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감각기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감각기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8.1 외피
8.1.1 피부
8.1.2 피부의 부속기관

8.2 시각기
8.2.1 안구
8.2.2 안구의 부속기관
8.2.3 시각의 전도

8.3 평형.청각기
8.3.1 외이
8.3.2 중이
8.3.3 내 이

8.4 후각기

8.5 미각기

본문내용

므로 맹점이라고 한다.
반대로 물체의 상이 가장 선명하게 맺히는 곳은 호아반의 중심와라고 하는 곳인데, 황반이란 맹점에서 외측으로 있는 세포들이 황색색소인 카로테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누렇게 보이는 지름 2mm정도가 되는 부위를 말하고, 황반의 중심부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어, 이를 중심와라고 한다. 이곳이 선명한 상을 맺을 수 있는 것은 색각에 반응하는 원뿔세포가 집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막대세포와 원뿔세포
막대세포와 원뿔세포는 망막의 광수용체로서시냅스종말, 내분절 및 외분절로 구분되는데, 시냅스 종말은 이극세포 및 수평세포와 시냅스를 이루고 있다. 내분절은 핵과 미토콘드리아 등과 같은 세포기관을 수용하고 있으며, 외부절은 관을 형성하여 빛에 감지하는 rhodopsin이라는 광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2) 안구의 굴절질
빛이 망막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각막을 지나 안구의 내용물인 안방수 - 수정체 - 초자체를 통과하면서 각각의 굴절률에 따라 굴절되는데 이들을 굴절질이라고 한다.
(1) 안방수
안방이란 투명한 액체인 안방수가 차있는 각막과 수정체 사이의 간극으로 각막과 홍채 사이를 전안방이라고 하며, 홍채와 수정체 및 모양체 사이를 후안방이라고 한다.
안방수는 림프의 일종으로 모양체돌기에서 분비되어 후안방 - 전안방 - 홍채각막간극에 이르고, 이어서 각막공막 결합부에 있는 공막정맥동에 흡수되어 정맥으로 유입된다.
* 녹내장 : 어떤 원인으로 순환장애가 일어나 안방수가 증가하면 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 야기시킨다.
(2) 수정체
최대의 굴절체인 수정체는 투명한 볼록렌즈 모양의 구조물로 주변부에 모양체돌기에서 나온 모양체소대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모양체근의 수축과 이완에 의하여 만곡도가 조절된다.
수정체의 전 후 양면은 그 만곡도가 달라 후면이 전면보다 항상 심한 만곡도를 유지하고 있고 젊은 사람들의 수정체는 투명하고 유연하나 나이가 들면서 그 중심부로부터혼탁해지고 두께도 얇아지는데, 혼탁이 심하여 시력장애가 약되는 경우를 백내장이라 한다.
(3) 초자체 초자체는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넓은 공간을 채우고 있으면서 14~27mmHg 정도가 되는 안구내압을 유지하는 투명한 젤리상의 조직으로, 그 대부분은 수분으로 되어 있으나 약간의 섬유와 세포도 포함
8.2.2 안구의 부속기관
안근, 안구를 보호하는 안검, 결막, 누기 등
1) 안근
* 상직근 : 기시 (총건륜)
정지 (안국적도선상의 각막과 공막 연접 하후부)
작용 (안구를 위로 당긴다.)
지배신경 (동안신경)
* 하직근 : 기시 (총건륜)
정지 (안구적도선상의 각막과 공막 연접 상후부)
작용 (안구를 밑으로 당긴다.)
