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패션 트랜드 예측
1. 패션 예측의 중요성
2. 트랜드란 무엇일까?
3. 패션 경향 예측 방법
4. 본인의 패션 경향 예측 방법
Ⅲ. 2007 S/S 패션 경향 정보 분석
1. 테마
2. 트랜드
3. OVERVIEW
4. PATTERN
5. 소재(Fablic)
6. 색상(Color)
7. 스타일(Style)
8. 아이템(Item)
Ⅳ. 2007 S/S 패션쇼로 본 패션 경향
Ⅴ. 패션 연출 이미지 제시
Ⅵ. 결론
Ⅱ. 패션 트랜드 예측
1. 패션 예측의 중요성
2. 트랜드란 무엇일까?
3. 패션 경향 예측 방법
4. 본인의 패션 경향 예측 방법
Ⅲ. 2007 S/S 패션 경향 정보 분석
1. 테마
2. 트랜드
3. OVERVIEW
4. PATTERN
5. 소재(Fablic)
6. 색상(Color)
7. 스타일(Style)
8. 아이템(Item)
Ⅳ. 2007 S/S 패션쇼로 본 패션 경향
Ⅴ. 패션 연출 이미지 제시
Ⅵ. 결론
본문내용
함과 테크니컬한 기술적 요소가 결합해 베이직한 소재들이 좀 더 섬세하고 깨끗한 고급스러움을 지닌 소재로 변화하고, 직조의 차별화와 워싱, 에이징 가공 등의 가공 기법을 가미해 다각적인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세련되면서도 캐쥬얼한 기본 소재들은 약간의 포멀한 감성을 공유하며 도회적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테크니컬 소재들은 내재되고 미래적인, 보다 함축적인 기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스트라이프 패턴은 심플함이 강조되면서도 입체적인 표면감이 드러나고 있으며, 풍부한 마드라스 체크와 플라워 패턴들이 제안된다.
FABRIC 1
과거의 감성을 빌리고 미래적인 표현을 추구하는 이 테마는 페미닌과 머스큘린 사이의 균형을 고급스럽게 연출한다.매우 클린한 퀄러티의 드릴, 게버딘, 데님, 포플린, 더블 크레이프가 순수 천연소재 또는 울, 린넨과 코튼 블렌즈들이 등장하고 냉담한(nonchalant) 룩을 위해 매우 얇은 울이 사용되고 가끔은 폴리, 코튼과 블렌즈 되기도 한다. 더불어 짐(gym)의 느낌을 제안하는 테크니컬 소재들이 레트로 외관을 차용하며 다양한 접근을 이룬다.
FABRIC 2
네이쳐의 감성은 시즌에 더욱 풍부해지고 중요 무드로 지배한다. 이 테마의 소재들은 자연 중 특히 식물의 조직이나 색감 등에서 인스피레이션을 받아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무엇보다도 올가닉한 텍스츄어는 단순화되고 고급스러운 원사를 함께 사용하기도 하며, 때론 광택 원사를 더함으로써 세련된 느낌으로 연출되고 있다.
섬세하고 러스틱한 자연보다는, 단순화되고 전원으로의 여행을 연상시키는 느낌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플랫하고 볼드한 플로럴 모티브를 함께 제안한다.
FABRIC 3
타이-다잉이 다시금 표면화되어 활용되고, 딥 컬러들을 블랙 및 다크 브라운과 함께 믹스하여 감도 높은 스트라이프 및 체크 류를 연출한다.
정렬적인 남쪽 지방을 느끼게 하는 린넨 류가 메인 소재 및 원사로 자리하며, 코튼 및 레이온 류 와 섞이면서 부드럽고 캐주얼한 소재군을 형성한다. 또한 플루이드한 크레이프, 쉬폰 등 소재 등에도 함께 표현되어 엘레강스함을 동시에 선보이기도 한다.
FABRIC 4
살짝 낡은 듯하고 빛 바랜듯한 색감을 지닌 데님 소재군들이 이 테마의 주소재군이다.
지난 시즌까지만 해도 개버딘, 옥스포드 등 국한된 느낌을 지니고 있었던 데에 비해 이번 시즌엔, 다이아고널, 픽셀, 오또망, 휩코드 등 보다 확산된 조직감을 함께 활용하고 있다
테마의 중요 가공법으로 피그먼트 및 워싱이 이번 시즌에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6. 색상(Color)
봄의 컬러들이 새로운 생명력을 표현한다. White와 Natural Beige와 더불어 젊음이 가득한, 선명하고 눈부시게 반짝 반짝 빛나는 색상들이 주목을 받는다. 에너지가 넘치는 Green과 Turquoise, 차가운 성질을 지닌 Ultra-marine과 Violet, 따뜻한 Pink와 Orange끼가 감도는 Red가 변함없이 사용되는 컬러로써, 깊고 풍부한 액센트로 사용된다.
