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품이해
1. 박민규에 대하여
2. 2000년대 소설
3. 박민규의 소설
4. 「카스테라」읽기
1) 줄거리
2)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
3) ‘카스테라’의 의미
Ⅱ. 지도방안
1. 단원설정
2. 학습목표
3. 지도상의 유의점
4. 평가계획
5.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
1. 박민규에 대하여
2. 2000년대 소설
3. 박민규의 소설
4. 「카스테라」읽기
1) 줄거리
2)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
3) ‘카스테라’의 의미
Ⅱ. 지도방안
1. 단원설정
2. 학습목표
3. 지도상의 유의점
4. 평가계획
5.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
본문내용
이 따뜻하고 밝은 빛을 발하는 진공의 유리구(球)였는데 - 뭐야 그건 전구잖아, 라고 말하겠지만 - 발명품의 아래에는 분명한 글씨의 [카스테라, 1895년, 토마스 에디슨]이란 문구가 적혀 있었다. 발명의 놀라움에 비해, 에디슨의 제작노트는 더없이 간단한 것이었다. [계란과 밀가루를 반죽한 후 빛이 나올 때까지 오븐에서 굽는다 - 인류를 위한 마음으로.] - 작가의 말, 『카스테라』
오븐은 언제나 예열되어 있다. 세계의 재료도 언제나 당신의 주변에 쌓여 있다. 결국 이 많은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 들을 당신은 어떻게 리믹스 할 것인가, 관건은 그것이라고 생각한다. 가게에서 팔잖아, 사면 되잖아. 그 논리로 버티기에는 그만 지구의 시간이 너무도 진척되어버렸다(차라리 돈이 다라면 얼마나 좋을까). 오래된 오븐의 바닥에서 새나오는 빛 - 그만 환하다, 환해버린다(그것 봐, 전구라니까). - 작가의 말, 『카스테라』
Ⅱ. 지도방안
1. 단원 설정
이 작품은 소설이지만 구조나 갈등과 같은 서사적인 특성보다는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문학 언어의 특징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에서의 언어 표현을 다루는 단원에 들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서 경험이 많은 고등학교 2학년 이상의 학생을 교수학습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해 봤을 때 이 작품은 고등학교 2학년 심화선택과목인 ‘문학’과목의 (1) 문학의 본질 (가) 문학의 특성 영역에서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겠다. 지도방안을 구체적으로 세우기 위해 디딤돌 문학(상)교과서의 구성에 맞추어 Ⅰ. 문학의 본질 1. 문학의 특성 (1) 문학과 언어 단원에 실린 것으로 설정하였다.
※ ‘문학’ 과목의 내용체계
영역
내용
(1) 문학의 본질
(가) 문학의 특성
(나) 문학의 기능
(다) 문학의 갈래
(라) 문학의 가치
(2) 문학의 수용과 창작
(3) 문학과 문화
(4) 문학의 가치화와 태도
※ 디딤돌 문학(상)교과서의 구성
구분
시수
Ⅰ. 문학의 본질
1. 문학의 특성
대중단원 도입글
준비학습
1
(1) 문학과 언어
도입글
2
01. 카스테라
(2) 문학과 삶
도입글
1
01. 역마
(3) 문학의 구조
도입글
1
01. 심청가
2. 문학의 기능과 가치
3. 문학의 갈래
2. 학습 목표
가. 문학이 언어를 표현 매체로 하는 예술의 한 형태임을 이해할 수 있다.
나. 작품의 문체를 통해 문학의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다.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내면화 할 수 있다.
3. 지도상의 유의점
☞ 작품을 이해할 때 문학의 언어와 그것이 상징하거나 함축하고 있는 대상을 1:1로 대응시키려 하지 말고 학생들이 마음껏 상상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답을 유도한다.
☞ 작품을 통해 문학과 언어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화 하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문학의 창작 영역까지 연계해서 학습할 수도 있다.
(예 : 학습지 4에서 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나 소설을 써 보자.)
4. 평가 계획
가. 각 차시마다 학습목표에 맞게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학습 정도를 평가한다.
나. 학습지 4를 보완수정하여 수행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5.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
☞ 1/2 차시
학습목표
1. 문학에서 쓰이는 언어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2. 작품에 나타난 문체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단계
교수학습 내용
도입
전개 1
전개 2
정리
전시학습 상기 및 흥미유발
▼
학습 목표 제시
▼
문학에 사용된 언어와 일상적 언어의 차이점 알기
(학습지1)
▼
과제(<카스테라> 읽어오기)확인
▼
작품에 나타난 문체적 특징 파악하기
(학습지 2)
▼
발표
▼
교사의 피드백 및 차시 예고
☞ 2/2 차시
학습목표
1.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내면화 할 수 있다.
