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교육과정
1. 미군정시대의 교육과정
2. 교육법에 나타난 교육의 이념 및 목적과 내용
3. 교육과정의 제 1 차 개정
4. 교육과정의 제 2차 개정
5. 교육과정의 제 3차 개정
6. 제 4차 교육과정
7. 제 5차 교육과정
8. 제 6차 교육과정(1992-1997)의 개정
9. 제7차 교육과정
Ⅲ. 국어과 교육과정
1. 광복 이후의 국어교육의 위상
2. 광복 이후의 국어교육과정
Ⅳ. 결론
Ⅱ. 우리나라 교육과정
1. 미군정시대의 교육과정
2. 교육법에 나타난 교육의 이념 및 목적과 내용
3. 교육과정의 제 1 차 개정
4. 교육과정의 제 2차 개정
5. 교육과정의 제 3차 개정
6. 제 4차 교육과정
7. 제 5차 교육과정
8. 제 6차 교육과정(1992-1997)의 개정
9. 제7차 교육과정
Ⅲ. 국어과 교육과정
1. 광복 이후의 국어교육의 위상
2. 광복 이후의 국어교육과정
Ⅳ. 결론
본문내용
어과의 지도방법에 대한 것을 언급하고 있다. 여기서 특이한 사실은 가치관교육과 병행할 뿐 아니라 다른 교과와도 통합적으로 지도하기를 권장하고 점이다. 그 밖에 지도영역을 짓기와 쓰기로 나누어 강조하고 있다는 점과 듣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소흘히 취급되고 있는 경향도 지적할 만하다.
(2) 1,2차 교육과정
이 시기 교육과정은 구미의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영향을 받아 생활과 경험을 중요시하는 교육과정이란 점에 그 특징이 있다.
1995년도에 제정 공포된 1차 교육과정은 체제가 ‘국어교육의 목표→영역→학년 지도목표→학습지도 방법’순으로 되어서, 교수요목보다 좀더 정비된 모습을 보인다.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언어기능을 익히고, 기본적인 언어습관과 태도를 기르는 데 초점을 둔 목표를 진술하고 있다. 이것은 홍응선의 지적대로 ‘지식을 부여한다거나 이해력을 길러줌으로써 연역적으로 언어기술을 숙달하려고 한’ 지금까지의 국어교육의 결점을 극복하고, 진보주의의 교육사조의 영향 아래 도구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의 위치를 새로이 하고 있다. 국어교육 목표도 겸험중심으로 진술되고 있다. 국어목표 28가지를 음성언어읽기쓰기 영역별로 나누어 열거하고 있다.
목표진술도,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국어사용 및 태도함양을 지향하되, 학습자의 언어범위 안에서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과서도 종래의 계통적 학습을 위주로 한 교과학습 배열을 버리고 생활중심으로 단원화 하고있음을 볼 수 있다.
1963년에 개정된 2차 교육과정도 1차 교육과정을 거의 그대로 이어 받고 있다. 그래서 체험을 통한 국어사용 기능신장을 중시하고 일상생활에 기여하기 위한 실용적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체제나 내용면에서도 거의 다를 바 없다. 다만 교육과정의 구성을 ‘개정의 요점, 일반목표, 학년목표, 지도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나눔으로, 좀 더 논리적이고 체계있는 진술형식이 되게 다듬었다는 정도의 차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4개 항으로 간추린 일반목표에 대하여 그 설정이유를 ‘국어의 기능이나 이해를 통해서 바람직한 인간성을 형성하는데 궁극의 목표가 있음을 명백히 하여야 된다는 것이다’라고 밝힌 데서도 나타나듯이, 국어교육의 궁극목표를 높여서 인간형성을 향한 가치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정작 이를 구체화한 27개 목표는 1차교육과정과 대동소이하고, 그 가운데 특별히 가치목표와 관련된 것은 찾아 볼 수 없다. 학년별 목표는 1차와 마찬가지로 말하기듣기읽기쓰기 영역별로 들고 있는데, 1차 때는 이해기능태도로 구분하여 모두 160여개 항을 든 데 비해, 2차 때는 여기에 노력점을 추가하여 모두 220여개 항이나 든 것도 서로 달라진 점이다.
그 밖에 한글전용 실시에 따라 한자교육을 거의 폐지한 것과 학교문법통일안을 확정하여 실시토록 한 점 등을 차이로 들 수 있다. ‘지도상의 유의점’에 언급한 지도방법면에서는 1차의 단원학습을 강화하되, 언어경험을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지도와 지역성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충실한 언어경험 수업이 되도록 보완하고,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1차 국어과 교육과정이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바탕을 둔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특성을 지녔다면, 2차에서는 이를 계속 유지 강화하면서도 거기에 인간형성의 교육의 측면을 보완했다는 점을 주요 특성으로 들 만하다.
