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장과 월마트 - 세계적 기업의 실패사례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시장과 월마트 - 세계적 기업의 실패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연구목적과 의의

Ⅱ. 월마트의 한국시장 진출, 전략과 경과
1. 월마트 연혁
2. 월마트 코리아의 진출 배경
3. 월마트 코리아의 전략과 경과

Ⅲ. 월마트의 한국시장 운영과정과 경쟁
1. 월마트 방식
2. 월마트 코리아의 경쟁자들

Ⅳ. 월마트의 한국시장 경영실패의 원인

V. 월마트 철수가 한국유통시장에 남긴것

본문내용

가공식품, 주방용품 등이 주요 수입되고 있으나 향후 업태 고유의 글로벌 소싱으로 수입품 확대가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상품의 저가 조달을 위한 할인점의 글로벌 노력은 비식품류로 확대되어 갈 것으로 보인다.
월마트는 세계 제일의 유통업체로서 이런 측면에서는 다소 수위가 예상된다. 즉 세계적으로 진출한 이점을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국내에 도입하고 국내에서의 PB상품 개발을 병행한다면 앞으로 월마트의 국내 브랜드 전략은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제품수명주기전략
아무리 좋은 제품이 매장에 전시되어 팔린다해도 그 제품은 소비자의 구매 취향의 변화, 유행의 급속한 변천, 경쟁사 제품의 대립 등으로 대부분의 경우 언젠가는 제품 구매 효과가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마트의 경우는 전산 상에서 6주의 판매가 저조한 제품군에 대해서는 미련 없이 그 제품을 철수시킨다. 상품 회전율에 있어서는 빠른 제품의 경우 일주일에 한 번 회전이 되며 거의 대부분의 제품들이 최소 2주에 한번씩은 회전이 된다
.
특히 이마트는 데일리 상품이 강해야 고객의 집객(集客)력을 높일 수 있다는 원칙으로 신선식품의 품질에 대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일환으로 ‘신선도 만족 책임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것은 신선도 관리에 특별히 주의를 요하는 핵심 상품에 대해서 법적 유통 기한을 절반으로 줄여 관리한다는 제도이다.
예를 들어, 통닭구이, 베이커리, 포장정육, 생선, 어패류의 경우 법적 유통기한이 2~3일 임에도 불구하고 이마트는 당일제조판매를 원칙으로 하고, 우유, 어묵의 경우 법적 유통기한이 5~6일이지만 이마트는 제조 후 3일 이내에 파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E-Plus 계란의 경우는 법적 유통 기일이 20~30일 이지만 이마트는 유통기일을 산란 후 2일 이내에 파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매장을 찾는 소비자들에게는 ‘이마트=신선’ 이라는 의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하여 믿을 수 있다는 느낌을 주게된다.
ⓔ 매장내의 상품 진열 및 레이아웃
같은 매장이라도 상품의 디스플레이 방법, 리뉴얼 작업, 제품의 레이 아웃 및 쇼핑구조에 따라 그 점포의 매출액은 달라질 수 있다. 즉 이것은 매장 내에서 제품과 소비자의 쇼핑 구도를 어떻게 운영하느냐 하는 문제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월마트는 이마트에 비하여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월마트는 1999년 3월부터 점포를 수퍼센터로 운영한다고 공식 선언한 후 식품과 생활 필수품 위주로 매장을 전개하였으며 특히 신선품과 가공식품을 효율적으로 연결 전시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높인 것으로 생각된다.
월마트는 매장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기본 원칙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고객의 구매충동을 유발하기 위하여 특히 행사판매대나 엔캡에 있어서는 대량 진열 방식을 택하고 있다.
둘째, 선반 위에 제품을 항상 충분히 쌓아 곤돌라나 랙의 뒷 벽면이 소비자의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각 제품간의 디스플레이의 구분이 확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월마트는 디스플레이의 화려한 비쥬얼 프리젠테이션은 크게 중요하지 않게 생각한다. 이에 비하여 이마트는 몇몇 점포에서 매장의 동선이 너무 좁아 고객의 이동이 증가할 경우 쇼핑 카트를 밀면서 쇼핑하는 것이 불편한 것을 비롯하여 제품이 선반에 진열되는 데 날개 진열집기를 필요로 하는 제품조차도 집기를 사용하지 않고 선반 위에 쌓아 놓음으로써 무질서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특히 제품의 진열 공간이 너무 좋아 어떤 경우 타 규격의 제품을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것은 소비자에게 상당한 혼란을 주는데 할인점의 기본 운영방식이 셀프서비스인 점을 감안한다면 구매하고자하는 제품의 규격이나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고객입장에서 즉시 얻지 못한다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마트의 제품진열에 있어서 월마트보다 고객에게 편리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한국인의 체형에 맞는 제품 진열대를 확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예로써 이마트는 상품 진열시 랙 상단을 이용하여 재고를 쌓아 보관하는 기존의 상품 보전 기능을 없애고 랙 높이와 기능을 소비자 체형에 맞게 개선했다.
4) 경영촉진 전략
할인점에서의 경영촉진 방법으로는 주로 가격할인행사나 사은품 증정행사가 있고, 이밖에 추첨권 응모행사, 쿠폰 행사, 구매에 따른 포인트 적립제 등이 있다.
월마트의 경우를 보면 판촉행사의 비중은 식품쪽이 훨씬 크다. 현재 월마트의 경영 촉진 전략의 형태는 크게 4가지로 나뉘어지고 있다.
첫째, 시음시식행사이다. 이 행사는 식품과 관련된 행사이고 보통의 음료나 주류의 경우에는 나레이터를 지원해 행사를 진행하며, 요리실연의 경우 전문 요리사가 지원되어 소비자에게 시식을 선사하면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둘째, 사은품 증정행사이다. 고객이 특정 상품 혹은 일정 금액 이상을 구매하는 경우에 사은품을 증정하는 것인데, 보통 프로모터를 지원하여 행사를 진행하거나 행사 상품에 사은품을 같이 묶어 포장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셋째, 가격할인행사이다. 특정 제품을 평시 판매가격보다 일정률을 할인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보통 비식품의 경우 가격할인 행사시의 규정가보다 5~10% 정도 싸게 팔지만 전략적으로 미끼 상품 같은 경우에는 대폭적인 가격 파괴를 실행하기도 한다. 앞서 말한 일산점의 컬러 TV의 가격경쟁이 그것이다.
넷째, 빅볼륨디스플레이에 의한 행사이다. 이는 특정 행사 제품을 행사 판매대에 상당한 볼륨으로 진열해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이는 평시에는 하지 않는 시각적 효과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마트는 경영촉진 전략의 기본 형식을 가격 행사와 사은품 행사 그리고 시음행사에 두고 있다. 이중 가장 비중을 크게 두고 있는 파매 촉진 방식은 특정점포 개점 기념일을 축하하는 대대적이고 전사적인 가격행사이다. 보통 100~200개의 인기 아이템을 정해서 공급업체로부터 행사기일 동안 할인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받아 행사를 진행한다. 보통 이 제품들에 추가적으로 사운품을 걸기도 한다.
또한 이외에 공통적으로 실행하는 행사가 있는데, 그것은 ‘단체마일리지 적립 제도’
  • 가격4,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5.14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