단계
교수학습 내용
도입
전개 1
전개 2
정리
전시학습 상기 및 흥미유발
▼
학습 목표 제시
▼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학습지 3)
▼
발표
▼
내면화 하기
(학습지 4)
▼
발표
▼
교사의 피드백 및 차시 예고
학습지 1 - 문학의 언어
박민규 <카스테라>
2006 년 11 월 29 일
학년 반 이름
※ 다음 글을 읽고 활동을 해보자.
슬픈 대추나무, 뱀이 열리는 소나무 cafe.naver.com/borisogol
지금은 중학교 일학년인 큰 아들이 한 다섯 살 남짓 되었을 때의 일이다. 어느 여름날이었다. 찌는 듯한 더위가 한참 기승을 부리는 때였다. 우리 집에는 조그만 마당이 있었는데, 마당 가장자리로 몇 그루의 나무와 꽃들을 심어 놓은 화단이 있었다.
나는 더위도 식힐 겸, 아이를 데리고 나와 마당의 수도를 한껏 틀어 호스로 화단에 물을 뿌려주었다. 호스의 끝부분을 잡고 물을 뿜으면, 물은 마치 분수처럼 꽃과 나무가 심어져 있는 화단을 향해 날아갔다. 아이는 흩어지는 물줄기를 보며 신이 나서 소리를 지르고, 화단 가까이에 다가가 물방울에 손을 대보기도 했다. 어느 정도 물을 뿌리고 나자 더위가 한풀 꺾이는 것 같아 나는 수도를 잠그고, 호스를 거둬들였다.
그때, 아이가 내게 불쑥 한마디 했다.
\"아빠, 나무는 슬퍼. 나무가 울어.\"
아이는 내가 뿌린 물이 대추나무 잎새에 방울방울 맺혔다가 툭툭 떨어지는 것을 보며 그런 말을 하고 있었다. 다음해던가, 그 아이를 데리고 고향집에 갔을 때의 일이다. 마침 샘물가에 뱀이 한 마리 기어가고 있었다. 그 뱀을 아이의 할아버지께서 잡아 개울 건너 소나무 아래에 묻어버렸다. 한동안 아이는 할아버지가 뱀을 잡는 장면부터 땅에 묻는 것까지 다 보고 나더니 내게 말을 건넸다.
\"아빠, 내년에는 저 나무에 뱀이 주렁주렁 열릴거야.\"
그 말을 듣고 우리 식구들은 모두 폭소를 터트리고 말았다.
물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나무가 슬퍼서 운다는 말이나, 뱀을 묻은 곁의 나무에서 뱀이 주렁주렁 열릴 것이라는 말은 합리적인 말이 아니다. 나무에서 물이 떨어진다거나, 뱀이
오븐은 언제나 예열되어 있다. 세계의 재료도 언제나 당신의 주변에 쌓여 있다. 결국 이 많은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과 물질 들을 당신은 어떻게 리믹스 할 것인가, 관건은 그것이라고 생각한다. 가게에서 팔잖아, 사면 되잖아. 그 논리로 버티기에는 그만 지구의 시간이 너무도 진척되어버렸다(차라리 돈이 다라면 얼마나 좋을까). 오래된 오븐의 바닥에서 새나오는 빛 - 그만 환하다, 환해버린다(그것 봐, 전구라니까). - 작가의 말, 『카스테라』
Ⅱ. 지도방안
1. 단원 설정
이 작품은 소설이지만 구조나 갈등과 같은 서사적인 특성보다는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문학 언어의 특징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에서의 언어 표현을 다루는 단원에 들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서 경험이 많은 고등학교 2학년 이상의 학생을 교수학습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해 봤을 때 이 작품은 고등학교 2학년 심화선택과목인 ‘문학’과목의 (1) 문학의 본질 (가) 문학의 특성 영역에서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겠다. 지도방안을 구체적으로 세우기 위해 디딤돌 문학(상)교과서의 구성에 맞추어 Ⅰ. 문학의 본질 1. 문학의 특성 (1) 문학과 언어 단원에 실린 것으로 설정하였다.
