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Holland 적성탐색검사
1. 들어가는 말
2. 성격이론에 기초
Ⅱ. 검사의 목적과 대상
1. 검사의 목적
2. 검사의 대상은 누구인가?
3. 표준화 검사의 근거?
4. 이 검사를 선정한 이유, 자료 검색 절차, 확보 경로
Ⅲ. 검사지의 정보
1. 검사의 이름 : 진로 및 적성 탐색 검사
2. 저자
3. 출판사
4. 저작권
5. 검사의 목적과 사용방법 (무엇을 측정하고 검사 점수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6. 비용
7. 검사 내용(하위 검사 영역)
8. 문항수와 문항 형식
9. 검사의 시행
10. 검사 시행자에게 자격요건이 있다면 어떠한 것인가?
Ⅳ. 검사 점수
1. 어떠한 점수가 보고 되는가?
가. 채점
나. 전체 긍정반응 지수(P)
다. 변별도 지수
라. 일관성 지수
2. 규준이 설정되었다면 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측정오차가 보고 되었는가? 있다면, 어떠한 것인가?
Ⅴ. 신뢰도
1. 어떠한 신뢰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2. 주어진 정보에 기반 하여 검사점수는 신뢰롭다고 생각하는가?
Ⅵ. 타당도
1. 어떠한 타당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2. 주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타당한 점수해석의 예를 제시하시오.
Ⅶ. 총평
1. 다른 유사한 검사와 비교하여 이 검사가 갖는 고유한 특징은?
2,개선해야 할 점
3. 전체적 평가
1. 들어가는 말
2. 성격이론에 기초
Ⅱ. 검사의 목적과 대상
1. 검사의 목적
2. 검사의 대상은 누구인가?
3. 표준화 검사의 근거?
4. 이 검사를 선정한 이유, 자료 검색 절차, 확보 경로
Ⅲ. 검사지의 정보
1. 검사의 이름 : 진로 및 적성 탐색 검사
2. 저자
3. 출판사
4. 저작권
5. 검사의 목적과 사용방법 (무엇을 측정하고 검사 점수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6. 비용
7. 검사 내용(하위 검사 영역)
8. 문항수와 문항 형식
9. 검사의 시행
10. 검사 시행자에게 자격요건이 있다면 어떠한 것인가?
Ⅳ. 검사 점수
1. 어떠한 점수가 보고 되는가?
가. 채점
나. 전체 긍정반응 지수(P)
다. 변별도 지수
라. 일관성 지수
2. 규준이 설정되었다면 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측정오차가 보고 되었는가? 있다면, 어떠한 것인가?
Ⅴ. 신뢰도
1. 어떠한 신뢰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2. 주어진 정보에 기반 하여 검사점수는 신뢰롭다고 생각하는가?
Ⅵ. 타당도
1. 어떠한 타당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2. 주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타당한 점수해석의 예를 제시하시오.
Ⅶ. 총평
1. 다른 유사한 검사와 비교하여 이 검사가 갖는 고유한 특징은?
2,개선해야 할 점
3. 전체적 평가
본문내용
2
14
14
계
52
61
69
- 계산된 전체 RIASEC 요약점수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유형코드를 찾아내게 되는데, RIASEC 각 척도점수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와 두 번째로 높은 점수의 척도가 개인의 유형코드가 된다. 예) R=67, I=32, A=66, S=37, E=24, C=27 → 개인의 유형코드는 RA
나. 전체 긍정반응 지수(P)
피검자의 긍정반응수
P= × 100
검사의 전체 채점문항수
(R+I+A+S+E+C)
진로탐색검사의 경우 P= × 100
366
(R+I+A+S+E+C)
적성탐색검사의 경우 P= × 100
414
다. 변별도 지수
- 변별도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
① 변별도 전범위 지수(DR) : 전체 RIASEC 요약점수 중 가장 높은 척도값에서 가장 낮은 척도값(전범위)을 뺌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예) R=67, I=32, A=66, S=37, E=24, C=27 → 변별도 지수는 67(R) - 24(E)로서 43이 된다.
② Iachan 지수(DI) : Iachan 지수(DI)의 변별도 지수에 의해 계산
* Iachan 지수(DI)의 변별도 지수 계산하는 방법과 예
DI=[X₁-(X₂+X₄)/2]/2
X₁: 프로파일에서 가장 높은 점수
X₂: 두 번째로 높은 점수
X₄: SP 번째로 높은 점수
R=47, I=32, A=46, S=37, E=24, C=27
X₁ X₄ X₂
DI=[47-(46+32)/2]/2=4.00
라. 일관성 지수
- 일관성은 유형코드에 의해 나타난 유형간의 유사성을 의미하고, 이는 RIASEC 6각형 모형에서 유형이 자리 잡고 있는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R:실제적 I:탐구적
C:관습적 A:예술적
E:기업적 S:사회적
* 일관성 지수
내 용
지수
예
1. 두 자리 유형코드가 인접한 유형일 때
3
RI, IR, SA, SE
2. 두 자리 유형코드가 인접하지 않거나 마주보고 있지 않을 때
2
RA, SC, EA, IS
3. 두 자리 유형코드가 서로 마주볼 때
1
RS, IE, AC, SR
2. 규준이 설정되었다면 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심리측정 이론은 특성이론적 근거 위에서 발전되어 왔다. 특성이론에 의하면 측정된 측정치는 시간적으로 안정성이 있어야 하고, 상황적으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할 것을 요한다. 따라서 검사의 표준화가 필요하고 그러한 표준화는 검사제작 과정에서 문항표집의 대표성, 검사실시 과정에서의 시간적 공간적으로 동일 측정치를 보증하는 표준적 실시, 그리고 결과를 표준적 집단의 규준에 비추어 해석하는 것이다.