지배신경 (동안신경)
* 내측직근 : 기시 (총건륜)
정지 (안구적도선상의 각막과 공막 연접 내측후부)
작용 ( 안구를 내전시킨다.)
지배신경 (동안신경)
* 외측직근 : 기시 (총건륜)
정지 (안구적도선상의 각막과 공막 연접 외측후부)
작용 (아구를 회전시킨다.)
지배신경 (외전신경)
* 상사근 : 기시 (접형골체)
정지 (상 외측직근의 적도)
작용 (안구를 밑으로 당기고 외전시킨다.)
지배신경 (활차신경)
* 하사근 : 기시 (상악골 안와면)
정지 (하 외측직근의 적도)
작용 (안구를 위로 당기고 외전시킨다.)
지배신경 (동안신경)
안구의 운동을 주관하는 이 6개의 근육 중 상직근 하직근, 내측직근, 외측직근 및 상사근은 후방의 시신경관을 둘러싼 윤상의 건인 총건륜에서 기시하여 안와벽을 따라 앞으로 나아가 공막의 각막연 부근에 정지하는데, 상사근은 중간부가 내안각의 활차에 걸려 방향을 바꾸는 특이한 주행을 보이고 있다. 하사근은 이들과는 달리 안와 하벽의 누낭구 외측에서 기시하지만 정지부는 거의 일치한다.
2) 안검(눈꺼풀)
안검은 안구의 전면을 덮는 2개의 피부로 상 및 하안검이 있는데, 이들 사이의 틈을 아검열이라고 하며, 이들이 마주쳐서 이루는 내면과 외면을 각을 내안각과 외안각이라고 한다.
각 안검의 자유면에는 2~3열로 배열된 첩모가 있고, 상안검의 상부에는 근육 및 지방으로 된 궁상의 융기에는 미모가 나 있다. 또 안검의 내측단에는 약간 돌출한 누유두가 있고, 이곳에 점상의 구멍이 개구하고 있어 이를 누점이라고 하는데, 이는 눈물을 누소관으로 이도하는 구멍이다.
검판은 조밀한 결합조직으로 된 반월상의 판으로 상 및 하안검의 자유연측 2/3에만 있으며 검판선이라는 큰 피지선이 세로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 선의 염증을 맥립종(다래끼)라고 한다.
3) 결막
안검의 후면과 공막의 전면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하나 혈관 분포가 풍부하고 감각이 예민한 막
* 안검결막 : 안검을 덮고 있는 부분
* 안구결막 : 안구를 덮고 있는 부분
* 상 및 하결막원개 : 안검결막과 안구결막이 이행하는 부분으로 이곳은 주머니처럼 오목하게 되어 있어 눈으로 들어온 먼지나 작은 이물이 머무는 곳
4) 누기
눈물을 분비하는 누선과 눈물을 비강으로 운반하는 작은 관들
* 눈물 : 약알칼리성의 맑은 액체로 안구의 전면을 적시어 각막이 탈수되지 않도록 하며, 자극성 입자와 화학물질을 제거하고 각막 표면을 고프게 하여 준다. 살균작용
* 누선 : 안와의 상벽 외측에 위치하는 납작한 난원형의 장액선으로 안와부와 안검부 등 2 부로 되어 있다. 안와부는 전두골의 누선와 내에 있으며 안검부는 상결막원개 위 에 있는데, 이들은 6~12개의 배설관을 통하여 상결막원개의 외측부에 개구하고 있다.
* 누로 : 눈물이 지나가는 통로로 누선에서분비된 눈물은 누유두 위에 있는 작은 구멍인 누 점으로 흘러 들어가고 여기서 상 및 하누소관으로 되어 내측으로 지행하다 누낭에 개구한다. 누낭은 안와 내측의 누낭와에 있는 자은 주머니 몽야의 구조물로 뚜렷 한 경게 없이 비루관이 되어 하행하다 비강의 하비도에 개구한다.
8.2.3 시각의 전도
시각의 전도는 망막의 시신경 세포층에서 나온 축삭 다발이 시신경원판에 모여 시신경을 이루고, 이어 시신경교차를 한 후 시삭을 거쳐 간뇌 외측슬상체에 들어간다. 여기서 다시 연접을 이루어 시방사를 통해 대뇌피질 후두엽 조거구 및 그 주변에 있는 시각영역에 정지한다. 그러나 망막에서 나온 외측의 축삭 일부는 시신경 교차를 하지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1.0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