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맹자의 사상에서 본 행정인과 정치인의 역할, 덕망, 철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와 맹자의 사상에서 본 행정인과 정치인의 역할, 덕망, 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공자의 사상
1. 정명론(正名論)
2. 인(仁)과 의(義)
3. 충서(忠恕)

Ⅱ. 맹자의 사상
1. 성선설(性善說)
2. 인정(仁政)
3. 왕도정치(王道政治)

Ⅲ. 행정인과 정치인의 역할, 덕망, 철학

본문내용

결백’의 행정인과 정치인의 역할, 덕망, 철학을 엿 볼 수 있다.
공자의 사상에서 정치인과 행정인의 역할 덕망 철학을 찾아보건데, 꼽을 만한 것이 ‘정명론’이라 할 수 있겠다. ‘임금은 임금, 신하는 신하, 아버지는 아버지, 아들은 아들 노릇을 해 내어야 한다’ (君君 臣臣 父父 子子)라고 하였다. 정치인과 행정인은 각자의 역할에 부합하는 행동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 더 ‘충’으로 모든 인간관계에서 성실과 신뢰를 위주로 살아가는 것이다.
맹자의 사상에서 정치인과 행정인의 역할 덕망 철학을 찾아보면, ‘인의’에의한 ‘덕치’를 고를 수 있다. 이것이 곧 왕도 정치로, 맹자는 국가에 있어서는 백성이 가장 귀하고 토지와 곡식의 신이 그 다음이고 군주는 가장 덜 중요한 것이리고 보았다. 또한 사람에게는 누구나 다른 사람의 불행을 보고 차마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불인지심이 있다고 하여 이것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마음으로 이러한 마음은 불인지심으로 이러한 마음에 의한 정치가 ‘인의’에 따른 ‘덕치’인 것이다.
공자와 맹자는 모두 ‘인’과 ‘의’를 중요시 하였다. 공자가 ‘인’을 더 중시하였다면 맹자는 ‘의’를 더 중시 했다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그 근본은 같다고 할 수 있다. 행정인과 정치인은 백성을 위한 정치와 행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청렴하고 결백함을 갖추어야 한다고 본다.
* 참고 문헌 *
진순신 1993 「알기 쉽고 재미있는 유교이야기 공자왈 맹자왈」고려원
박창규 1997 「공자왈 맹자왈」평화 출판사
김철호 1995 「동양철학 이야기 주머니」녹두
김길환 1981 「동양윤리사상」일지사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2.1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