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한국 시문학]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 시 경향, 낭만주의 시 언어와 미적 특성, 황석우, 이상화, 권구현, 정태신, 보성, 김억, 주요한, 한용운, 오상순, 김기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한국 시문학]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 시 경향, 낭만주의 시 언어와 미적 특성, 황석우, 이상화, 권구현, 정태신, 보성, 김억, 주요한, 한용운, 오상순, 김기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1920년대 시의 경향
1. 1920년대(초반)
2. 1920년대(중반이후)

Ⅲ. 낭만주의 시의 언어와 미적 특성
1. 자연 언어의 주관성
2. 청각적 이미지와 은유구조

Ⅳ. 황석우 : 아나키즘의 상징주의와 상징주의의 아나키즘

Ⅴ. 이상화 : 상징주의와 아나키즘의 상호 역동적 구성
1. 주체의 확대와 현실의 분절
2. 주체와 내적 타자의 역동적 구성

Ⅵ. 권구현 : 상징주의와 아나키즘의 분화
1. 주체의 신명과 구경적 세계
2. 시적 주체의 유토피아적 세계의 확대와 주체의 종속

Ⅶ. 정태신과 장미촌

Ⅷ. 보성과 폐허

Ⅸ. 김억의 봄은 간다

Ⅹ. 주요한의 불놀이

Ⅺ. 한용운의 타골의 시 GARDENISTO

Ⅻ. 오상순의 아시아의 마지막 밤 풍경

ⅩⅢ. 김기진의 백수의 탄식

ⅩⅣ. 조 운의 고우 죽창

ⅩⅤ. 아나키즘과 상징주의 및 낭만주의의 근친성

ⅩⅥ. 사상운동과 문학의 소통

본문내용

향받은 정태신, 신태악 등에게서 생철학과 결합된 아나키즘 사상의 흔저이 보인다. 아나키즘적 정열과 근대문학의 시혼이 결절되는 지점을 우리는 재 탐색해 보아야 하는 것이다. 왜 이들 문인들이 이 사상운동단체의 회원들을 동인으로 끌어들였는가 혹은 아나키스트 등 사상운동가들이 문학 잡지에 글을 게재하는가 하는 사실은 좀 더 탐구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이는 우리 근대시사의 한 지형도를 그리는 데 분명 상징주의나 낭만주의, 퇴폐주의의 등의 테두리 내로 한정할 수 없다는 하나의 뚜렷한 증거가 된다.
ⅩⅥ. 사상운동과 문학의 소통
1920년대 초기 사상운동가들과 문인들의 관계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비교적 뚜렷하게 찾아진다. 그들은 일종의 연합 형태로 잡지에 간여했다. 그들의 글 속에는 자아각성, 생명 등의 주제가 ‘힘’의 강조와 함께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황석우와 이혁로, 정태신 등과의 관계는 사상운동의 교류 가운데서 생겨난 것이다. <삼광>, <장미촌>, <신생활>, <폐허> 등에 사상운동가들이 참여하게 된 연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남궁벽과 염상섭, 그리고 황석우의 관계도 이러한 역학 관계를 반영한 것이다. <폐허>와 <신생활>, <장미촌> 등 황석우가 중심인물로 간여했던 잡지에는 사상운동가들이 동인으로 참여한다. 그리고 대판에서 노동자 생활을 했던 염상섭도 이 때 황석우와 지우의 정을 맺게 된다. 유사한 연유로 <신생활>에도 염상섭과 남궁벽이 깊숙하게 개입되어 있었던 것 같다. 김명식, 유진희 등 상해파 좌익이 주도했고 이혁로가 관계했던 <신생활>에 남궁벽의 시와 일기가 게재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닌 듯하다. <신생활>에는 남궁벽의 시 별의 압흠 그리고 기타등의 시와 그가 죽고 난 뒤 염상섭섭이 번역해 발표한 我孫子日記가 실려 있다. 남궁벽은 1921년 3월에 유종열의 집에서 머물러 있었고 일본 최고의 소설가였던 志賀直哉를 만나러 가기도 하였다. 당시 남궁벽은 일본어에 능통해 일본어로 된 시를 발표하기도 했고 일본의 대잡지 <태양>에 조선문화상의 광휘점(1919.10)을 발표해 고구려 벽화의 위대성을 논파한 명논설로 이름을 날리고 있었다. 그는 동양대학 철학부 교수였던 유종열을 동아일보 기자로 있던 염상섭에게 소개했고 유종열의 강연회와 유종열 부인이었던 유겸자의 독창회가 경성에서 성황리에 열릴 수 있었다. 남궁벽이 사상잡지 <신생활>에 글을 싣게 된 것도 사상운동가들과 문인들 간의 교유를 증거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중심적 역할을 했던 인물이 사상운동과 문학 활동을 동시에 했던 황석우였다. 