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목적
3.인공호흡기의 적용
4.인공호흡기의 기본원리
5. 종류
6. 호흡 조절 방식
CMV(continuous mechanical ventilation)통제 기계환기
ACV (assisted-controlled ventilation)보조환기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간헐적 강제 환기
④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⑤ PEEP(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호기말 양압
⑥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지속성 기도양압
7. 양압의 생리적 효과
8.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 간호
9. 인공호흡기 환자의 간호중재
10. 인공호흡기의 중단
11.적용기준
12.인공호흡기의 양조절형 기준
13.인공호흡기 중단의 지표
2. 목적
3.인공호흡기의 적용
4.인공호흡기의 기본원리
5. 종류
6. 호흡 조절 방식
CMV(continuous mechanical ventilation)통제 기계환기
ACV (assisted-controlled ventilation)보조환기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간헐적 강제 환기
④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⑤ PEEP(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호기말 양압
⑥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지속성 기도양압
7. 양압의 생리적 효과
8.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 간호
9. 인공호흡기 환자의 간호중재
10. 인공호흡기의 중단
11.적용기준
12.인공호흡기의 양조절형 기준
13.인공호흡기 중단의 지표
본문내용
한 압력이 발생되어 상하 대정맥에서의 혈액의 흐름이 감소하고 우심방 으로 돌아오는 피의 흐름이 감소한다. 따라서 좌심실의 피의 유입, 심박출량이 감소한 다. 심박출량 저하는 저혈압으로 나타난다.
② 내장의 혈액 감소
흉곽내의 과도한 압력→횡격막을 밑으로 내려 민다→내장의 혈액 감소→위 점막의 허혈 유발 ⇒ 장기간 인공호흡시 긴장성 위궤양, 위장출혈 유발
③ 신장에의 혈류 흐름 감소
신장에의 혈류 흐름 감소→뇌하수체에서 ADH의 분비 증가→신장세뇨관의 재흡수 증가 →수분 정체, 소변 감소
④ 보상성 호흡성 산독증(만성 CO2 정체 대상자) 대상자는 양압호흡을 하면 CO2를 과도 하게 불어내 버림으로서 급성 알카로시스가 발생, 기절을 하거나 어지럽고, 경련, 심장 성 부정맥, 뇌부종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8.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 간호
① 분비물 흡인 및 가습
인공호흡기에 부착되어 있는 가온 가습기를 통해 효율적으로 100% 가습시켜야 한다.
- 가습장치와 인공호흡기의 연결 튜브를 정규적으로 점검한다
기도의 분비물은 반드시 흡인해 주어야 한다. 이는 기관내 삽관이 되어 있는 대상자 는 효율적인 기침반사가 일어나지 못하여 흉곽내압을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 흡인 전과 후에는 반드시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여 과환기해 주므로써 심근의 저 산소증과 부정맥을 예방해야 한다. 인공호흡기의 산소 농도를 100%로 잠시 올려 놓거나 Ambu bag을 이용해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흡인시 멸균볍을 철저히 따른다.
② 자세 및 운동
semi-Fowler 체위 : 폐저부와 말초 부위의 분비물 정체를 초래한다.
③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인공호흡기를 조작한 후 15~20분 후에 동맥혈 가스분압이 안정되므로 이 때 검사한다. 대상자의 상태가 안정되면 정규적으로 동맥혈 가스분압을 검사할 필요는 없으며, 맥박 산소계측을 이용하면 동맥혈 가스검사의 빈도수를 줄일 수 있다.
④ 불안 감소
9. 인공호흡기 환자의 간호중재
1)관찰
- 호흡기의 전원 및 각종 mode 의 세팅 확인
- 환자의 자세 확인
- 기도 개방성 사정 : suction
- 공기 움직임의 사정 : 4시간마다 청진
- 가스교환의 사정 : ABGA, SpO2, 산소 반응, 환기말 이산화탄소 수치
- 의사소통 방법 제공 : 의식이 있는 경우는 호흡기의 착용에 대해 설명한다.
- 호흡 노력 사정 : 0-10 척도 사용
0: SOB 없음 10 : 매우 심한 SOB(shortness of breath)
2)합병증 예방
① 기관내 삽관의 부적절한 위치 : 적절한 위치를 표시해 놓고 흉부 사진으로 확인한다.
② 우발적인 흉관의 제거 억제제를 적용한 것인지 평가한다.
③ 누공 ; 기관조직에 미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폐쇄 압력을 최소화하거나 공기 누출을 최소화한다. 삽관 튜브를 제거하기 전에 인두를 흡인한 후 커프의 공기를 뺀 다음 제거한다.
④ 압력 : 구강, 코, 기관내 삽관 부위, 테이프 부착 부위의 피부 상태를 조사하고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⑤ 잠재적 감염 ;
- 손을 깨끗이 자주 씻도록 한다.