▒ 전 Color영역에 걸쳐 Fresh한 칼라감이 강조되던 05 & 06 S/S시즌과 대비하여 2007년 S/S시즌은 Pale이나 Very Pale, Light rayish를 위시한 고명도의 밝고 가벼운 Color군이 크게 성장, Soft & Mild 감성의 칼라감이 주요하게 부상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 06 S/S시즌과 마찬가지로 Red, Yellow Red, Yellow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06년 활용도가 높았던 Red는 Vivid, Strong, Bright 등의 산뜻한 칼라감보다는 Dull, Deep Tone의 깊이 있는 칼라감을 중심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며 Orange로 대표되는 Yellow Red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Yellow와 Green이 가미된 Green Yellow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Green계열은 06S/S시즌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 Sky Blue를 위시한 Blue 및 Royal Blue 등 Purple기운을 띠는 Bright한 Purple Blue가 상당히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 Purple계열은 White가 많이 가미된 Persian Rose 등의 Pinkish Mood를 위시하여 Fuchsia 등 자홍빛의 Red Purple이 크게 성장한 경향을 보인다.
▒ Tone측면에서 살펴 보면 White와 Grayish Neutral Tone이 06S/S시즌과 대비, 상당히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Mild한 감성의 Light Grayish, Grayish 등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예년 대비 특히 Bright Tone의 Neutral이 크게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Sand, Ecru 등 Nude계열의 Colored Neutral 또한 주요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Hue와 Tone 양측면에서 Gray의 활용이 주요한 Tip으로 작용하는 시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SS시즌 임에도 Navy를 위시한 Dark Grayish Tone은 예년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 것 또한 이번 시즌의 특징적인 경향이라 할 수 있다.
▒ 전체적인 칼라의 방향성은 Soft & Mild한 감성을 위주로 White, Gray가 가미된 고명도 & 저채도의 칼라군이 주요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COLOR 1
화이트를 기조로 한 모던 심플시티의 느낌은 과거의 레트로 스포츠의 고급스러움과 함께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에서 영감을 받았다.
크림에서 샌드 베이지, 페일 골드는 과거 엘레강스한 사파리룩의 영향을 받은 고대 불가사의한 문명에 대한 느낌이며 화이트, 라이트 핑크, 마린 블루, 네이비의 사용은 고급스러운 크루즈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COLOR 2
바람 없는 한적한 낮의 따사롭고 완벽한 햇살의 기억은 너무나 완벽해서 인공적인 조명처럼 느껴진다. 꿈을 꾸는듯한 나른함은 어린아이들의 나이브함이 곁들여져 즐겁고 유희적이다.
자연에서 온 듯한 그러나 가공된듯한 그린 레인지와 환타 느낌의 라이트 오렌지, 핑크가 어우러지고 여기에 레디쉬 브라운이 더해진다.
COLOR 3
본능적 열정과 열정의 자유분방함은 지극히 토속적이고 열대적인 컬러에서 찾는다.
세련되면서도 캐쥬얼한 기본 소재들은 약간의 포멀한 감성을 공유하며 도회적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테크니컬 소재들은 내재되고 미래적인, 보다 함축적인 기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스트라이프 패턴은 심플함이 강조되면서도 입체적인 표면감이 드러나고 있으며, 풍부한 마드라스 체크와 플라워 패턴들이 제안된다.
FABRIC 1
과거의 감성을 빌리고 미래적인 표현을 추구하는 이 테마는 페미닌과 머스큘린 사이의 균형을 고급스럽게 연출한다.매우 클린한 퀄러티의 드릴, 게버딘, 데님, 포플린, 더블 크레이프가 순수 천연소재 또는 울, 린넨과 코튼 블렌즈들이 등장하고 냉담한(nonchalant) 룩을 위해 매우 얇은 울이 사용되고 가끔은 폴리, 코튼과 블렌즈 되기도 한다. 더불어 짐(gym)의 느낌을 제안하는 테크니컬 소재들이 레트로 외관을 차용하며 다양한 접근을 이룬다.
FABRIC 2
네이쳐의 감성은 시즌에 더욱 풍부해지고 중요 무드로 지배한다. 이 테마의 소재들은 자연 중 특히 식물의 조직이나 색감 등에서 인스피레이션을 받아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무엇보다도 올가닉한 텍스츄어는 단순화되고 고급스러운 원사를 함께 사용하기도 하며, 때론 광택 원사를 더함으로써 세련된 느낌으로 연출되고 있다.
섬세하고 러스틱한 자연보다는, 단순화되고 전원으로의 여행을 연상시키는 느낌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플랫하고 볼드한 플로럴 모티브를 함께 제안한다.
FABRIC 3
타이-다잉이 다시금 표면화되어 활용되고, 딥 컬러들을 블랙 및 다크 브라운과 함께 믹스하여 감도 높은 스트라이프 및 체크 류를 연출한다.