(3) 3.4차 교육과정
1973년에 개정한 제3차 교육과정은 경험주의 교육사조에 바탕을 둔 1,2차 교육과정을 받아들이면서, 그 위에 본질주의 교육 사조를 어느 정도 감안한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국어교육의 이념과 목표를 모색하고 정립하고자 한 노력이 드러난다. 그것은 3차 교육과정의 3대 기본정신 가운데 ‘국민적 자질의 함양’이란 항목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나머지 기본정신으로 ‘인간교육의 강화’, ‘지식기술 교육의 쇄신’도 있는데, 이들이 3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구현된 면모는 교육내용 선정에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각 교과의 기본개념이 중시되었고, 교육방법에서는 발견과 탐구학습을 강조한 점이다라고 곽병선이 지적한 대로다.
3차 교육과정 체제는 ‘목표, 내용, 방법’의 3분법으로 되어 있어서 1,2차에 비해 더욱 체계화된 셈이다. 이 가운데 ‘목표’항은 ‘일반목표’와 ‘학년목표’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4개 항으로 정선된 ‘일반목표’는 앞서 진술한 3대 기본정신을 바탕으로 개인적이 면에서 자아실현 및 사회적인 면에서의 민주적 가치실현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학년목표’는 각 학년마다 말하기듣기읽기짓기쓰기의 5대 영역별로 한 항목씩 구체 행동목표를 제시하여 모두 30개 항을 열거하고 있다. 목표의 학년별 위계는 ‘기초적 태도, 기초적 기능, 초보적 기능, 초보적 기능의 발전, 기능의 충실, 응용기능’으로 삼았는데 다소 작위적이고 막연하여 실제 의미를 명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보이기도 한다.
3차 교육과정의 ‘내용’항은 2차 교육과정에서 상세화 시켜서 열거한 222개 학년목표를 다듬어서 여기에 수록해 놓은 셈이다. 이 내용은 다시 ‘지도사항’, ‘주요형식’, ‘재재선정의 기준’으로 구성되어서 면밀하게 계열화되어 있다. 예컨대 3학년에 해당하는 지도사항으로 ‘어법에 맞게 말하기’를 지도하려면 3학년의 주요형식 가운데 설명문, 편지글, 생활감상문 등의 형식에서 선정해서 가르칠 수 있다. 이때 글 주제가 되도록 국어애(國語愛)를 돈독히 하는 것으로 고른다면 그것이 바로 ‘제재선정의 기준’이 되는 셈이다. 이때 제재선성의 기준으로는 대체로 국가애, 문화애, 자유애, 반공민주 정신, 사고력, 창의력 및 정서순화 등 19개 항이 있다.
3차 교육과정에서 ‘방법항’은 ‘지도상의 유의점’이라 하여, 주로 지도 방법상의 대체적인 방향을 14개 항에 걸쳐 제시하고 있다. 개괄적인 진술 가운데도, 글씨쓰기의 용구선정에 관한 지도방법까지 상세히 기술한 것도 있다. 그리고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적 지도와 국어순화 강조 등 2차 교육과정과 연속된 경향도 보인다. 그러나 국어 사용 기능신장과 가치관 교육의 조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3차 교육과정의 개정
(2) 1,2차 교육과정
이 시기 교육과정은 구미의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영향을 받아 생활과 경험을 중요시하는 교육과정이란 점에 그 특징이 있다.
1995년도에 제정 공포된 1차 교육과정은 체제가 ‘국어교육의 목표→영역→학년 지도목표→학습지도 방법’순으로 되어서, 교수요목보다 좀더 정비된 모습을 보인다.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언어기능을 익히고, 기본적인 언어습관과 태도를 기르는 데 초점을 둔 목표를 진술하고 있다. 이것은 홍응선의 지적대로 ‘지식을 부여한다거나 이해력을 길러줌으로써 연역적으로 언어기술을 숙달하려고 한’ 지금까지의 국어교육의 결점을 극복하고, 진보주의의 교육사조의 영향 아래 도구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의 위치를 새로이 하고 있다. 국어교육 목표도 겸험중심으로 진술되고 있다. 국어목표 28가지를 음성언어읽기쓰기 영역별로 나누어 열거하고 있다.
목표진술도,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국어사용 및 태도함양을 지향하되, 학습자의 언어범위 안에서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과서도 종래의 계통적 학습을 위주로 한 교과학습 배열을 버리고 생활중심으로 단원화 하고있음을 볼 수 있다.
1963년에 개정된 2차 교육과정도 1차 교육과정을 거의 그대로 이어 받고 있다. 그래서 체험을 통한 국어사용 기능신장을 중시하고 일상생활에 기여하기 위한 실용적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체제나 내용면에서도 거의 다를 바 없다. 다만 교육과정의 구성을 ‘개정의 요점, 일반목표, 학년목표, 지도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나눔으로, 좀 더 논리적이고 체계있는 진술형식이 되게 다듬었다는 정도의 차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4개 항으로 간추린 일반목표에 대하여 그 설정이유를 ‘국어의 기능이나 이해를 통해서 바람직한 인간성을 형성하는데 궁극의 목표가 있음을 명백히 하여야 된다는 것이다’라고 밝힌 데서도 나타나듯이, 국어교육의 궁극목표를 높여서 인간형성을 향한 가치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정작 이를 구체화한 27개 목표는 1차교육과정과 대동소이하고, 그 가운데 특별히 가치목표와 관련된 것은 찾아 볼 수 없다. 학년별 목표는 1차와 마찬가지로 말하기듣기읽기쓰기 영역별로 들고 있는데, 1차 때는 이해기능태도로 구분하여 모두 160여개 항을 든 데 비해, 2차 때는 여기에 노력점을 추가하여 모두 220여개 항이나 든 것도 서로 달라진 점이다.
