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광고의 개념 정의와 성공 사례 분석 (국내 및 국외 사례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 광고의 개념 정의와 성공 사례 분석 (국내 및 국외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言

Ⅱ. 本 文
1.국제광고
2. 표준화 광고와 지역화 광고
3. 다국적 기업과 광고 제국주의
4. 광고 성공사례
5. 광고 실패 사례
6. 한국의 국제광고
7. 한국 국제광고의 문제점

Ⅲ. 結 論

본문내용

발휘하기 위한 최고의 제품이며 혁신적인 제품과 각 스포츠의 대표적인 선수를 연결시킨다. 특히 나이키는 단순히 유명한 스타만을 이용하지 않는다. 나이키 브랜드를 가장 잘 표현하고 대표 할 수 있는 스타를 선거하는 것이다. 이처럼 선수를 통한 endorsement(상품 등의 추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이유는 최고의 스타=나이키라는 연상을 끌어내기 우한 사전 작업이라는 것이다. 결국 전체적으로 스포츠=나이키라는 등식을 확립하는 것이 나이키의 전체적인 브랜드 전략이다. 70년대의 시기 당시 가장 잘 뛰던 테니스선수를 스폰서로 하여 시장의 주목을 끌게 된다. 1979년에는 이미 나이키가 스포츠 용품 전반을 취급하는 회사로 이미 성장해 있었다. 그러나 \'리복\'(ReeBok) 이라는 브랜드에게 추격을 당해 신발 판매량에서 나이키를 앞지르기 시작했다. 위기의 나이키는 결정적인 계기를 맞게 된다. 그 계기란 바로 스타 마케팅의 활약이었다.
바로 마이클 조던(Michale Jordan) 의 등장이었다. 나이키는 당시 대학의 선수였던 마이클 조던과 계약을 맺고 조던의 이름을 따서 AIR JORDAN 이라는 신발을 개발한다. 조던을 위한 신발인 에어 조던은 비공식이었고 불법이었다. NBA에서 당시 검은 신발을 신는 것은 불법이었다. 그런데 에어 조던은 검은색과 붉은색의 신발이었다. 마이클은 한 게임당 1000달러의 벌금을 물었다. 그러나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신었다. 필 나이트는 이것이 화재를 불러 일으켜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는 것을 노리고, 결국은 나이키를 사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80년대 말 나이키는 연간 8억7000만 달러에서 40억 달러로 매출이 급상승했다. 이것은 유명한 선수 때문이 아니라 시장을 읽는 마케팅의 결과였다.
(6) Nike CF 소개와 분석
1)첫째는, 나이키의 \'Beautiful\'광고이다. 이 광고에는 \"진짜사람\"이 들어있다.
이 광고는 Just Do It 이라는 나이키의 명 캠페인 아래 만들어진 광고이다. 운동선수들이 훈련과 경기를 통해서 얻는 신체의 변형과 몸으로 받은 훈장들을 스스럼없이 카메라를 향해 당당하게 드러내고 있는 다큐멘터리적인 광고이다. 이 광고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모두 진짜이다. 이들을 통해 전달되는 느낌 또한 진실이다. 내추럴하다. 우린 흔히 내추럴하다를 밋밋하다 혹은 맹숭맹숭하다고 생각하는데, 자연스럽다가 적어도 꾸미지 않았다와 같은 뜻이라고 본다면 결코 밋밋하다와 동일한 뜻은 아니다. 내추럴하게 꾸미다 보니, 내공의 힘이 약해 무미해 보이는 게 문제이긴 하다. 만약 이 광고의 인물들이 가짜들이었다면, 이 광고에서 오는 진실의 힘은 반의반으로 줄어들었을 것이며, 이들이 가짜임을 제작자가 알고 있다면, 이는 역시 보는 사람들도 알게 되었을 것이다. 낡은 가족 앨범 속의 한 인물을, 스튜디오에서 재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건 진실의 힘을 과소평가하는 일이다. 