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도시입지]풍수지리가 도시입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풍수지리의 기본원리, 풍수설의 역사와 흐름, 풍수 용어, 풍수지리의 원리, 도시의 공간구조와 풍수지리, 명당의 현대적 증거, 풍수지리사상)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수지리][도시입지]풍수지리가 도시입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풍수지리의 기본원리, 풍수설의 역사와 흐름, 풍수 용어, 풍수지리의 원리, 도시의 공간구조와 풍수지리, 명당의 현대적 증거, 풍수지리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풍수지리
1. 풍수지리의 기본원리
2. 풍수설의 역사와 흐름
3. 풍수 용어
4. 풍수지리의 원리
1) 간룡법
2) 장풍법
(1) 사신사
(2) 청룡과 백호
(3) 현무와 주작
(4) 수구사와 나성사
3) 득수법
4) 점혈법
5) 좌향론
6) 형국론

Ⅱ. 도시의 공간구조와 풍수지리
1. 명당의 현대적 증거
1) 간용법과 구성산형
2) 혈장의 지하수맥, 기맥선 분석
3) 양택명당의 지하수맥, 기맥선 측정
2. 묘지 풍수
3. 주거풍수
4. 서울의 풍수적 입지와 서울의 공간형성
5. 양동마을
6. 건물 증축, 개축시 고려사항

