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문헌고찰
1)자궁경부암
2)자궁적출술
ll. 연구긴 및 방법
lll.간호과정
1. 간호사정
1)대상자의 건강양상
2)대상자의 건강력
3)신체검진
4)약물
5)진단검사(혈액,혈액화학,소변,특수검사)
2. 간호과정적용
-진단1
-진단2
-진단3
-진단4
lv.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문헌고찰
1)자궁경부암
2)자궁적출술
ll. 연구긴 및 방법
lll.간호과정
1. 간호사정
1)대상자의 건강양상
2)대상자의 건강력
3)신체검진
4)약물
5)진단검사(혈액,혈액화학,소변,특수검사)
2. 간호과정적용
-진단1
-진단2
-진단3
-진단4
lv. 결론
본문내용
.
6) 진통이 너무 심할 경우 PCIA를 권장하 였으며, PCIA의 일시적인 side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7) 정서적 지지를 하였다.
수술 후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다.
간 호 사 정
Subjective
Data
“오줌이 자주 마려워요”
“혼자 스스로 소변을 보지는 못 할 것 같아요.”
“빨리 빼고 싶어요”
Objective
Data
수술 후 유치 도뇨관 삽입 중.
urine output :530cc (7월4일), 1410cc(5일),260cc(11일), 650cc (12일), 870cc(13일)
간 호 진 단
장기간의 유치 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배뇨장애
간호목표/계 획
간 호 수 행
간 호 평 가
☞ 목 표
° 수분섭취량과 배뇨량의 균형이 유지된다.
° 잔뇨량이 50cc 이하이다.
☞ 계 획
1) 배뇨양상을 사정한다.
2) 도뇨관 상태를 확인한다.
3) 요 수집주머니 위치를 확인한 다.
4) 수술 후 7일 째부터 방광훈련 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격려 한다.
5) 적절한 수분섭취를 유지시키고 배설량을 측정한다.
6) 자가 배뇨시 편안한 환경을 제 공한다.
7) 심호흡이나 근육이완 등을 격 려한다.
8) 배뇨 강화법을 알려준다.
9)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한다.
10)회음부 부종 시는 얼음찜질이 나 다리를 올리도록 한다.
1) 배뇨양상을 사정하였다.
2) 도뇨관이 막히거나 꼬이지 않았는지 보 았다.
3) 요 수집주머니가 방관보다 아래에 놓이 도록 하였다.
4) 매일 방광 훈련하도록 지지하였다.
- 도뇨관을 막고 요의를 느끼면 푼다.
- 4시간 이상 막아두지 않는다.
- 밤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 요의를 느끼는지 사정한다.
5) I/O check를 시행하였다.
850/530cc (7월4일), 2650/1410cc(7월5일), 260cc(6일), 650cc(7일), 870cc(8일)
6) 자가 배뇨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 하였 다.
7) 심호흡과 근육이완을 하도록 지지 하였 다.
8) 자가 배뇨 시 crede법, 수돗물 흘리기, valsalva법, 이중배뇨 등을 격려하였다.
9) 자가 배뇨 후 단순도뇨를 시행하여 잔뇨 량을 측정하였다.
- self urine : 210cc
10) 회음부 부종은 없었다.
소변색깔, 혼탁도, 요비중 등은 모두 정상.
도뇨관은 꼬이지 않았다.
2일 자가 배뇨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잔뇨량이 80cc가 나와 다시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였다.
DIAGNOSIS Ⅲ.
DIAGNOSIS Ⅳ.
간 호 사 정
Subjective
Data
“지금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래도 암인데 나중에 위험하 지는 않겠죠?”
“퇴원 후에 어떻게 관리 해야하 는지 모르겠어요.”
Objective
Data
추후관리를 모름
교육정도 - 중졸
간 호 진 단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목표/계 획
간 호 수 행
간 호 평 가
☞ 목 표
° 추후관리에 대한 이해정도를 말할 수 있다.
☞ 계 획
1)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 퇴원 후 주의할 사항, 가능한 합병증 및 대처방안에 대해 교육한다.
3) 집에서의 운동과 수면에 관해 교육한다.
4) 조이는 옷을 입지 않도록 한 다.
5) 추후 집에서의 개인위생(목 욕)에 대해 설명한다.
6) 퇴원 후 영양 관리에 교육한 다.
1)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
2) 퇴원 후 주의할 사항, 가능한 합병증 및 대처방안에 대해 교육하였다.
- 6주 동안 무거운 물건을 글거나 쪼그리고 앉기, 굽 높은 구두신기 등은 피하도록 설 명하였다.