- 병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 위생을 철저히 한다(1회/일 이상)
- suction시 무균법을 사용하고 흡인 카테터는 1회 사용 후 교환한다.
- 카테터는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흡인 전에 통과시키며, 흡인 튜브는 깨끗한 컵에 1회 사용량 만큼만 생리식염수를 부어 통과시키며, 튜브와 컵은 24시간마다 멸균된 것으로 교환한다.
- 인공 확기기의 연결 튜브는 분리시에 멸균 상태로 유지하고 2주마다 교환한다.
- 연결 튜브의 불필요한 조작이나 쥬브를 떼는 것은 환자에게 해로우므로 최소화하고 물이 고이지
② 내장의 혈액 감소
흉곽내의 과도한 압력→횡격막을 밑으로 내려 민다→내장의 혈액 감소→위 점막의 허혈 유발 ⇒ 장기간 인공호흡시 긴장성 위궤양, 위장출혈 유발
③ 신장에의 혈류 흐름 감소
신장에의 혈류 흐름 감소→뇌하수체에서 ADH의 분비 증가→신장세뇨관의 재흡수 증가 →수분 정체, 소변 감소
④ 보상성 호흡성 산독증(만성 CO2 정체 대상자) 대상자는 양압호흡을 하면 CO2를 과도 하게 불어내 버림으로서 급성 알카로시스가 발생, 기절을 하거나 어지럽고, 경련, 심장 성 부정맥, 뇌부종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8.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 간호
① 분비물 흡인 및 가습
인공호흡기에 부착되어 있는 가온 가습기를 통해 효율적으로 100% 가습시켜야 한다.
- 가습장치와 인공호흡기의 연결 튜브를 정규적으로 점검한다
기도의 분비물은 반드시 흡인해 주어야 한다. 이는 기관내 삽관이 되어 있는 대상자 는 효율적인 기침반사가 일어나지 못하여 흉곽내압을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 흡인 전과 후에는 반드시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여 과환기해 주므로써 심근의 저 산소증과 부정맥을 예방해야 한다. 인공호흡기의 산소 농도를 100%로 잠시 올려 놓거나 Ambu bag을 이용해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흡인시 멸균볍을 철저히 따른다.
② 자세 및 운동
semi-Fowler 체위 : 폐저부와 말초 부위의 분비물 정체를 초래한다.
③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인공호흡기를 조작한 후 15~20분 후에 동맥혈 가스분압이 안정되므로 이 때 검사한다. 대상자의 상태가 안정되면 정규적으로 동맥혈 가스분압을 검사할 필요는 없으며, 맥박 산소계측을 이용하면 동맥혈 가스검사의 빈도수를 줄일 수 있다.
④ 불안 감소
9. 인공호흡기 환자의 간호중재
1)관찰
- 호흡기의 전원 및 각종 mode 의 세팅 확인
- 환자의 자세 확인
- 기도 개방성 사정 : suction
- 공기 움직임의 사정 : 4시간마다 청진
- 가스교환의 사정 : ABGA, SpO2, 산소 반응, 환기말 이산화탄소 수치
- 의사소통 방법 제공 : 의식이 있는 경우는 호흡기의 착용에 대해 설명한다.
- 호흡 노력 사정 : 0-10 척도 사용
0: SOB 없음 10 : 매우 심한 SOB(shortness of breath)
2)합병증 예방
① 기관내 삽관의 부적절한 위치 : 적절한 위치를 표시해 놓고 흉부 사진으로 확인한다.
② 우발적인 흉관의 제거 억제제를 적용한 것인지 평가한다.
③ 누공 ; 기관조직에 미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폐쇄 압력을 최소화하거나 공기 누출을 최소화한다. 삽관 튜브를 제거하기 전에 인두를 흡인한 후 커프의 공기를 뺀 다음 제거한다.
④ 압력 : 구강, 코, 기관내 삽관 부위, 테이프 부착 부위의 피부 상태를 조사하고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⑤ 잠재적 감염 ;
- 손을 깨끗이 자주 씻도록 한다.
- 병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 위생을 철저히 한다(1회/일 이상)
- suction시 무균법을 사용하고 흡인 카테터는 1회 사용 후 교환한다.
- 카테터는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흡인 전에 통과시키며, 흡인 튜브는 깨끗한 컵에 1회 사용량 만큼만 생리식염수를 부어 통과시키며, 튜브와 컵은 24시간마다 멸균된 것으로 교환한다.
- 인공 확기기의 연결 튜브는 분리시에 멸균 상태로 유지하고 2주마다 교환한다.
- 연결 튜브의 불필요한 조작이나 쥬브를 떼는 것은 환자에게 해로우므로 최소화하고 물이 고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