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이태원 관광특구의 현황
Ⅲ. 문제점 분석 및 대안 제시
Ⅳ. 결론 및 시사점
Ⅱ. 이태원 관광특구의 현황
Ⅲ. 문제점 분석 및 대안 제시
Ⅳ.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시작했다. 80년대 들어서는 각종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고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이 개최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쇼핑관광명소가 되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 홍콩,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 중동지역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1997년 서울시 최초의 관광특구로 지정되어 1997~1998년도에는 연간 외국인관광객이 총 400만 명에 이르렀다. 이처럼 이태원은 외국인들의 인지도 면에서도 높고 주변에 국립중앙박물관, 전쟁기념관, 남산 등 다른 관광자원과의 접근성도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현재 미8군의 이전으로 인한 외국인 쇼핑객의 감소에 대한 문제와 기존의 쇼핑센터들이 노후화되고 대형 쇼핑센터가 들어선 동대문으로 내외국인 관광객들이 유출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번 이태원 관광특구에 대한 연구는 관광특구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점점 쇠퇴하는 이태원 관광특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3.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이태원관광특구에 대해 사전지식과 이태원의 전반적인 현황 등은 인터넷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이태원의 현장답사를 통하여 이태원 관광특구가 가지고 있는 시설의 노후화문제, 도로문제, 불법적인 짝퉁명품 시장의 문제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고, 이태원 관광특구 연합회 사무총장님과의 인터뷰, 상인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태원 관광특구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태원 관광특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현재 어떠한 일이 추진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Ⅱ. 이태원 관광특구의 현황
1. 일반현황
이태원은 서울시 최초로 1997년 9월 29일, 이태원로 입구에서 한남2동 동 사무소간 1.4km의 거리가 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 375,000 ㎡ (113,437평)의 면적에 쇼핑, 상가시설 등 2,181개소가 밀집되어 있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쇼핑업소 및 유흥업소 밀집지역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 초반 121후송병원이 부평에서 미8군 영내로 이전된 이후 1만 여명의 미군과 관련 종사자 및 기지촌 상인(현 상인의 30% 차지)이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현재 모습의 이태원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70년대 후반에는 섬유산업의 호황과 더불어 값싸고 특색 있는 보세물품을 살 수 있는 쇼핑가로 발달하기 시작했고, 값싼 노동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공급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 각종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고, 86아시안 게임과 88올림픽이 개최되면서 이태원은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일본인을 위시한 많은 관광객들의 쇼핑관광명소가 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태원은 피혁제품과 염가브랜드품의 거리로서 외국인들의 쇼핑투어코스에 반드시 포함되는 지역이 되었고, 밤에는 외국인을 위한 유흥업이 번성하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일본, 홍콩,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 중동지역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이태원은 미군 중심의 거리에서 세계인의 거리로 변모하고 있고, 1997년 서울시 최초의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세계인의 관광특구로서, 전통과 현대, 세계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이 혼재하는 ‘퓨전’의 장소로 변모하고 있다.
2. 업종현황
이태원은 의류, 피혁, 가방, 신발, 양복, 이러한 상품들을 파는 쇼핑상가뿐만 아니라 숙박업소, 각종 음식점, 유흥, 오락시설과 무역상, 여행사대리점 등 쇼핑산업을 배후에서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쇼핑 비즈니스 클러스터가 적정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표1>에서 이태원의 주요 업종을 살펴보면, 쇼핑상점이 1,514개로(전체의 71%)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태원의 주력 관광 사업은 쇼핑이라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는 수치이다. 주점업이 99개소로 일반적인 상업중심지보다 많은 점포수가 들어서 있다.
유형
관광업소
쇼핑상점
식품위생업소
기타
총
2,181개
39개
(2%)
1,514개
(71%)
546개
(26%)
15개소
(1%)
내역
기념품 11
여행 8
전문유흥주점 7
호텔 4
외국인전용매장 9
의류 763
피혁제품 270
가방 150
신발양화 110
보석, 액세서리 93
스포츠용품 50
양복 50
민속가구 15
기타 13
<식품접객업소>: 479
일반음식 334
휴게음식 34
외국전문음식 12
일반주점 82
외국인전문주점 17
<공중위생업소>: 67
미용 17
숙박 13
세탁 11
목욕 8
이용 7
게임 5
맛사지 6
환전상 15
<표1> 이태원 관광특구 업소현황 이태원관광특구연합회 조사자료
3. 방문객 현황
용산 미8군 기지에는 민군 약 5,500명, 카투사 약 1천명, 한국군 약 470명, UN군 약 50명, 미공무원/초청계약자 약 2,000명, 한국인 고용원 약 2,700명 등 총 11,220여명이 근무하여 높은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미군 1인당 연간 6백만원 지출(평균 1인당 50만원 정도 지출함)이 예상되므로 영내주둔 주한미군 약 7,550명이 이태원 인근에서 연각 약 453억원을 소비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태원 관광특구의 변화전망과 발전방안」
하지만, 용산 미군기지가 이전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마련도 시급한 실정이다. 이태원을 찾는 외국인 방문객은 연간 약 244만 명(일평균 6,500~7,000명)으로 연간 총 매출액은 약 12억불 정도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태원 장소마케팅 전략연구」, 2001
