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서론
Ⅱ. 체험적 기독교와 조용기 목사
Ⅲ. 성령 세례와 조용기 목사
Ⅳ. 신유의 복음과 조용기 목사
Ⅴ. 재림의 복음과 조용기 목사
Ⅵ. 축복의 복음과 조용기 목사
Ⅶ. 결론
참고문헌
Ⅰ.서론
Ⅱ. 체험적 기독교와 조용기 목사
Ⅲ. 성령 세례와 조용기 목사
Ⅳ. 신유의 복음과 조용기 목사
Ⅴ. 재림의 복음과 조용기 목사
Ⅵ. 축복의 복음과 조용기 목사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13년에 미국의 유명한 전 천년주의자인 블랙스톤 Jesus Is Coming을 예수의 재림이라는 이름으로 번역하여 출판하였다. 이것은 한국 교회가 처음부터 전 천년설을 강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많은 선교사들이 전 천년설을 전파하였지만 이를 가장 널리 보급시킨 사람은 길선주이다. 1907년 대 부흥운동 주역인 그는 105인 사건에서 큰 아들을 잃었으며 3.1 운동에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길선주는 감옥에서 종말론을 깊게 공부하였고 묵시록을 10,200 회나 읽어 거의 암송하였다고 한다.
그는 감옥에서 종말론을 깊이 묵상하였고 감옥에서 나온 뒤 그는 한국 교회에 종말론을 강의하는 부흥강사가 되었다. 그는 역사가 퇴보된다고 믿었고, 새로운 역사는 그리스도의 재립으로 시작된다고 믿었다. 따라서 전 천년설은 현대 문명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이라는 단점이 있는 반면 세속주의를 경계하게 하며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게 만들었다. 길선주의 종말론은 한국기독교의 주된 사상이 되었다.
3.1 운동 이후 나라를 잃은 한국 사람들에게는 길선주의 종말론은 하나님의 나라에 소망을 두게 했다. 일제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며, 천년 왕국에 소망을 두었다. 동시에 이런 전 천년설은 한국 교인들에게 밀려드는 세속주의를 경계하며,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게 만들었다. 아마도 일반 기독교가 많은 사람들에게 서구문명의 전달지 역할을 한 반면 전 천년설은 서구의 세속 문명에 대한 비판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했다고 말 할 수 있다. 길선주 목사는 종말의 증거로서 여권의 신장, 어른 멸시, 신분의 무시, 통신 수단의 발달, 전쟁의 소문, 국제 연맹의 등장, 공산주의의 확산 등을 들었다. 길선주 말세학 p.39-72.
길선주의 종말론은 단지 몇몇 사람의 학문이 아니었다. 따라서 길선주의 종말론은 한국 기독교의 주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재림사상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1920년대부터 한국사회에는 사회주의 사상이 들어왔고, 여기에 일부 기독교인들은 강하게 반발하였다. 이렇게 사회주의에 반대한 기독교의 배후에는 바로 전 천년주의자들이 있다. 미국의 근본주의자들은 공산주의를 말세에 나타나는 붉은 용이나 전형적인 악마의 세력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반공사상은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한국 기독교의 밑바닥에 자리 잡았다.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 도 일본과 한국 기독교는 공산주의를 반대한다는 점에서 같은 입장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반공입장이 더욱 강하게 부각된 것은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다.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는 소위 냉전 체제에 접어들게 되었고, 전 천년주의자들은 반공의 입장을 더욱 분명히 했다. 사실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전 천년주의자들은 매우 흥분했다. 이들은 1948년 이스라엘의 회복을 말세의 결정적인 징조로 보았고, 이제 종말이 멀리 않았다고 생각했다.
해방 후 한국 교회에서 종말론을 강하게 전한 사람은 성결 교회의 김응조 목사이다. 스스로 다니엘서와 계시록의 전문가라고 말하는 김응조는 해방 직후 한국사회에 건국의 기쁨을 전하기보다는 종말을 준비하게 하였다. 이런 입장은 성결교회의 사부라고 일컫는 이명직에게도 강하게 나타난다. 이명직 목사는 적그리스도를 정의하여 “무신론을 주장하며, 모든 종교를 부정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하고, 자기를 가르쳐 하나님이라고 하야 완연히 적대 행동을 할 것이니 금일의 무신론, 유물사상은 그 전조니라”고 하여 공산주의가 적 그리스도임을 분명히 하였다.
세계 오순절운동도 이런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데 조용기 목사도 마찬가지이다. 오순절 운동은 성결운동, 근본주의 운동과 더불어 전 천년설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는 공중재림과 지상 재림, 휴거, 7년 대 환란, 천년왕국, 백보좌 심판, 신천신지의 사상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조용기 목사의 종말론은 단지 종말론에 대한 예언서가 아니다. 이것은 세계의 역사를 보는 눈을 우리에게 제공해 주고 있다. 조용기 목사의 이런 종말론은 그의 세계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는 반공주의자이며 이슬람을 선교의 대상으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도구로 생각한다. 이것은 미국 복음주의와 오순절 운동의 그것들과도 같다.