본 진로탐색겸사의 표준화 작업은 문항선정 과정에서 검사결과의 적용가능 집단을 고려한 표집진단에 실시한 결과로 얻어진 문항난이도, 문항-척도 점수간의 상관, 내적합치도, 문항 상호상관계수 및 신뢰도 계수 등의 통계적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선정하였고, 또 그 실시방법 역시 표준적 과정으로 실시하지만 검사결과는 T점수와 같이 규준점수를 사용하지 않고 또 그 해석 역시 규준에 따르지 않는다. 왜냐하면, 실제 RIASEC 각 유형들의 분포는 각각 다르게 분포되어 있어서 규준적으로 T점수 50이라는 동일평균을 기준으로 그 상대적 크기에 따라 유형을 나눈다는 것은 불합리하다.
따라서 진로탐색검사에서는 P점수를 사용하며 이것은 집단 의존적이 아닌 검사 의존적 점수이기 때문에 규준의 필요성이 없다.
3. 측정오차가 보고 되었는가? 있다면, 어떠한 것인가?
- 측정오차는 보고 되지 않았다.
Ⅴ. 신뢰도
1. 어떠한 신뢰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진로탐색검사의 신뢰도는 문항내적 합치도계수인 Cronbach α 계수이다.
* 집단별 신뢰도 계수
문항수
R
I
A
S
E
C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가치
8
.67
.45
.75
.66
.65
.66
성격
12
.60
.56
.55
.63
.67
.60
.62
.64
.69
.67
.67
.69
.67
.71
.71
.53
.59
.67
유능감
11
.81
.84
.81
.75
.76
.73
.79
.81
.81
.70
.69
.69
.83
.84
.84
.73
.74
.75
활동
11
.92
.92
.91
.85
.85
.79
.80
.85
.86
.79
.84
.85
.79
.81
.82
.80
.84
.85
직업
13
.92
.93
.91
.90
.89
.86
.86
.89
.90
.87
.89
.89
.81
.85
.84
.74
.82
.82
전체
55
.94
.94
.92
.93
.93
.90
.91
.92
.94
.90
.92
.82
.90
.92
.92
.84
.87
.89
2. 주어진 정보에 기반 하여 검사점수는 신뢰롭다고 생각하는가?
- 집단별 신뢰도 계수의 통계를 볼 때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겠다.
Ⅵ. 타당도
1. 어떠한 타당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 진로탐색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자료의 표준화시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예언타당도를 제시한다.
가. 구인타당도 : 요인분석
나. 준거관련 타당도 : 다른 성격검사와의 상관
2. 주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타당한 점수해석의 예를 제시하시오.
준거관련 타당도 : 각 학과군에 따른 진로코드의 분포
Ⅶ. 총평
1. 다른 유사한 검사와 비교하여 이 검사가 갖는 고유한 특징은?
적성검사는 각 학교의 교사나 학생들에게 학과 선택이나 직업 선택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 준다. 그리고 적성검사는 각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새로운 능력을 발견하는 것을 돕는다. 적성검사는 그 내용에 따라 각 적성요인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어떤 직무가 적합한지 알아보는 종합 적성검사와 각 적성요인을 분리하여 개인이 어떤 특정직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특수 적성검사로 나눈다, 그리고 검사의 목적에 따라 진학 적성검사와 직업 적성검사로 나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적성검사는 진학 적성과 직업 적성을 동시에 측정하는 검사가 대부분이나. 한국행동과학연구소의는 진학 적성을, 박수병의 와 김재은의 <직업적성검사>는 직업 적성을 주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국내
14
14
계
52
61
69
- 계산된 전체 RIASEC 요약점수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유형코드를 찾아내게 되는데, RIASEC 각 척도점수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와 두 번째로 높은 점수의 척도가 개인의 유형코드가 된다. 예) R=67, I=32, A=66, S=37, E=24, C=27 → 개인의 유형코드는 RA
나. 전체 긍정반응 지수(P)
피검자의 긍정반응수
P= × 100
검사의 전체 채점문항수
(R+I+A+S+E+C)
진로탐색검사의 경우 P= × 100
366
(R+I+A+S+E+C)
적성탐색검사의 경우 P= × 100
414
다. 변별도 지수
- 변별도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
① 변별도 전범위 지수(DR) : 전체 RIASEC 요약점수 중 가장 높은 척도값에서 가장 낮은 척도값(전범위)을 뺌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예) R=67, I=32, A=66, S=37, E=24, C=27 → 변별도 지수는 67(R) - 24(E)로서 43이 된다.
