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사항)
▷상처는 피부 자체의 파괴가 있기때문에 상처 세척에 무균술이 필요하다.
▷상처 세척시 끝이 뭉툭한 주사바늘이 달린 피스톤 주사기를 사용하는것은
상처 손상의 위험을 줄인다.
▷betadine(10%용액)은 포도상구균이 호기성 세균으로 감염된 상처의 배액시 사용되나
일부 환자의 피부엔 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과산화수소(3%용액)는 괴사 조직을 촉진한다.
▷Sodium hupochlorite(Dakin\'s solution)는 괴사조직을 녹이고 Pseudomonas의 성장을
방해하는 방부제이다. 녹농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acetic acid도 있다.
▷도관을 억지로 넣을 경우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세척 용액은 괴사 조직과 배액을 씻어내므로 깨끗해진다.
▷피부에 남겨진 수분은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있다
상처배액체계의 유지
목적
-수술 상처로부터 많은 양의 배액을 흡인하여 상처 치유를 증진한다.
-배액을 통하여 감염의 위험과 피부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드레싱 교환횟수를 줄인다.
준비물품
소독솜, 눈금있는 용기, 섭취 및 배설량(I/O) 침상 옆 기록지, 상처 드레싱 교환재료, 지 시된 멸균세척용액(필요시), Kelly, 깨끗한 장갑, 멸균장갑, 방수포, 헤모백 또는 J-P흡인 백
방법
1.손을 씻는다.
2.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privacy를 제공한다.
4.대상자 확인 후, 절차를 설명한다.
5.배액 기능을 점검한다.
a.흡인액을 안전하게 잡고 소독솜으로 배출구 부위를 닦은 후 kelly로 흡인관을 잠그고 뚜껑을 연다.
근거: 배액이 역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b.흡인백을 거꾸로 들어 눈금이있는 용기에 분비물을 부어놓는다.
c.소독솜으로 배출구와 뚜껑을 닦는다.
6.흡인백을 완전히 눌러 음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닫느다.
근거:상처 흡인백 속에 음압을 주어 흡인력이 생기도록 한다.
7.흡인관을 kelly를 제거한다.
8.배액관이 꼬이거나 당기지 않게 흡인용기가 상처부위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9.대상자 체위를 편하게 해주고 물품을 정리한다.
10.배액기능, 배액의 양과 특성, 대상자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
유의사항
▷배액체계가 적절히 기능하는지 정규적인 사정이 필요한다. 근무교대시마다 최소한 한 번 이상 배액량과 특성을 확인한다.
▷배액관이 여러 개라면 라벨로 표시한다.
▷배액이 없으면 흡인체계를 제거한다.
거즈드레싱, 상처세척, 상처배액체계의 유지
▷상처는 피부 자체의 파괴가 있기때문에 상처 세척에 무균술이 필요하다.
▷상처 세척시 끝이 뭉툭한 주사바늘이 달린 피스톤 주사기를 사용하는것은
상처 손상의 위험을 줄인다.
▷betadine(10%용액)은 포도상구균이 호기성 세균으로 감염된 상처의 배액시 사용되나
일부 환자의 피부엔 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과산화수소(3%용액)는 괴사 조직을 촉진한다.
▷Sodium hupochlorite(Dakin\'s solution)는 괴사조직을 녹이고 Pseudomonas의 성장을
방해하는 방부제이다. 녹농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acetic acid도 있다.
▷도관을 억지로 넣을 경우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세척 용액은 괴사 조직과 배액을 씻어내므로 깨끗해진다.
▷피부에 남겨진 수분은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있다
상처배액체계의 유지
목적
-수술 상처로부터 많은 양의 배액을 흡인하여 상처 치유를 증진한다.
-배액을 통하여 감염의 위험과 피부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드레싱 교환횟수를 줄인다.
준비물품
소독솜, 눈금있는 용기, 섭취 및 배설량(I/O) 침상 옆 기록지, 상처 드레싱 교환재료, 지 시된 멸균세척용액(필요시), Kelly, 깨끗한 장갑, 멸균장갑, 방수포, 헤모백 또는 J-P흡인 백
방법
1.손을 씻는다.
2.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privacy를 제공한다.
4.대상자 확인 후, 절차를 설명한다.
5.배액 기능을 점검한다.
a.흡인액을 안전하게 잡고 소독솜으로 배출구 부위를 닦은 후 kelly로 흡인관을 잠그고 뚜껑을 연다.
근거: 배액이 역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b.흡인백을 거꾸로 들어 눈금이있는 용기에 분비물을 부어놓는다.
c.소독솜으로 배출구와 뚜껑을 닦는다.
6.흡인백을 완전히 눌러 음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닫느다.
근거:상처 흡인백 속에 음압을 주어 흡인력이 생기도록 한다.
7.흡인관을 kelly를 제거한다.
8.배액관이 꼬이거나 당기지 않게 흡인용기가 상처부위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9.대상자 체위를 편하게 해주고 물품을 정리한다.
10.배액기능, 배액의 양과 특성, 대상자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
유의사항
▷배액체계가 적절히 기능하는지 정규적인 사정이 필요한다. 근무교대시마다 최소한 한 번 이상 배액량과 특성을 확인한다.
▷배액관이 여러 개라면 라벨로 표시한다.
▷배액이 없으면 흡인체계를 제거한다.
거즈드레싱, 상처세척, 상처배액체계의 유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