그 밖에 한글전용 실시에 따라 한자교육을 거의 폐지한 것과 학교문법통일안을 확정하여 실시토록 한 점 등을 차이로 들 수 있다. ‘지도상의 유의점’에 언급한 지도방법면에서는 1차의 단원학습을 강화하되, 언어경험을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지도와 지역성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충실한 언어경험 수업이 되도록 보완하고,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1차 국어과 교육과정이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바탕을 둔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특성을 지녔다면, 2차에서는 이를 계속 유지 강화하면서도 거기에 인간형성의 교육의 측면을 보완했다는 점을 주요 특성으로 들 만하다.
(3) 3.4차 교육과정
1973년에 개정한 제3차 교육과정은 경험주의 교육사조에 바탕을 둔 1,2차 교육과정을 받아들이면서, 그 위에 본질주의 교육 사조를 어느 정도 감안한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국어교육의 이념과 목표를 모색하고 정립하고자 한 노력이 드러난다. 그것은 3차 교육과정의 3대 기본정신 가운데 ‘국민적 자질의 함양’이란 항목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나머지 기본정신으로 ‘인간교육의 강화’, ‘지식기술 교육의 쇄신’도 있는데, 이들이 3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구현된 면모는 교육내용 선정에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각 교과의 기본개념이 중시되었고, 교육방법에서는 발견과 탐구학습을 강조한 점이다라고 곽병선이 지적한 대로다.
3차 교육과정 체제는 ‘목표, 내용, 방법’의 3분법으로 되어 있어서 1,2차에 비해 더욱 체계화된 셈이다. 이 가운데 ‘목표’항은 ‘일반목표’와 ‘학년목표’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4개 항으로 정선된 ‘일반목표’는 앞서 진술한 3대 기본정신을 바탕으로 개인적이 면에서 자아실현 및 사회적인 면에서의 민주적 가치실현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학년목표’는 각 학년마다 말하기듣기읽기짓기쓰기의 5대 영역별로 한 항목씩 구체 행동목표를 제시하여 모두 30개 항을 열거하고 있다. 목표의 학년별 위계는 ‘기초적 태도, 기초적 기능, 초보적 기능, 초보적 기능의 발전, 기능의 충실, 응용기능’으로 삼았는데 다소 작위적이고 막연하여 실제 의미를 명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보이기도 한다.
3차 교육과정의 ‘내용’항은 2차 교육과정에서 상세화 시켜서 열거한 222개 학년목표를 다듬어서 여기에 수록해 놓은 셈이다. 이 내용은 다시 ‘지도사항’, ‘주요형식’, ‘재재선정의 기준’으로 구성되어서 면밀하게 계열화되어 있다. 예컨대 3학년에 해당하는 지도사항으로 ‘어법에 맞게 말하기’를 지도하려면 3학년의 주요형식 가운데 설명문, 편지글, 생활감상문 등의 형식에서 선정해서 가르칠 수 있다. 이때 글 주제가 되도록 국어애(國語愛)를 돈독히 하는 것으로 고른다면 그것이 바로 ‘제재선정의 기준’이 되는 셈이다. 이때 제재선성의 기준으로는 대체로 국가애, 문화애, 자유애, 반공민주 정신, 사고력, 창의력 및 정서순화 등 19개 항이 있다.
3차 교육과정에서 ‘방법항’은 ‘지도상의 유의점’이라 하여, 주로 지도 방법상의 대체적인 방향을 14개 항에 걸쳐 제시하고 있다. 개괄적인 진술 가운데도, 글씨쓰기의 용구선정에 관한 지도방법까지 상세히 기술한 것도 있다. 그리고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적 지도와 국어순화 강조 등 2차 교육과정과 연속된 경향도 보인다. 그러나 국어 사용 기능신장과 가치관 교육의 조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3차 교육과정의 개정
추천자료
' 7차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제와 문제점 분석'에 관한 보고서
7차교육과정에서 학교의 모습과 그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7차교육과정에서 본)
7차 교육과정의 성격및 구성방침에 대한요약
7차교육과정 8차교육과정 비교분석
우리나라 1~7차교육과정의 역사와 교육과정
7차_교육과정의_교과관과_교사관
[재량활동][제7차교육과정]재량활동의 의의, 재량활동의 성격, 재량활동의 필요성, 재량활동...
제 7차 교육과정 보고서
7차교육과정의 문제점의 고찰과 해결방법
초등수학교육(7차교육과정,2007년2009년개정) 정리
국어(국어과교육)의 특징, 국어(국어과교육)의 목표와 내용체제, 국어(국어과교육)의 수준별...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 7차교육과정 비교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