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행수칙 10포인트>
봄
<봄철 등산 방법>
<봄철 등반 시 유의사항>
여름
<여름산행 등반요령>
<여름산행 등반시 유의사항>
<가을산행요령>
가 을
<가을산행유의점>
겨 울
<겨울산행요령>
<겨울산행 유의점>
<계절별 산행 장비>
봄
<봄철 등산 방법>
<봄철 등반 시 유의사항>
여름
<여름산행 등반요령>
<여름산행 등반시 유의사항>
<가을산행요령>
가 을
<가을산행유의점>
겨 울
<겨울산행요령>
<겨울산행 유의점>
<계절별 산행 장비>
본문내용
하다. 크램펀은 4발이나 6발짜리 중에서 자신의 등산화에 맞는 튼튼한 것을 선택한다. 이때 등산화에 크램펀을 부착시키는 밴드에 주의해야한다. 밴드의 조임이 시원치 않으면 크램펀의 분실 뿐만 아니라 자칫 사용자가 몸의 중심을 잃어 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막기위해서는 목이 길고 바닥이 딱딱한 본격적인 등산화가 있어야한다. 밴드 착용시 묶는 고리는 절대로 발 안쪽에 두지말고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해야한다. 이와 함께 등산용 스톡 즉 스키폴을 하나 휴대하여 지팡이 대용으로 사용하면 좋다. 물론 2개를 휴대하면 더 좋다. 그러나 국내산에서는 한개의 폴도 많은 도움이 된다. 휴대에 간편한 3단 안테나 식으로 끝에 바스킷이 달린 것이라면 무난하다.
③ 일기예보를 확인한다.
산행에서 대상산의 현재 적설량과 함께 대설과 한파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일기예보를 알아본다. 장기산행의 경우 기상청의 주간 일기예보를 알아보고 산행 중에는 소형라디오를 휴대하여 날씨변화에 대비해야한다. 만약 산행 중에 폭설을 만나 고립되었다면 눈이 그친 직후에 출발하지 말고 최소한 24시간 이후에 출발해야 쌓인 눈이 바람이나 햇볕 등에 의해 눈사태를 일으킬 것은 일으키고 남은 눈은 굳어지므로 바람직하다. 폭설 이후 계곡 통과시에는 눈사태에 대비하여 조용히 신속하게 통과한다.
④ 체력안배를 잘해야한다.
눈길을 내기 위해서는 인원이많은 것이 좋고 각자가 체력안배를 잘해야 한다. 눈길은 폭을 너무 넓게 내지 않는다. 몸을 많이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힘이 많이 들므로 동작을 작게하고 보폭도 평상시에비해 좁게 하여 체력소모를 줄인다. 그리고 한사람이 장시간 선두에 서지 말고 교대로 전원이 돌아가면서 선두에 서는 것이 체력안배의 요령이다. 눈이 무릎이상 차있을 때는 무릎으로 눈을 다지면서 오른다. 가파른 경사면일 경우 지그재그로 오르면 힘이 덜든다. 허벅지까지 빠지면 선두는 배낭을 벗고 눈길을 내는 데 전력하고 뒤따르는 사람들이 교대로 배낭을 운반한다. 만약 눈이 허리 이상으로 빠진다면 전진이 어려우므로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멀면 산행계획을 바꾸는 것이 현명하다.
⑤ 능력에 맞는 산행을 한다.
다량의 눈 때문에 산행이 늦어지거나 폭설이 계속되는데 V자형 협곡이나깔대기형(설악골 일대)을 통과하는 산행을 계획했다면 산행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와 함께 폭설시 주의할 사항은 환상방황(Ringwandering)이다. 백시현상(white out)으로 인해 한 장소를 중심으로 뱅뱅 돌다가 지쳐 조난사한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폭설이 시작되면 주의깊게 관찰과 함께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겨울산행 유의점>
▶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눈이 쌓이면 산행시간이 평소보다 두배이상 더 소요됩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빨리 떠나 빨리 돌아온다는 식으로 시간계획을 세워야 하죠.. 겨울에는 해가 일찍 떨어지기 때문에 오후 4시 이전 하산할 수 있도록 일정을 짜야 합니다.
▶ 날씨를 꼭~! 점검해야 합니다.
겨울산은 날씨변화가 몹시 심합니다. 갑자기 폭설이 내려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일기예보 내용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날씨 이상 변화가 예상되면 지체없이 하산합니다.
▶ 완벽한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기온은 해발 100m 올라갈수록 섭씨 0.6도씩 낮아지며 초속 1m의 바람이 불면 체감온도는 2도씩 낮아집니다. 우선 방한,방풍 처리가 잘된 등산의류를 준비하고 파워스트레치와 자켓을껴입는 것이 활동도 자유 롭고 보온에도 좋습니다.