남궁벽이 폐허의 모델을 백화파의 그것에 두고 있었고 백화파의 자아각성을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주의에 그 이념적 토대를 두었다는 것, 그리고 이것이 사상운동에 그것의 한 축을 대고 있었다는 것도 <폐허>의 성격 규정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흔히 알려진 대로 데카당스와 퇴폐주의의 온상으로 <폐허>의 성격을 규정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동인 구성면이나 그들이 내세운 이념적 측면에서도 <폐허>의 성격은 사양 문예사조사의 측면을 단선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국면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 당시 비전문문인들, 특히 사상운동가들의 시가 마르크시즘 사상을 띠기보다는 이상주의적이고 사변적인 성격이 강했다는 데서 문학의 중심 담론과 사상운동의 친연성을 확인할 수 있다. 공산주의 단체에 속해 있었던 보성의 경우에도 이 상징주의적인 요소는 피해가기 어려웠다. 더욱이 <폐허> 창간호에 실린 ‘네발국소래나 이혁로의 이름으로 실린 황장미화의 경우, 상징적이고 암시적인 측면이 더욱 강하다. 특히 생명과 자아를 두드러지게 강조하고 있는 것은 당대 주류 담론의 한 가운데 이들 사상운동가들이 많은 부분 노출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황석우가 월평의 대상으로 삼았던정태신의 시 새 生命에서조차 마르크시즘 사상의 편린이 별로 발견되지 않는다. <공제>가 공산주의 사상을 선전하는 잡지였음을 감안한다면 이는 더욱 의아스럽다. 정태신이 <장미촌>에서 보여준 편지글처럼 탐미적이고 이상주의적인 경향을 드러낸다. 아나키즘이 내포한 이상주의에 가까운 측면이 강하다. 니체와 톨스토이를 언급하고 있음을 보아도 공산주의 사상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다기보다는 아나키즘적 사유의 편린을 강하게 드러낸다. 태양을 숭엄 장미한 자연으로 묘사하는 것이나, 참생명의 강조, 참되고 절대적인 진리, 지에 대한 찬미 등을 보더라도 이 같은 주제 의식은 이 시대 시의 주류적 경향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보성의 시 또한 엄밀하게 공산주의적 경향을 띤다고 보기는 어렵고 아나키즘과 상징주의, 니체 철학 등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사상의 제경향을 동시에 보여준다. 즉 당시의 사상운동가들의 시에 다분히 번져 있는 상징적 요소란 한편으로는 힘과 의지와 역동적 생명력으로 부딪히는 사상운동가적 요소와 인간 주체의 저 깊은 심연에서 우러나는 근대적 내면성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로써 1920년대 초기 시에 있어 상징주의와 당대 사회주의 사상, 아나키즘 공산주의 사상과의 내면적인 근친성이 입증된다. 이 점은 <폐허> 지에 실린 公民의 洋鞋와 詩歌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공민은 알려진 대로 나혜석의 오빠이고 아나키스트였다. 이 글은 공민 사상의 한 끝점을 알게 할 뿐만 아니라 당시 사상운동가와 문인의 관계에 대한 작은 암시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 글은 공민과 백화파 화가의 대화로 시작된다. 이 대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문제는 시인과 평민과의 거리이다. 이 거리를 어떻게 좁혀야하는가가 공민의 관심사라면 백화파 화가는 이 거리를 과연 좁힐 수 있고 좁혀야 하는가 하는 문제로 접근한다. 이 둘의 생각은 그렇다면 거의 평행선을 달려야 한다. 공민의 사상은 아나키즘과 민중주의를 대변하고 있고 백화파 화가는 예술가 본연의 천분(천재성)과 존재성을 이야기 하고 있어서 이 양자의 고민은 쉽게 해소될 것 같지 않다. 따라서 이 글도 자연히 이 의문에 대한 결론을 유보하면서 끝맺는다. 이 같은 유보적 입장은 그들이 품었던 이상주의적 성격에서 사상운동적 요소와 문학적 예술가적 요소를 분리하지 못했던 당시 사상운동가들의 고민이 어려있다.
  • 가격10,000
  • 페이지수54페이지
  • 등록일2006.12.28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5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