3) 의사가 허락할 때 까지 골반울혈을 증가 시키는 운동을 피하도록 설명하였다.(승 마, 장시간 앉아있기) 또한 수면시간은 평상시보다 더 갖도록 설명하였다.
4) 조이는 옷을 입지 않도록 설명하였다.
5) 샤워는 가능하나 통목욕은 4주 후에 하도 록 교육하였다.
6) 고단백, 철분제제 섭취를 권장하였다.
본인은 잘 알게 되었고 보호자는 잘 이해하고 자세히 알게 되었다.
IV. 결 론
요즘 출산률 저하로 또한 의학의 발달로 OBGY의 환자들의 수가 많지 않은 상황인데 이번 실습기간동안은 유난히 GY환자 case가 많았던 것 같다. 병동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여러 case를 볼 수 있는 기회라고 운이 좋다고 하셨던 것만큼 많은 환자를 볼 수 있었다. GY환자들은 대부분 OP를 목적으로 admission하기 때문에 수술 전후 간호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번 case는 처음이라 처음엔 어떤 환자를 case로 잡아야 할지, 환자에게 어떻게 가다갈 수 있을지 많은 어려움을 느꼈었고, 환자에게 혹시 숨기고 싶거나 생각하고 싶지 않은 정보가 있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마음도 많이 생겼었다. 점점 시간이 갈수록 환자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고, 병동 내에 선생님들께서 여러 방면으로 이것저것 도와주시고, 많은 정보를 주셔서 이번 case study를 무사히 끝마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 외에 내용적인 면에서도 솔직히 20대에 우리세대에게 가장 무관심한 part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이러한 인식의 정반대에서 여성에게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또 하나의 part를 실습할 수 있게 되었고, 중요한 case들을 관찰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은 경험을 쌓는 것 같다. 첫 case study라 많은 내용적인 면이 충실 하지 않겠지만 내용적인 면보다는 나의 경험에 좋은 시간을 보냈다는 것에 더 의의를 둔다.
막상 두렵기만 했던 case study를 마치고 나니 후련한 반면, report를 쓰면서 부족한 점이 많이 드러나는 것 같아서 아쉽다. 또한 환자와 정들었던 만큼 실습이 끝나면 뵐 수 없다는 생각에 서운하기도 한다. 귀찮을 텐데도 웃으면서 친절하게 대답해주신 환자분과 보호자분께 감사드리고, 빨리 완쾌되어 자신의 역할에 만족을 느낄 만큼 회복되셨으면 좋겠다.
▣ 참고문헌 ▣
의약품집,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출판부 , 2004
이순희,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지침서, 현문사 , 2003
최연순 외,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1999
이경혜 이영숙 외, 여성간호학 하(I,Ⅱ), 현문사, 2004
유해영,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김남초 외, 간호과정, 현문사, 1998
6) 진통이 너무 심할 경우 PCIA를 권장하 였으며, PCIA의 일시적인 side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7) 정서적 지지를 하였다.
수술 후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다.
간 호 사 정
Subjective
Data
“오줌이 자주 마려워요”
“혼자 스스로 소변을 보지는 못 할 것 같아요.”
“빨리 빼고 싶어요”
Objective
Data
수술 후 유치 도뇨관 삽입 중.
urine output :530cc (7월4일), 1410cc(5일),260cc(11일), 650cc (12일), 870cc(13일)
간 호 진 단
장기간의 유치 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배뇨장애
간호목표/계 획
간 호 수 행
간 호 평 가
☞ 목 표
° 수분섭취량과 배뇨량의 균형이 유지된다.
° 잔뇨량이 50cc 이하이다.
☞ 계 획
1) 배뇨양상을 사정한다.
2) 도뇨관 상태를 확인한다.
3) 요 수집주머니 위치를 확인한 다.
4) 수술 후 7일 째부터 방광훈련 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격려 한다.
5) 적절한 수분섭취를 유지시키고 배설량을 측정한다.
6) 자가 배뇨시 편안한 환경을 제 공한다.
7) 심호흡이나 근육이완 등을 격 려한다.
8) 배뇨 강화법을 알려준다.
9)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한다.
10)회음부 부종 시는 얼음찜질이 나 다리를 올리도록 한다.
1) 배뇨양상을 사정하였다.
2) 도뇨관이 막히거나 꼬이지 않았는지 보 았다.
3) 요 수집주머니가 방관보다 아래에 놓이 도록 하였다.
4) 매일 방광 훈련하도록 지지하였다.
- 도뇨관을 막고 요의를 느끼면 푼다.
- 4시간 이상 막아두지 않는다.
- 밤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 요의를 느끼는지 사정한다.
5) I/O check를 시행하였다.