가장 많은 방문객이 방문했던 1997~1998년에는 연간 외국인관광객이 총 400만명에 이르렀지만 최근 남대문과 동대문 상권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다수 옮겨감에 따라 전반적으로 이태원 관광특구의 쇼핑관광과 국내 시장 점유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구분
명동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고궁
이태원
박물관
비율(%)
45.2
44.6
43.8
39.1
28.6
26.3
<표2> 외국인방문객의 서울시내 관광지선호도(복수응답) 한국관광공사(2004). 「외래방문객 실태조사」
Ⅲ. 문제점 분석 및 대안 제시
1. 분석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외국인들의 허브지역
외부지역과의 접근성
관광자원의 풍부
(쇼핑, 숙박, 외식시설 등등)
국제적 쇼핑관광으로
3.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이태원관광특구에 대해 사전지식과 이태원의 전반적인 현황 등은 인터넷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이태원의 현장답사를 통하여 이태원 관광특구가 가지고 있는 시설의 노후화문제, 도로문제, 불법적인 짝퉁명품 시장의 문제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고, 이태원 관광특구 연합회 사무총장님과의 인터뷰, 상인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태원 관광특구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태원 관광특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현재 어떠한 일이 추진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Ⅱ. 이태원 관광특구의 현황
1. 일반현황
이태원은 서울시 최초로 1997년 9월 29일, 이태원로 입구에서 한남2동 동 사무소간 1.4km의 거리가 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 375,000 ㎡ (113,437평)의 면적에 쇼핑, 상가시설 등 2,181개소가 밀집되어 있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쇼핑업소 및 유흥업소 밀집지역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 초반 121후송병원이 부평에서 미8군 영내로 이전된 이후 1만 여명의 미군과 관련 종사자 및 기지촌 상인(현 상인의 30% 차지)이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현재 모습의 이태원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70년대 후반에는 섬유산업의 호황과 더불어 값싸고 특색 있는 보세물품을 살 수 있는 쇼핑가로 발달하기 시작했고, 값싼 노동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공급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 각종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고, 86아시안 게임과 88올림픽이 개최되면서 이태원은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일본인을 위시한 많은 관광객들의 쇼핑관광명소가 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태원은 피혁제품과 염가브랜드품의 거리로서 외국인들의 쇼핑투어코스에 반드시 포함되는 지역이 되었고, 밤에는 외국인을 위한 유흥업이 번성하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일본, 홍콩,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 중동지역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이태원은 미군 중심의 거리에서 세계인의 거리로 변모하고 있고, 1997년 서울시 최초의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세계인의 관광특구로서, 전통과 현대, 세계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이 혼재하는 ‘퓨전’의 장소로 변모하고 있다.
2. 업종현황
이태원은 의류, 피혁, 가방, 신발, 양복, 이러한 상품들을 파는 쇼핑상가뿐만 아니라 숙박업소, 각종 음식점, 유흥, 오락시설과 무역상, 여행사대리점 등 쇼핑산업을 배후에서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쇼핑 비즈니스 클러스터가 적정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표1>에서 이태원의 주요 업종을 살펴보면, 쇼핑상점이 1,514개로(전체의 71%)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태원의 주력 관광 사업은 쇼핑이라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는 수치이다. 주점업이 99개소로 일반적인 상업중심지보다 많은 점포수가 들어서 있다.
유형
관광업소
쇼핑상점
식품위생업소
기타
총
2,181개
39개
(2%)
1,514개
(71%)
546개
(26%)
15개소
(1%)
내역
기념품 11
여행 8
전문유흥주점 7
호텔 4
외국인전용매장 9
의류 763
피혁제품 270
가방 150
신발양화 110
보석, 액세서리 93
스포츠용품 50
양복 50
민속가구 15
기타 13
<식품접객업소>: 479
일반음식 334
휴게음식 34
외국전문음식 12
일반주점 82
외국인전문주점 17
<공중위생업소>: 67
미용 17
숙박 13
세탁 11
목욕 8
이용 7
게임 5
맛사지 6
환전상 15
<표1> 이태원 관광특구 업소현황 이태원관광특구연합회 조사자료
3. 방문객 현황
용산 미8군 기지에는 민군 약 5,500명, 카투사 약 1천명, 한국군 약 470명, UN군 약 50명, 미공무원/초청계약자 약 2,000명, 한국인 고용원 약 2,700명 등 총 11,220여명이 근무하여 높은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미군 1인당 연간 6백만원 지출(평균 1인당 50만원 정도 지출함)이 예상되므로 영내주둔 주한미군 약 7,550명이 이태원 인근에서 연각 약 453억원을 소비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태원 관광특구의 변화전망과 발전방안」
하지만, 용산 미군기지가 이전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마련도 시급한 실정이다. 이태원을 찾는 외국인 방문객은 연간 약 244만 명(일평균 6,500~7,000명)으로 연간 총 매출액은 약 12억불 정도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태원 장소마케팅 전략연구」, 2001
가장 많은 방문객이 방문했던 1997~1998년에는 연간 외국인관광객이 총 400만명에 이르렀지만 최근 남대문과 동대문 상권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다수 옮겨감에 따라 전반적으로 이태원 관광특구의 쇼핑관광과 국내 시장 점유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구분
명동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고궁
이태원
박물관
비율(%)
45.2
44.6
43.8
39.1
28.6
26.3
<표2> 외국인방문객의 서울시내 관광지선호도(복수응답) 한국관광공사(2004). 「외래방문객 실태조사」
Ⅲ. 문제점 분석 및 대안 제시
1. 분석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외국인들의 허브지역
외부지역과의 접근성
관광자원의 풍부
(쇼핑, 숙박, 외식시설 등등)
국제적 쇼핑관광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