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으로 유리한 국제환경을 통하여 독일에 버금가는 성장을 하게 되었다.
1963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필두로 해서 ‘한강의 기적’을 일구어낸 대역사를 시작한 것이었다. 그로부터 1997년 말 한국인의 1인당 GNP는 1만 달러에 이르렀다. 80달러에서 1만 달러로 GNP가 늘어났으니, 무려 125배 상승한 것이 된다. 우리의 한국도 실로 엄청난 일을 해낸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빠른 경제성장의 이면에는 그만큼 많은 문제들도 축적되어 있었으며 그것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결과가 바로 한국이 2년간에 맞이한 외환 및 경제위기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60년대 이후 든 것을 ‘빨리 빨리’ 해내려는 습성이 생겨 모든 일에 있어 철저함과 정교함이 부족하며 그러한 성향은 20세기를 맞게 된 지금도 한국경제의 중요한 취약점으로 남아 있다. 또한 한국경제는 지난 10 여 년간의 빠른 민주화 과정에서 분출되어 나오는 각 이해집단의 요구를 정치적으로 충분히 여과할만한 정치적, 행정적 성숙도를 갖추지 못하여 경제가 빠른 속도로 개방화되어 가는 방면 국내 금융, 노동, 공정경쟁제도의 보완은 크게 미흡하였으며 그 결과 90년대 들어 한국의 기업들은 수익성과 경쟁력을 잃게 되었다.
우리의 한국은 과거 우리의 선조들의 희생으로 인하여 현제 세계 10위권이라는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피땀 흘려 이룩한 산물이다.
하지만 현제의 한국의 모습은 밝지 않다. 선배들이 이룩한 것들을 사용만할 뿐 더 이상의 발전이 없기 때문이다. 선배들의 노력으로 라인 강의 기적을 한강의 기적으로 인용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라인 강에 비하여 한강은 너무 많고 큰 문제점을 낳았다. 독일 역시 문제점은 있었을 것 이다. 하지만 독일이 경제성장을 해오면서 하나씩 해결해 나간 문제점을 우리는 경제성장에 치중한 나머지 우리의 품속에 껴안고 있다. 이제 우리는 과거 선배들의 노력을 이어받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한강의 기적이 진정한 라인 강의 기적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가져왔던 정신으로 보다 더 강인한 정신으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그 정신을 갖추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야 말로 현재 우리나라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기본 바탕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 문헌>
한국전쟁, 베트남전쟁과 영구군비경제- 정성진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1963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필두로 해서 ‘한강의 기적’을 일구어낸 대역사를 시작한 것이었다. 그로부터 1997년 말 한국인의 1인당 GNP는 1만 달러에 이르렀다. 80달러에서 1만 달러로 GNP가 늘어났으니, 무려 125배 상승한 것이 된다. 우리의 한국도 실로 엄청난 일을 해낸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빠른 경제성장의 이면에는 그만큼 많은 문제들도 축적되어 있었으며 그것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결과가 바로 한국이 2년간에 맞이한 외환 및 경제위기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60년대 이후 든 것을 ‘빨리 빨리’ 해내려는 습성이 생겨 모든 일에 있어 철저함과 정교함이 부족하며 그러한 성향은 20세기를 맞게 된 지금도 한국경제의 중요한 취약점으로 남아 있다. 또한 한국경제는 지난 10 여 년간의 빠른 민주화 과정에서 분출되어 나오는 각 이해집단의 요구를 정치적으로 충분히 여과할만한 정치적, 행정적 성숙도를 갖추지 못하여 경제가 빠른 속도로 개방화되어 가는 방면 국내 금융, 노동, 공정경쟁제도의 보완은 크게 미흡하였으며 그 결과 90년대 들어 한국의 기업들은 수익성과 경쟁력을 잃게 되었다.
우리의 한국은 과거 우리의 선조들의 희생으로 인하여 현제 세계 10위권이라는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피땀 흘려 이룩한 산물이다.
하지만 현제의 한국의 모습은 밝지 않다. 선배들이 이룩한 것들을 사용만할 뿐 더 이상의 발전이 없기 때문이다. 선배들의 노력으로 라인 강의 기적을 한강의 기적으로 인용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라인 강에 비하여 한강은 너무 많고 큰 문제점을 낳았다. 독일 역시 문제점은 있었을 것 이다. 하지만 독일이 경제성장을 해오면서 하나씩 해결해 나간 문제점을 우리는 경제성장에 치중한 나머지 우리의 품속에 껴안고 있다. 이제 우리는 과거 선배들의 노력을 이어받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한강의 기적이 진정한 라인 강의 기적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가져왔던 정신으로 보다 더 강인한 정신으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그 정신을 갖추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야 말로 현재 우리나라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기본 바탕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 문헌>
한국전쟁, 베트남전쟁과 영구군비경제- 정성진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추천자료
세계의 보육제도(스웨덴,프랑스,독일,중국,소련,이스라엘,미국,영국,일본,한국)
[한국 결혼문화][일본 결혼문화][중국 결혼문화][프랑스 결혼문화][멕시코 결혼문화][독일 결...
전자서명의 필요성(각 나라별,미국,호주,독일,일본,한국의 동향).
[특수교육]미국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독일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뉴...
[녹색에너지]대체에너지개발(녹색에너지)의 중요성과 현황, 세계의 대체에너지개발(녹색에너...
[미국][감사제도][미국의 감사제도][감사원][영국의 감사제도][독일의 감사제도][일본의 감사...
독일과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비교
독일,일본,한국의 사회복지법에 대해 조사하고 각나라마다 특성을 요약
북한의사회와경제>> 여러 국내외 기관들이 추산한 남북통일비용 조사 정리, 한국(우리나라) ...
[주요국가의 대테러 특공대] 외국(각국)의 대테러 특공대 - 영국 공수특전단(SAS), 독일 GCG-...
[대테러 정보기관] 대테러 정보기관의 역할, 세계의 정보기관(외국의 테러정보기관) 미국, 영...
[각국의 영재교육] 영재아 교육 - 미국, 이스라엘, 독일, 중국, 대만, 한국(우리나라)의 영재...
[미술치료 발전과정] 미술치료의 역사(미국, 독일, 영국, 일본, 한국에서의 미술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