조용기 목사의 종말론을 통해서 보는 그의 세계관은 첫째, 친 이스라엘적인 역사 이해이다. 조용기 목사는 종말의 가장 강력한 징표로서 이스라엘의 회복을 들고 있다. 순복음 교육 연구소, 오중 복음과 3중 구원의 축복, p.108.
더 나아가서 그는 한국을 동양의 이스라엘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스라엘이 세계 선교를 위한 사명이 있는 것처럼 한국도 그렇다는 것이다. 둘째는 유럽의 통합을 말세의 징조라고 보는 것이다. 조용기 목사는 유럽은 통합되지 않고서는 미국과 소련사이에서 살아갈 수 없으며 그러면 하늘에서 뜨인 돌이 나와서 역사는 종말을 고한다는 것이다. 셋째 공산주의는 적 그리스도라는 곳이다. 조용기 목사는 공산주의가 계시록에 나오는 붉은 용이라고 말한다. 그는 세계 역사는 영적인 전쟁이라고 말하면서 공산주의라는 사탄의 세력을 결박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조용기, 다니엘서 강해, p. 184-185.
조용기 목사의 이런 종말론은 그의 세계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는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반공산주의자이며, 이슬람은 기독교에 대항하는 세력으로 선교의 대상이며,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역사 도구라는 것이다. 이런 그의 입장은 한편으로는 해방 이후 전형적인 한국인들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전형적인 미국의 복음주의적 오순절 운동의 입장과 유사한 점이 있다. 이승말과 박정희 정부의 가장 근본적인 입장은 반공이다. 한국 기옥교는 한국의 어떤 단체보다도 반공의 입장에 서 있으며 그 밑 바닥에는 전 천녀설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미국 복음주의와 오순절 운동은 하나님이 미국을 택하셔서 세계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공산주의와 이슬람은 적 그리스도요, 유럽은 구질서를 대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조용기 목사의 종말론은 현대과학을 비판하지 않는다. 그는 현대 문화를 잘 수용하고 이것을 목회 최전선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일제 시대의 종말론자들이 현대
많은 선교사들이 전 천년설을 전파하였지만 이를 가장 널리 보급시킨 사람은 길선주이다. 1907년 대 부흥운동 주역인 그는 105인 사건에서 큰 아들을 잃었으며 3.1 운동에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길선주는 감옥에서 종말론을 깊게 공부하였고 묵시록을 10,200 회나 읽어 거의 암송하였다고 한다.
그는 감옥에서 종말론을 깊이 묵상하였고 감옥에서 나온 뒤 그는 한국 교회에 종말론을 강의하는 부흥강사가 되었다. 그는 역사가 퇴보된다고 믿었고, 새로운 역사는 그리스도의 재립으로 시작된다고 믿었다. 따라서 전 천년설은 현대 문명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이라는 단점이 있는 반면 세속주의를 경계하게 하며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게 만들었다. 길선주의 종말론은 한국기독교의 주된 사상이 되었다.
3.1 운동 이후 나라를 잃은 한국 사람들에게는 길선주의 종말론은 하나님의 나라에 소망을 두게 했다. 일제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며, 천년 왕국에 소망을 두었다. 동시에 이런 전 천년설은 한국 교인들에게 밀려드는 세속주의를 경계하며,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게 만들었다. 아마도 일반 기독교가 많은 사람들에게 서구문명의 전달지 역할을 한 반면 전 천년설은 서구의 세속 문명에 대한 비판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했다고 말 할 수 있다. 길선주 목사는 종말의 증거로서 여권의 신장, 어른 멸시, 신분의 무시, 통신 수단의 발달, 전쟁의 소문, 국제 연맹의 등장, 공산주의의 확산 등을 들었다. 길선주 말세학 p.39-72.
길선주의 종말론은 단지 몇몇 사람의 학문이 아니었다. 따라서 길선주의 종말론은 한국 기독교의 주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재림사상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1920년대부터 한국사회에는 사회주의 사상이 들어왔고, 여기에 일부 기독교인들은 강하게 반발하였다. 이렇게 사회주의에 반대한 기독교의 배후에는 바로 전 천년주의자들이 있다. 미국의 근본주의자들은 공산주의를 말세에 나타나는 붉은 용이나 전형적인 악마의 세력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반공사상은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한국 기독교의 밑바닥에 자리 잡았다.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 도 일본과 한국 기독교는 공산주의를 반대한다는 점에서 같은 입장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반공입장이 더욱 강하게 부각된 것은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다.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는 소위 냉전 체제에 접어들게 되었고, 전 천년주의자들은 반공의 입장을 더욱 분명히 했다. 사실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전 천년주의자들은 매우 흥분했다. 이들은 1948년 이스라엘의 회복을 말세의 결정적인 징조로 보았고, 이제 종말이 멀리 않았다고 생각했다.
