육을 위...
- [직업훈련][직업교육][직업훈련(직업교육) 평가][직업훈련(직업교육) 강화방안]직업훈련(직업...
- [영어]영어교육(영어학습)의 의의, 영어교육(영어학습)의 실패요인, English Cafe(영어카페, ...
- [미국교육개혁][미국교육제도][미국교육과정][미국교육철학]미국교육의 목표, 미국교육의 제...
-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교육혁신위원회, 노무현정부(참여정부) 교육개혁의 중요성, 노무현정...
- [인권교육][인권][인권교육 사례][학교교육과정][인권존중]인권교육의 의미, 인권교육의 중요...
- [교육][교육통계][교육규제][교육법규][교육투자][교육개혁][교육제도]교육통계, 교육규제, ...
- [국경간 교육협정]국경과 국가간 교육협정(국경간 교육협정), 국경과 국가간 금융서비스(국경...
- 우리나라 공교육, 사교육 실태의 비교와 방향
- 다문화가정학생지원 보고서(다문화교육정책, 다문화가정학생교육, 다문화가정아동교육, 내수...
- [평생교육프로그램] 이주민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시오 - 평생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