등산화는 보온성과 방수성이 좋고 조금 큰석을 고르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언 눈길에 대비, 아이젠을 준비 해야 합니다. 초보자는 가벼운 산행에도 피켈과 스패트(발토시)를 준비해야 합니다. 털모자, 양말, 장갑은 보온성이 좋은 좋은데 양말과 장갑은 여벌을 준비해야 겠죠...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중의 하나가 비상식량인데 칼로리가 높고 무게가 덜 나가는 인스텐트 식품이 적합하며 간식으로는 초콜릿, 건포도, 곶감, 사탕, 과일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경험 많은 리더와 동행하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원칙적으로 겨울에는 혼자 산을 올라가서는 안되죠~ 최소 3명이상 같이 가고 경험이 많은 리더가 동행해야 안전합니다. 만일 여의치 않다면 어디 코스를 어떻게 진행하는지 누구에겐가 알리고 가야 합니다.
▶ 사고에 대비해야 합니다.
길을 잃었을 경우 그 자리에서 불을 피우고 구조대를 기다리는 것이 현명합니다. (물론 산불 조심!) 길을 찾아 헤매다가 체력을 소모해 더 큰 위험에 빠지는 경우를 주변에서 많이 볼수 있어요. 사람이 다녔던 길은 눈이 덮여도 윤곽이 드러나 있다는 것과 동물의 발자국이 있다면 그 길을 따라가는 것이 큰 길과 만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알아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계절별 산행 장비>
봄
여름
가을
겨울
당일
야영
당일
야영
당일
야영
당일
야영
의류
원드자켓
★
★
★
★
★
★
★
★
모자
◎
◎
◎
★
◎
◎
★
★
스웨터
◎
◎
◎
◎
★
★
장갑
◎
◎
◎
◎
★
★
스카프
◎
◎
◎
◎
★
★
예비의류
◎
★
◎
★
★
★
운행장비
등산화
★
★
★
★
★
★
★
★
지도
★
★
★
★
★
★
★
★
나침반
★
★
★
★
★
★
★
★
배낭
★
★
★
★
★
★
★
★
▣보조자일
◎
◎
◎
◎
◎
◎
◎
◎
시계
★
★
★
★
★
★
★
★
스틱
◎
◎
◎
◎
◎
◎
◎
◎
아이젠
◎
◎
◎
◎
★
★
헤드램프
★
★
★
★
★
취사장비
▣코펠
★
★
★
★
▣버너
★
★
★
★
시에라컵
★
★
★
★
★
★
★
★
▣양념통
★
★
★
★
▣수낭
★
★
★
★
▣연료통
★
★
★
★
수통
★
★
★
★
★
★
★
★
수저
★
★
★
★
칼
★
★
★
★
아영장비
▣텐트
★
★
★
★
침낭
★
★
★
★
매트리스
★
★
★
★
판쵸
★
◎
★
★
★
성냥or라이타
★
★
★
★
기타
비상식량
★
★
★
★
★
★
★
★
구급약품
★
★
★
★
★
★
★
★
예비끈
◎
◎
◎
◎
필기구
★
★
★
★
★
★
★
★
세면도구
★
★
★
★
예비전지
★
★
★
★
★꼭필요한것
▣공동장비
◎상황에 따라 가져가야 할것
③ 일기예보를 확인한다.
산행에서 대상산의 현재 적설량과 함께 대설과 한파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일기예보를 알아본다. 장기산행의 경우 기상청의 주간 일기예보를 알아보고 산행 중에는 소형라디오를 휴대하여 날씨변화에 대비해야한다. 만약 산행 중에 폭설을 만나 고립되었다면 눈이 그친 직후에 출발하지 말고 최소한 24시간 이후에 출발해야 쌓인 눈이 바람이나 햇볕 등에 의해 눈사태를 일으킬 것은 일으키고 남은 눈은 굳어지므로 바람직하다. 폭설 이후 계곡 통과시에는 눈사태에 대비하여 조용히 신속하게 통과한다.
④ 체력안배를 잘해야한다.
눈길을 내기 위해서는 인원이많은 것이 좋고 각자가 체력안배를 잘해야 한다. 눈길은 폭을 너무 넓게 내지 않는다. 몸을 많이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힘이 많이 들므로 동작을 작게하고 보폭도 평상시에비해 좁게 하여 체력소모를 줄인다. 그리고 한사람이 장시간 선두에 서지 말고 교대로 전원이 돌아가면서 선두에 서는 것이 체력안배의 요령이다. 눈이 무릎이상 차있을 때는 무릎으로 눈을 다지면서 오른다. 가파른 경사면일 경우 지그재그로 오르면 힘이 덜든다. 허벅지까지 빠지면 선두는 배낭을 벗고 눈길을 내는 데 전력하고 뒤따르는 사람들이 교대로 배낭을 운반한다. 만약 눈이 허리 이상으로 빠진다면 전진이 어려우므로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멀면 산행계획을 바꾸는 것이 현명하다.