진실은 연출이 아니라 발견이다. 만드는 사람 스스로가 감동 받아야 감동을 줄 수 있다. 이것이 Kash Sree가 말하는 좋은 광고를 만드는 방법이다. \"자신에 대한 진실, 사람에 대한 진실, 그리고 더 나아가 삶에 대한 진실\"을 담는 광고, 좋은 광고의 첫 번째 조건이다. 다소 이미지 측면에서는 출연하는 사람들의 우울한 표정과 상처에 cf를 보는 입장에 사람들은 싸늘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음악으로써 그런 느낌을 가려준다. 음악은 \"You are so beautiful to me.\" 당신은 내게 아름답습니다라는 누구에게나 익숙한 곡을 선정하였다. 느낌을 탁탁 끊어버리는 매끄러운 성우의 멘트 없이도, 생각할 여운을 두지 않는 나레이션 없이도,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해주고 있다. 이 광고에서 비주얼은 진실을, 오디오(뮤직)는 역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콤비는 나이키의 여러 광고에서 하나의 포맷으로 나타나고 있다. “나이키스러운 광고를 만드는 하나의 플랫폼이다.”
2)두 번째는 ‘TAG\' 편이다. play형식의 대표.
이 광고에는 \"놀이하는 사람\"이 있다. 나이키가 \"Life is a game\"이라는 기치아래 펼쳤던 \'Just Do It\'이란 캠페인에서 \"Life is a Play\"란 캠페인을 시작한 후 만든 광고이다. \"TAG\"란 어린시절 놀이 이름이다. 술래가 다른 사람을 좇아가 \"찜\"하면 그 사람이 술래가 되어 다른 사람을 쫓아가\"찜\"을 하고, 사람들은 잡히지 않으려고 도망을 다니는 놀이로, 아마 전 세계어린이들이 다하는 놀이이다. 우리나라의 술래잡기와 같다.
이 광고가 칸광고제에서 상을 받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저게 뭐야 하는 반응을 보였는데, 이건 문화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새로운 캠페인 \" 인생은 놀이이다\"라는 틀을 미처 몰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니 면 어린시절 놀이를 잊었던지……. 모든 어른들 속에는 아이가 들어 있 다라는 말처럼, 모든 사람들의 경험 속에는 놀이하던 추억이 들어있다. 그리고 그 모습을 다시 보는 것은 언제나 즐거운 일이다. 이 광고에서 특히 눈에 들어오는 것은 엑스트라들의 연기이다. 동선 을 그려가며 연출하기엔 너무나 생생하게 뛰어다니는 사람들이 보인다. 연출은 의외로 간단했다고 들었는데, 연기지시를 원하는 엑스트라들에게 이렇게 주문했다고 한다. \"무조건 잡히지 말고 뛰어\" 그래서 그들은 주인공이 어디서 튀어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무조건 잡히지 않으려고 움직였다. 몇몇 컷이야 잘 짜여진 움직임이 있어야 했겠지만, 엑스트라들의 생생한 움직임은 그들이 진짜 놀이에 열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내용은 이렇다. 도시한가운데 한 남자가 길을 가는데 누군가가 어깨를 치고는 도망간다. 이로써 이 남자가 술래가 된다. 이 남자는 달리기 시작한다. 누구라도 이 남자의 손에 터치를 받으면 술래가 되기 때문에 모두 뛰어 도망간다. 차에 타거나, 회전문에 끼여 있고, 경찰도 이 사람을 피해 경찰차를 타고 도망을 가며, 사람들은 이 남자에게서 몸을 피하기 위해 쓰레기통이나 가로등 뒤에 일렬로 줄을 서서 숨기까지 한다. 지하철까지 가자 모든 사람들은 지하철 안에 타고 지하철 문이 닫힌다. 어떤 남자가 아직 눈치 채지 못하고 지하철에서 탑승하지 못하자 술래는 그 남자를
  • 가격3,000
  • 페이지수56페이지
  • 등록일2006.12.14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