850/530cc (7월4일), 2650/1410cc(7월5일), 260cc(6일), 650cc(7일), 870cc(8일)
6) 자가 배뇨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 하였 다.
7) 심호흡과 근육이완을 하도록 지지 하였 다.
8) 자가 배뇨 시 crede법, 수돗물 흘리기, valsalva법, 이중배뇨 등을 격려하였다.
9) 자가 배뇨 후 단순도뇨를 시행하여 잔뇨 량을 측정하였다.
- self urine : 210cc
10) 회음부 부종은 없었다.
소변색깔, 혼탁도, 요비중 등은 모두 정상.
도뇨관은 꼬이지 않았다.
2일 자가 배뇨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잔뇨량이 80cc가 나와 다시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였다.
DIAGNOSIS Ⅲ.
DIAGNOSIS Ⅳ.
간 호 사 정
Subjective
Data
“지금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래도 암인데 나중에 위험하 지는 않겠죠?”
“퇴원 후에 어떻게 관리 해야하 는지 모르겠어요.”
Objective
Data
추후관리를 모름
교육정도 - 중졸
간 호 진 단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목표/계 획
간 호 수 행
간 호 평 가
☞ 목 표
° 추후관리에 대한 이해정도를 말할 수 있다.
☞ 계 획
1)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 퇴원 후 주의할 사항, 가능한 합병증 및 대처방안에 대해 교육한다.
3) 집에서의 운동과 수면에 관해 교육한다.
4) 조이는 옷을 입지 않도록 한 다.
5) 추후 집에서의 개인위생(목 욕)에 대해 설명한다.
6) 퇴원 후 영양 관리에 교육한 다.
1)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
2) 퇴원 후 주의할 사항, 가능한 합병증 및 대처방안에 대해 교육하였다.
- 6주 동안 무거운 물건을 글거나 쪼그리고 앉기, 굽 높은 구두신기 등은 피하도록 설 명하였다.
3) 의사가 허락할 때 까지 골반울혈을 증가 시키는 운동을 피하도록 설명하였다.(승 마, 장시간 앉아있기) 또한 수면시간은 평상시보다 더 갖도록 설명하였다.
4) 조이는 옷을 입지 않도록 설명하였다.
5) 샤워는 가능하나 통목욕은 4주 후에 하도 록 교육하였다.
6) 고단백, 철분제제 섭취를 권장하였다.
본인은 잘 알게 되었고 보호자는 잘 이해하고 자세히 알게 되었다.
IV. 결 론
요즘 출산률 저하로 또한 의학의 발달로 OBGY의 환자들의 수가 많지 않은 상황인데 이번 실습기간동안은 유난히 GY환자 case가 많았던 것 같다. 병동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여러 case를 볼 수 있는 기회라고 운이 좋다고 하셨던 것만큼 많은 환자를 볼 수 있었다. GY환자들은 대부분 OP를 목적으로 admission하기 때문에 수술 전후 간호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번 case는 처음이라 처음엔 어떤 환자를 case로 잡아야 할지, 환자에게 어떻게 가다갈 수 있을지 많은 어려움을 느꼈었고, 환자에게 혹시 숨기고 싶거나 생각하고 싶지 않은 정보가 있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마음도 많이 생겼었다. 점점 시간이 갈수록 환자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고, 병동 내에 선생님들께서 여러 방면으로 이것저것 도와주시고, 많은 정보를 주셔서 이번 case study를 무사히 끝마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 외에 내용적인 면에서도 솔직히 20대에 우리세대에게 가장 무관심한 part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이러한 인식의 정반대에서 여성에게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또 하나의 part를 실습할 수 있게 되었고, 중요한 case들을 관찰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은 경험을 쌓는 것 같다. 첫 case study라 많은 내용적인 면이 충실 하지 않겠지만 내용적인 면보다는 나의 경험에 좋은 시간을 보냈다는 것에 더 의의를 둔다.
막상 두렵기만 했던 case study를 마치고 나니 후련한 반면, report를 쓰면서 부족한 점이 많이 드러나는 것 같아서 아쉽다. 또한 환자와 정들었던 만큼 실습이 끝나면 뵐 수 없다는 생각에 서운하기도 한다. 귀찮을 텐데도 웃으면서 친절하게 대답해주신 환자분과 보호자분께 감사드리고, 빨리 완쾌되어 자신의 역할에 만족을 느낄 만큼 회복되셨으면 좋겠다.
▣ 참고문헌 ▣
의약품집,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출판부 , 2004
이순희,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지침서, 현문사 , 2003
최연순 외,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1999
이경혜 이영숙 외, 여성간호학 하(I,Ⅱ), 현문사, 2004
유해영,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김남초 외, 간호과정, 현문사,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