Ⅲ. 결론

본문내용

派)보다는 훌륭한 집을 세우려 하는 가족중심적 성향이 강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가옥은 절대로 종가 보다는 높은 장소에 세워서는 안되었고, 지대가 높은 경우에도 계곡의 경사면에 집을 세웠다. 그와 같은 위에 모든 종가나 각 파(派)에 속하는 정자에 올라서 보면 마을 전체가 바라보이지만 그것은 자신의 집으로부터 하인들의 집을 내려다 보는 것과 같은 심적인 배경으로부터 발생한 유교적 관념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6. 건물 증축, 개축시 고려사항
우리선조들은 주택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터줏대감 이 있어 잡귀의 침범이나 재앙을 막아 준다고 믿어왔다. 또 집안에 살고 있는 구렁이, 두꺼비, 족제비 등은 재산을 늘려주는 영물로 여겨 해치거나 내쫓지 않았다. 건물이나 주택은 땅위에 지어지면서 하나의 유기체적인 존재가 된다. 그래서 풍수에서 증축이나 개축을 할 땐 환경적 변화를 우려하여 신중을 기하도록 했다.
단순히 살던 집이 낡았거나 좁아 생활하기에 불편하다고 주택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뜯어 고치면 그동안 그 집에서 이룩해온 가운이 기울게 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이전의 주택환경에 자연스럽게 적용된 거주자 구조적으로 변한 새로운 주택환경에 적응치 못하여 신체 리듬이 깨지면서 우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영업을 하는 산업용 건물에서도 똑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들면 허름하고 보잘 것 없는 시설과 비위생적인 여건의 음식점이, 최신식 시설로 치장한 음식점보다 잘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물론 장사를 한곳에서 오랫동안 하였기에 단골손님이 있기는 하겠지만 아무리 보아도 될성 싶지 않은 장소에서 의외로 손님이 많은 것을 보면 아이러니컬하기도 하다. 이처럼 다 쓰러져가는 단층 한옥 건물에서 장사를 잘 하다가 갑자기 최신식 건물을 지어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려고 이전하였다가 손님이 갑자기 끊겨 파리만 날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음식맛이 변한 것도 아닌데 손님이 줄어드는 것은 이전의 음식점에서 풍기던 자연스런 기운이 신축된 건물의 낯선 분위기로 대체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와같이 건물의 증개축으로 인하여 거주자가 알게 모르게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물론 증개축을 통하여 통풍과 채광을 원활하게 만들어 행운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살던 집이나 상가가 그동안 평안했다면 불편한 부분만을 최소 한도로 보수하거나 개축하여 마음에 드는 집으로 바꾸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증축을 하지 않고 단순히 내부의 일부분만 고치고자 할 때에는 그 부분의 구조만 간단하게 바꾸면 되지만 일단 작업을 시작하고 보면 대대적인 공사가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 건물을 부분적으로 수리를 하고 기존 시설을 그대로 쓰고자 할 때에는 기존의 재료와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기존의 건물과 새 건물이 이어지는 부분은 다용도실이나 창고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어떤 부분을 늘리거나 구조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무조건 고치기보다는 전체적인 균형 감각을 고려해 일부를 고치거나 증축해야 한다. 증개축으로 인한 복(福)된 터를 화근의 자리로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에서는 고래로부터 자생풍수(自生風水)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이론 풍수설이 전래된 것은 신라의 삼국 통일 시대인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 석탈해왕이 초생달 모양의 명당지를 얻어 살다가 왕이 되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나, 백제가 도성을 공주에서 풍수적 지리 요건에 맞는 반월형(半月形)의 부여로 옮겼다는 사실, 신라의 진덕여왕이나 무열왕(武烈王)의 능과 김유신(金庾信)장군의 묘가 풍수지리설로 볼 때 명당에 해당하는 곳이라는 점 등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와 고려 때까지만 하더라도 이 풍수설은 지배계층에만 신봉되었고, 일반 민중들에까지 널리 생활화된 것은 조선시대 이후라 하겠다.
풍수지리설은 한 나라가 강성하려면 땅의 정기와 왕성한 길지(吉地)를 택하여 도읍을 삼아야 한다는 왕도(王都)풍수설, 조상의 유해를 지기(地氣)가 왕성한 곳에 안장해야 자손이 번성하고 가문에 영달이 있다는 음택설(陰宅說), 살아 있을 때 지상의 정기가 뭉쳐진 곳에 거쳐해야 장수하고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다는 양택설(陽宅說) 등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이 풍수지리설은 산, 물, 방향이라는 3가지를 기본으로하여 형국(形局), 심혈(尋穴), 좌향(坐向)을 관산(觀山)의 요건으로 삼아서 길지를 택하는 것이다. 훌륭한 보국(保局)을 찾는 데는 간룡(看龍), 장풍(藏風), 득수(得水)가 요체(要諦)이다.
장풍은 공기, 즉 천지간의 바람을 타고 이합집산하여 운행하는 정기를 모으는 법을 말하는데, 우리들이 기거하는 양택(陽宅)에서 중요시하는 것이고, 득수는 물에 실려오는 정기를 이르는데, 특히 음택(陰宅)에서 중요시하는 요소이다.
심혈(尋穴)은 명당, 즉 혈지(穴地)의 정확한 지점을 찾는 것으로 제일 지난(至難)한 일이다. 대개 혈지는 주산(主山)과 내용(來龍)을 보고 찾기도 하고, 사격(砂格)과 주위산(周圍山)의 응기로 찾아보며 오행산(五行山)을 구별하여 찾아보기도 한다.
좌향(坐向)은 천간(天干) 12자(字) 및 건(乾), 곤(坤), 간(艮), 손(巽) 등 4유(維)와 십간(十干)에서 무(戊), 기(己)를 뺀 8간(干)을 합한 24방(方)으로 나누어 방위에 따른 길흉화복을 정하는 법이다.
이러한 풍수지리설은 산천과 조상의 정기가 인간이나 후손에 감응(感應)될 수 있는 지가 문제이다. 우리는 텔렉스, 라디오 등으로 자기(磁氣), 전파(電波)같은 보이지 않는 신비한 기(氣)에 의해 지구의 반대편 소식을 거의 동시에, 동일한 내용을 전달받을 수 있는 데서 기(氣)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주파수만 맞으면 감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상과 자손사이에는 기(氣)의 동질로 인해 (DNA가 같기 때문에) 동기감응(同氣感應)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과거의 왕후장상(王侯將相) 가깝게는 역대 대통령이나 중요 인물들의 조상 묘들이 명당이 아닌 곳이 없다는 것만 봐도 조상의 발복(發福), 즉 감응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으므로 풍수지리설을 한갓 미신으로만 돌릴 수는 없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12.23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