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북한군의 성격과 기능
1. 북한군의 성격
2. 북한군의 기능과 특징
Ⅱ. 북한군의 조직과 제도
1. 군 지휘체계 및 군사기구
Ⅲ. 북한의 군사전략과 군사력
1. 군사전략
2. 남북한 군사력 현황
(1) 남한과 북한의 현재 군사력 현황
(2) 남북한 군사력 비교
1. 북한군의 성격
2. 북한군의 기능과 특징
Ⅱ. 북한군의 조직과 제도
1. 군 지휘체계 및 군사기구
Ⅲ. 북한의 군사전략과 군사력
1. 군사전략
2. 남북한 군사력 현황
(1) 남한과 북한의 현재 군사력 현황
(2) 남북한 군사력 비교
본문내용
혁명의 군대, 수령의 군대라는 성격을 띠고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대내적으로 통치자를 수호하는 역할과 함게 대남면에서 남조선 혁명과 해방을 통한 전 한반도의 공산화라고 하는 당과 수령의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무력수단으로 해석된다.
2. 북한군의 기능과 특징
북한이 무력에 의한 한반도 적화혁명이라는 목표수행을 위한 군사정책의 기조는 4대군사노선으로서 북한 개정헌법은 제60조에 국가는 군대와 인민을 정치 사상적으로 무장시키는 기초 위에서 전군간부화, 전군현대화, 전민무장화, 전국요새화를 기본으로 하는 자위적 군사노선을 관철한다.고 이를 명문화하고 있다.
1998년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제 10기 1차 회의에서는 김정일 총비서를 국방위원장으로 재추대 하였고 국방위원회가 전반적 국방관리기관으로서 국방부분 중앙기관의 신설, 폐지 권한을 보유하고 동 위원장은 이체의 무력을 지휘 통솔하는 데에서 나아가 국방사업 전반을 지도할 수 있게끔 권한을 강화시켰다.
여기에서 일체의 무력이라 함은 정규군 117만 명은 물론 교도대 173여만 명, 노농적위대 414여 만 명, 붉은청년근위대 118여 만 명 등을 포함한 동원가능 예비병력 748만 명을 총망라한 무력이며, 전
2. 북한군의 기능과 특징
북한이 무력에 의한 한반도 적화혁명이라는 목표수행을 위한 군사정책의 기조는 4대군사노선으로서 북한 개정헌법은 제60조에 국가는 군대와 인민을 정치 사상적으로 무장시키는 기초 위에서 전군간부화, 전군현대화, 전민무장화, 전국요새화를 기본으로 하는 자위적 군사노선을 관철한다.고 이를 명문화하고 있다.
1998년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제 10기 1차 회의에서는 김정일 총비서를 국방위원장으로 재추대 하였고 국방위원회가 전반적 국방관리기관으로서 국방부분 중앙기관의 신설, 폐지 권한을 보유하고 동 위원장은 이체의 무력을 지휘 통솔하는 데에서 나아가 국방사업 전반을 지도할 수 있게끔 권한을 강화시켰다.
여기에서 일체의 무력이라 함은 정규군 117만 명은 물론 교도대 173여만 명, 노농적위대 414여 만 명, 붉은청년근위대 118여 만 명 등을 포함한 동원가능 예비병력 748만 명을 총망라한 무력이며, 전
추천자료
[북한]북한의 대남 적화 통일 전략
[러시아 대북정책][북러정상회담][러시아의 북핵문제에 대한 입장][러시아의 북한에 대한 평...
[북핵문제][북한핵문제][대북정책][핵정책][핵위기][한반도위기]한반도핵문제(북핵문제)에 따...
[대북정책][남북관계][북한][김대중][노무현][남북평화]북한의 대외관계 변화, 김대중정부의 ...
[외교정책][외교][중국 외교정책][북한 외교정책][일본 외교정책][영국 외교정책]중국의 외교...
[권력체제][권력][독일 권력체제 사례][북한 권력체제 사례][중국 공산당 권력체제 사례][한...
[남북협력][남북한협력][남북한공동협력][남북공동협력][북한]남북한의 공동 보훈협력, 남북...
중동 민주화 운동, 원인, 민주화 운동 현황, 결과, 유가상승, 북한의 영향, 북한의 민주화 변...
[북한의 사회와 경제/ 4학년 공통] 김정은 등장 이후 북한의 변화에 관해 논하시오
미국의 대한정책 (주한미군 감축, 베트남 파병, 이라크 파병, 북한 핵문제, 부시행정부 대북...
[통일관(남북통일관)][한국 통일관][북한 통일관][고려 통일관]통일관(남북통일관)과 한국의 ...
[남북화해, 남북화해와 대북정책, 남북화해와 포용정책, 평화협상, 북한정치관, 종교적 자유]...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미국][일본][북한][안보]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미국, ...
[북한학] 북한의 식량난문제 - 실태와 원인 및 배경,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