※ ‘문학’ 과목의 내용체계
영역
내용
(1) 문학의 본질
(가) 문학의 특성
(나) 문학의 기능
(다) 문학의 갈래
(라) 문학의 가치
(2) 문학의 수용과 창작
(3) 문학과 문화
(4) 문학의 가치화와 태도
※ 디딤돌 문학(상)교과서의 구성
구분
시수
Ⅰ. 문학의 본질
1. 문학의 특성
대중단원 도입글
준비학습
1
(1) 문학과 언어
도입글
2
01. 카스테라
(2) 문학과 삶
도입글
1
01. 역마
(3) 문학의 구조
도입글
1
01. 심청가
2. 문학의 기능과 가치
3. 문학의 갈래
2. 학습 목표
가. 문학이 언어를 표현 매체로 하는 예술의 한 형태임을 이해할 수 있다.
나. 작품의 문체를 통해 문학의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다.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내면화 할 수 있다.
3. 지도상의 유의점
☞ 작품을 이해할 때 문학의 언어와 그것이 상징하거나 함축하고 있는 대상을 1:1로 대응시키려 하지 말고 학생들이 마음껏 상상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답을 유도한다.
☞ 작품을 통해 문학과 언어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화 하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문학의 창작 영역까지 연계해서 학습할 수도 있다.
(예 : 학습지 4에서 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나 소설을 써 보자.)
4. 평가 계획
가. 각 차시마다 학습목표에 맞게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학습 정도를 평가한다.
나. 학습지 4를 보완수정하여 수행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5.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
☞ 1/2 차시
학습목표
1. 문학에서 쓰이는 언어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2. 작품에 나타난 문체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단계
교수학습 내용
도입
전개 1
전개 2
정리
전시학습 상기 및 흥미유발
▼
학습 목표 제시
▼
문학에 사용된 언어와 일상적 언어의 차이점 알기
(학습지1)
▼
과제(<카스테라> 읽어오기)확인
▼
작품에 나타난 문체적 특징 파악하기
(학습지 2)
▼
발표
▼
교사의 피드백 및 차시 예고
☞ 2/2 차시
학습목표
1.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내면화 할 수 있다.
단계
교수학습 내용
도입
전개 1
전개 2
정리
전시학습 상기 및 흥미유발
▼
학습 목표 제시
▼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학습지 3)
▼
발표
▼
내면화 하기
(학습지 4)
▼
발표
▼
교사의 피드백 및 차시 예고
학습지 1 - 문학의 언어
박민규 <카스테라>
2006 년 11 월 29 일
학년 반 이름
※ 다음 글을 읽고 활동을 해보자.
슬픈 대추나무, 뱀이 열리는 소나무 cafe.naver.com/borisogol
지금은 중학교 일학년인 큰 아들이 한 다섯 살 남짓 되었을 때의 일이다. 어느 여름날이었다. 찌는 듯한 더위가 한참 기승을 부리는 때였다. 우리 집에는 조그만 마당이 있었는데, 마당 가장자리로 몇 그루의 나무와 꽃들을 심어 놓은 화단이 있었다.
나는 더위도 식힐 겸, 아이를 데리고 나와 마당의 수도를 한껏 틀어 호스로 화단에 물을 뿌려주었다. 호스의 끝부분을 잡고 물을 뿜으면, 물은 마치 분수처럼 꽃과 나무가 심어져 있는 화단을 향해 날아갔다. 아이는 흩어지는 물줄기를 보며 신이 나서 소리를 지르고, 화단 가까이에 다가가 물방울에 손을 대보기도 했다. 어느 정도 물을 뿌리고 나자 더위가 한풀 꺾이는 것 같아 나는 수도를 잠그고, 호스를 거둬들였다.
그때, 아이가 내게 불쑥 한마디 했다.
\"아빠, 나무는 슬퍼. 나무가 울어.\"
아이는 내가 뿌린 물이 대추나무 잎새에 방울방울 맺혔다가 툭툭 떨어지는 것을 보며 그런 말을 하고 있었다. 다음해던가, 그 아이를 데리고 고향집에 갔을 때의 일이다. 마침 샘물가에 뱀이 한 마리 기어가고 있었다. 그 뱀을 아이의 할아버지께서 잡아 개울 건너 소나무 아래에 묻어버렸다. 한동안 아이는 할아버지가 뱀을 잡는 장면부터 땅에 묻는 것까지 다 보고 나더니 내게 말을 건넸다.
\"아빠, 내년에는 저 나무에 뱀이 주렁주렁 열릴거야.\"
그 말을 듣고 우리 식구들은 모두 폭소를 터트리고 말았다.
물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나무가 슬퍼서 운다는 말이나, 뱀을 묻은 곁의 나무에서 뱀이 주렁주렁 열릴 것이라는 말은 합리적인 말이 아니다. 나무에서 물이 떨어진다거나, 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