해방 후 한국 교회에서 종말론을 강하게 전한 사람은 성결 교회의 김응조 목사이다. 스스로 다니엘서와 계시록의 전문가라고 말하는 김응조는 해방 직후 한국사회에 건국의 기쁨을 전하기보다는 종말을 준비하게 하였다. 이런 입장은 성결교회의 사부라고 일컫는 이명직에게도 강하게 나타난다. 이명직 목사는 적그리스도를 정의하여 “무신론을 주장하며, 모든 종교를 부정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하고, 자기를 가르쳐 하나님이라고 하야 완연히 적대 행동을 할 것이니 금일의 무신론, 유물사상은 그 전조니라”고 하여 공산주의가 적 그리스도임을 분명히 하였다.
세계 오순절운동도 이런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데 조용기 목사도 마찬가지이다. 오순절 운동은 성결운동, 근본주의 운동과 더불어 전 천년설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는 공중재림과 지상 재림, 휴거, 7년 대 환란, 천년왕국, 백보좌 심판, 신천신지의 사상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조용기 목사의 종말론은 단지 종말론에 대한 예언서가 아니다. 이것은 세계의 역사를 보는 눈을 우리에게 제공해 주고 있다. 조용기 목사의 이런 종말론은 그의 세계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는 반공주의자이며 이슬람을 선교의 대상으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도구로 생각한다. 이것은 미국 복음주의와 오순절 운동의 그것들과도 같다.
조용기 목사의 종말론을 통해서 보는 그의 세계관은 첫째, 친 이스라엘적인 역사 이해이다. 조용기 목사는 종말의 가장 강력한 징표로서 이스라엘의 회복을 들고 있다. 순복음 교육 연구소, 오중 복음과 3중 구원의 축복, p.108.
더 나아가서 그는 한국을 동양의 이스라엘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스라엘이 세계 선교를 위한 사명이 있는 것처럼 한국도 그렇다는 것이다. 둘째는 유럽의 통합을 말세의 징조라고 보는 것이다. 조용기 목사는 유럽은 통합되지 않고서는 미국과 소련사이에서 살아갈 수 없으며 그러면 하늘에서 뜨인 돌이 나와서 역사는 종말을 고한다는 것이다. 셋째 공산주의는 적 그리스도라는 곳이다. 조용기 목사는 공산주의가 계시록에 나오는 붉은 용이라고 말한다. 그는 세계 역사는 영적인 전쟁이라고 말하면서 공산주의라는 사탄의 세력을 결박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조용기, 다니엘서 강해, p. 184-185.
조용기 목사의 이런 종말론은 그의 세계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는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반공산주의자이며, 이슬람은 기독교에 대항하는 세력으로 선교의 대상이며,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역사 도구라는 것이다. 이런 그의 입장은 한편으로는 해방 이후 전형적인 한국인들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전형적인 미국의 복음주의적 오순절 운동의 입장과 유사한 점이 있다. 이승말과 박정희 정부의 가장 근본적인 입장은 반공이다. 한국 기옥교는 한국의 어떤 단체보다도 반공의 입장에 서 있으며 그 밑 바닥에는 전 천녀설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미국 복음주의와 오순절 운동은 하나님이 미국을 택하셔서 세계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공산주의와 이슬람은 적 그리스도요, 유럽은 구질서를 대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조용기 목사의 종말론은 현대과학을 비판하지 않는다. 그는 현대 문화를 잘 수용하고 이것을 목회 최전선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일제 시대의 종말론자들이 현대
추천자료
세계 교회사 정리
[교회사서평]휫 필드와 웨슬리 , 존 라일 , 부흥과 개혁사 2005.
조셉린치의 중세교회사 자료입니다.
공동체 운동의 교회사적 조명
간추린 교회사
[바울신학][의인론][기독론][복음][칭의][십자가]바울신학의 의인론, 바울신학의 기독론, 바...
유세비우스(Eusebius)의 교회사
사이비 이단에 대한 성경적, 교회사적 고찰_ 정경, 신론, 인간론, 기독론, 성령론, 구원론, ...
[초대교회사]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 - 클레멘트의 생애와 경력(Cl...
[초대교회사] 개혁노력 (Effort At Reform)-종교회의운동(The Conciliar Movement), 교회 바...
[초대교회사] 속 사도들 (續使徒 The Apostolic Fathers )- 속 사도들의 글들, 속 사도들의 ...
[초대교회사] 사도시대 (使徒 時代 / The Apostolic Age) - 기독교가 탄생한 세계, 기독교의 ...
시대 구분과 교회사를 배우는 이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