⑤ 능력에 맞는 산행을 한다.
다량의 눈 때문에 산행이 늦어지거나 폭설이 계속되는데 V자형 협곡이나깔대기형(설악골 일대)을 통과하는 산행을 계획했다면 산행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와 함께 폭설시 주의할 사항은 환상방황(Ringwandering)이다. 백시현상(white out)으로 인해 한 장소를 중심으로 뱅뱅 돌다가 지쳐 조난사한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폭설이 시작되면 주의깊게 관찰과 함께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겨울산행 유의점>
▶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눈이 쌓이면 산행시간이 평소보다 두배이상 더 소요됩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빨리 떠나 빨리 돌아온다는 식으로 시간계획을 세워야 하죠.. 겨울에는 해가 일찍 떨어지기 때문에 오후 4시 이전 하산할 수 있도록 일정을 짜야 합니다.
▶ 날씨를 꼭~! 점검해야 합니다.
겨울산은 날씨변화가 몹시 심합니다. 갑자기 폭설이 내려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일기예보 내용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날씨 이상 변화가 예상되면 지체없이 하산합니다.
▶ 완벽한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기온은 해발 100m 올라갈수록 섭씨 0.6도씩 낮아지며 초속 1m의 바람이 불면 체감온도는 2도씩 낮아집니다. 우선 방한,방풍 처리가 잘된 등산의류를 준비하고 파워스트레치와 자켓을껴입는 것이 활동도 자유 롭고 보온에도 좋습니다.
등산화는 보온성과 방수성이 좋고 조금 큰석을 고르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언 눈길에 대비, 아이젠을 준비 해야 합니다. 초보자는 가벼운 산행에도 피켈과 스패트(발토시)를 준비해야 합니다. 털모자, 양말, 장갑은 보온성이 좋은 좋은데 양말과 장갑은 여벌을 준비해야 겠죠...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중의 하나가 비상식량인데 칼로리가 높고 무게가 덜 나가는 인스텐트 식품이 적합하며 간식으로는 초콜릿, 건포도, 곶감, 사탕, 과일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경험 많은 리더와 동행하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원칙적으로 겨울에는 혼자 산을 올라가서는 안되죠~ 최소 3명이상 같이 가고 경험이 많은 리더가 동행해야 안전합니다. 만일 여의치 않다면 어디 코스를 어떻게 진행하는지 누구에겐가 알리고 가야 합니다.
▶ 사고에 대비해야 합니다.
길을 잃었을 경우 그 자리에서 불을 피우고 구조대를 기다리는 것이 현명합니다. (물론 산불 조심!) 길을 찾아 헤매다가 체력을 소모해 더 큰 위험에 빠지는 경우를 주변에서 많이 볼수 있어요. 사람이 다녔던 길은 눈이 덮여도 윤곽이 드러나 있다는 것과 동물의 발자국이 있다면 그 길을 따라가는 것이 큰 길과 만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알아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계절별 산행 장비>
봄
여름
가을
겨울
당일
야영
당일
야영
당일
야영
당일
야영
의류
원드자켓
★
★
★
★
★
★
★
★
모자
◎
◎
◎
★
◎
◎
★
★
스웨터
◎
◎
◎
◎
★
★
장갑
◎
◎
◎
◎
★
★
스카프
◎
◎
◎
◎
★
★
예비의류
◎
★
◎
★
★
★
운행장비
등산화
★
★
★
★
★
★
★
★
지도
★
★
★
★
★
★
★
★
나침반
★
★
★
★
★
★
★
★
배낭
★
★
★
★
★
★
★
★
▣보조자일
◎
◎
◎
◎
◎
◎
◎
◎
시계
★
★
★
★
★
★
★
★
스틱
◎
◎
◎
◎
◎
◎
◎
◎
아이젠
◎
◎
◎
◎
★
★
헤드램프
★
★
★
★
★
취사장비
▣코펠
★
★
★
★
▣버너
★
★
★
★
시에라컵
★
★
★
★
★
★
★
★
▣양념통
★
★
★
★
▣수낭
★
★
★
★
▣연료통
★
★
★
★
수통
★
★
★
★
★
★
★
★
수저
★
★
★
★
칼
★
★
★
★
아영장비
▣텐트
★
★
★
★
침낭
★
★
★
★
매트리스
★
★
★
★
판쵸
★
◎
★
★
★
성냥or라이타
★
★
★
★
기타
비상식량
★
★
★
★
★
★
★
★
구급약품
★
★
★
★
★
★
★
★
예비끈
◎
◎
◎
◎
필기구
★
★
★
★
★
★
★
★
세면도구
★
★
★
★
예비전지
★
★
★
★
★꼭필요한것
▣공동장비
◎상황에 따라 가져가야 할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