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사회와 경제/ 4학년 공통] 김정은 등장 이후 북한의 변화에 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사회와 경제/ 4학년 공통] 김정은 등장 이후 북한의 변화에 관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권력적인 구조면에서의 변화
 2. 경제정책에서의 변화
 3. 대외정책면에서의 변화
 4. 농업정책의 변화
 5. 김정은 체제의 북한, 변화할 것인가?
 6. 북한사회의 자발적인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수평적 관계를 맺고 있다. 세월이 갈수록 그들이 차지하는 비율과 정치 영향도 커지고 있다. 15년이나 20년 후에는 미공급 시대에 자란 그들이 북한 인구의 대다수가 될 것이다. 최근 경향을 보면 이런 세대교체는 북한 정권 안정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
김정은 정책을 보면, 그 자신이나 측근들은 이 위협을 어느 정도 짐작하고 있다. 김정은이 등장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북한 정권은 장마당과 독립 경제 세력을 없애버리기 위한 화폐개혁도 시도했고 탈북을 어렵게 하는 국경 경비 강화 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그러나 중앙계획경제가 가동하지 않은 조건 하에 북한 엘리트는 자발적인 시장 경제를 대체할 대안이 없어서 장마당 경제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사회와 경제 구조를 없애버리지 못한다. 김정은 정권은 이러한 자발적인 사회 변화의 속도를 늦출 수는 있으나 변화 자체를 중단하지는 못한다. 더디지만 확실하게 분단 상태 때문에 경제를 살리지 못하는 북한은 치명적인 위기로 가고 있다. 그러나 이 위기는 아직은 먼 미래에 있다고 생각된다. 갑작스러운 권력승계 때문인지 북한 정권의 생존 전략은 별 변화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이 연속성의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북한 엘리트의 입장에서 김정일 시대의 정책만큼 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정책이 없기 때문이다.
Ⅲ. 결론
최근 탈북자들의 증언에 의하면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경제사정은 더욱 나빠지고 있다고 한다. 국경을 통제하고 탈북자 재입북을 통해 추가 탈북을 막기 위해 기자회견을 여는 등 내부 통제와 감시를 강화하고 있으나, 경제사정이 나아지지 않는 한 민심이반을 해결할 길은 없다. 북한이 현재의 난국을 타개하고 정치적 안정을 이룰 수 있는 최선의 방책은 한국의 새 정부를 파트너로 삼아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새 정부 출범과 더불어 북한 정권의 변화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김정은 정권의 권력구조와 북한체제 전망 2012년
정치외교학 이수석 한국평화연구학회 / 평화학연구 (KCI 등재 )
김정은 체제 북한 사회의 과제와 변화 전망
정치외교학 이우영 통일연구원 / 통일정책연구
김정은 체제 등장 전후 북한의 언론 변화와 함의 2012년 신문방송학 이주철 한국방송학회 /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북한체제변화 연구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의 모색 2012년
정치외교학 류경아 외 1명 북한연구학회 / 북한연구학회보 (KCI 등재 )
  • 가격2,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3.0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