정렬적인 남쪽 지방을 느끼게 하는 린넨 류가 메인 소재 및 원사로 자리하며, 코튼 및 레이온 류 와 섞이면서 부드럽고 캐주얼한 소재군을 형성한다. 또한 플루이드한 크레이프, 쉬폰 등 소재 등에도 함께 표현되어 엘레강스함을 동시에 선보이기도 한다.
FABRIC 4
살짝 낡은 듯하고 빛 바랜듯한 색감을 지닌 데님 소재군들이 이 테마의 주소재군이다.
지난 시즌까지만 해도 개버딘, 옥스포드 등 국한된 느낌을 지니고 있었던 데에 비해 이번 시즌엔, 다이아고널, 픽셀, 오또망, 휩코드 등 보다 확산된 조직감을 함께 활용하고 있다
테마의 중요 가공법으로 피그먼트 및 워싱이 이번 시즌에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6. 색상(Color)
봄의 컬러들이 새로운 생명력을 표현한다. White와 Natural Beige와 더불어 젊음이 가득한, 선명하고 눈부시게 반짝 반짝 빛나는 색상들이 주목을 받는다. 에너지가 넘치는 Green과 Turquoise, 차가운 성질을 지닌 Ultra-marine과 Violet, 따뜻한 Pink와 Orange끼가 감도는 Red가 변함없이 사용되는 컬러로써, 깊고 풍부한 액센트로 사용된다.
▒ 전 Color영역에 걸쳐 Fresh한 칼라감이 강조되던 05 & 06 S/S시즌과 대비하여 2007년 S/S시즌은 Pale이나 Very Pale, Light rayish를 위시한 고명도의 밝고 가벼운 Color군이 크게 성장, Soft & Mild 감성의 칼라감이 주요하게 부상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 06 S/S시즌과 마찬가지로 Red, Yellow Red, Yellow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06년 활용도가 높았던 Red는 Vivid, Strong, Bright 등의 산뜻한 칼라감보다는 Dull, Deep Tone의 깊이 있는 칼라감을 중심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며 Orange로 대표되는 Yellow Red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Yellow와 Green이 가미된 Green Yellow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Green계열은 06S/S시즌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 Sky Blue를 위시한 Blue 및 Royal Blue 등 Purple기운을 띠는 Bright한 Purple Blue가 상당히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 Purple계열은 White가 많이 가미된 Persian Rose 등의 Pinkish Mood를 위시하여 Fuchsia 등 자홍빛의 Red Purple이 크게 성장한 경향을 보인다.
▒ Tone측면에서 살펴 보면 White와 Grayish Neutral Tone이 06S/S시즌과 대비, 상당히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Mild한 감성의 Light Grayish, Grayish 등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예년 대비 특히 Bright Tone의 Neutral이 크게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Sand, Ecru 등 Nude계열의 Colored Neutral 또한 주요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Hue와 Tone 양측면에서 Gray의 활용이 주요한 Tip으로 작용하는 시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SS시즌 임에도 Navy를 위시한 Dark Grayish Tone은 예년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 것 또한 이번 시즌의 특징적인 경향이라 할 수 있다.
▒ 전체적인 칼라의 방향성은 Soft & Mild한 감성을 위주로 White, Gray가 가미된 고명도 & 저채도의 칼라군이 주요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COLOR 1
화이트를 기조로 한 모던 심플시티의 느낌은 과거의 레트로 스포츠의 고급스러움과 함께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에서 영감을 받았다.
크림에서 샌드 베이지, 페일 골드는 과거 엘레강스한 사파리룩의 영향을 받은 고대 불가사의한 문명에 대한 느낌이며 화이트, 라이트 핑크, 마린 블루, 네이비의 사용은 고급스러운 크루즈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COLOR 2
바람 없는 한적한 낮의 따사롭고 완벽한 햇살의 기억은 너무나 완벽해서 인공적인 조명처럼 느껴진다. 꿈을 꾸는듯한 나른함은 어린아이들의 나이브함이 곁들여져 즐겁고 유희적이다.
자연에서 온 듯한 그러나 가공된듯한 그린 레인지와 환타 느낌의 라이트 오렌지, 핑크가 어우러지고 여기에 레디쉬 브라운이 더해진다.
COLOR 3
본능적 열정과 열정의 자유분방함은 지극히 토속적이고 열대적인 컬러에서 찾는다.
추천자료
4,50대 여성의 패션성향 및 시장에 관한 고찰
이미지에 따른 패션 코디네이션의 종류
요지 야마모토의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검정색의 연구
이탈리아와 한국의 패션산업
구호_마케팅,패션브랜드
2012년 1학기 패션산업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코데즈컴바인,패션마케팅사례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MIXXO_브랜드,패션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PPT자료
2013년 1학기 패션산업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패션산업의이해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패션산업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현대인과 패션] 코스튬플레이에 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