② Iachan 지수(DI) : Iachan 지수(DI)의 변별도 지수에 의해 계산
* Iachan 지수(DI)의 변별도 지수 계산하는 방법과 예
DI=[X₁-(X₂+X₄)/2]/2
X₁: 프로파일에서 가장 높은 점수
X₂: 두 번째로 높은 점수
X₄: SP 번째로 높은 점수
R=47, I=32, A=46, S=37, E=24, C=27
X₁ X₄ X₂
DI=[47-(46+32)/2]/2=4.00
라. 일관성 지수
- 일관성은 유형코드에 의해 나타난 유형간의 유사성을 의미하고, 이는 RIASEC 6각형 모형에서 유형이 자리 잡고 있는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R:실제적 I:탐구적
C:관습적 A:예술적
E:기업적 S:사회적
* 일관성 지수
내 용
지수
예
1. 두 자리 유형코드가 인접한 유형일 때
3
RI, IR, SA, SE
2. 두 자리 유형코드가 인접하지 않거나 마주보고 있지 않을 때
2
RA, SC, EA, IS
3. 두 자리 유형코드가 서로 마주볼 때
1
RS, IE, AC, SR
2. 규준이 설정되었다면 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심리측정 이론은 특성이론적 근거 위에서 발전되어 왔다. 특성이론에 의하면 측정된 측정치는 시간적으로 안정성이 있어야 하고, 상황적으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할 것을 요한다. 따라서 검사의 표준화가 필요하고 그러한 표준화는 검사제작 과정에서 문항표집의 대표성, 검사실시 과정에서의 시간적 공간적으로 동일 측정치를 보증하는 표준적 실시, 그리고 결과를 표준적 집단의 규준에 비추어 해석하는 것이다.
본 진로탐색겸사의 표준화 작업은 문항선정 과정에서 검사결과의 적용가능 집단을 고려한 표집진단에 실시한 결과로 얻어진 문항난이도, 문항-척도 점수간의 상관, 내적합치도, 문항 상호상관계수 및 신뢰도 계수 등의 통계적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선정하였고, 또 그 실시방법 역시 표준적 과정으로 실시하지만 검사결과는 T점수와 같이 규준점수를 사용하지 않고 또 그 해석 역시 규준에 따르지 않는다. 왜냐하면, 실제 RIASEC 각 유형들의 분포는 각각 다르게 분포되어 있어서 규준적으로 T점수 50이라는 동일평균을 기준으로 그 상대적 크기에 따라 유형을 나눈다는 것은 불합리하다.
따라서 진로탐색검사에서는 P점수를 사용하며 이것은 집단 의존적이 아닌 검사 의존적 점수이기 때문에 규준의 필요성이 없다.
3. 측정오차가 보고 되었는가? 있다면, 어떠한 것인가?
- 측정오차는 보고 되지 않았다.
Ⅴ. 신뢰도
1. 어떠한 신뢰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진로탐색검사의 신뢰도는 문항내적 합치도계수인 Cronbach α 계수이다.
* 집단별 신뢰도 계수
문항수
R
I
A
S
E
C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중
고
대
가치
8
.67
.45
.75
.66
.65
.66
성격
12
.60
.56
.55
.63
.67
.60
.62
.64
.69
.67
.67
.69
.67
.71
.71
.53
.59
.67
유능감
11
.81
.84
.81
.75
.76
.73
.79
.81
.81
.70
.69
.69
.83
.84
.84
.73
.74
.75
활동
11
.92
.92
.91
.85
.85
.79
.80
.85
.86
.79
.84
.85
.79
.81
.82
.80
.84
.85
직업
13
.92
.93
.91
.90
.89
.86
.86
.89
.90
.87
.89
.89
.81
.85
.84
.74
.82
.82
전체
55
.94
.94
.92
.93
.93
.90
.91
.92
.94
.90
.92
.82
.90
.92
.92
.84
.87
.89
2. 주어진 정보에 기반 하여 검사점수는 신뢰롭다고 생각하는가?
- 집단별 신뢰도 계수의 통계를 볼 때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겠다.
Ⅵ. 타당도
1. 어떠한 타당도가 보고 되었으면, 그 값은?
- 진로탐색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자료의 표준화시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예언타당도를 제시한다.
가. 구인타당도 : 요인분석
나. 준거관련 타당도 : 다른 성격검사와의 상관
2. 주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타당한 점수해석의 예를 제시하시오.
준거관련 타당도 : 각 학과군에 따른 진로코드의 분포
Ⅶ. 총평
1. 다른 유사한 검사와 비교하여 이 검사가 갖는 고유한 특징은?
적성검사는 각 학교의 교사나 학생들에게 학과 선택이나 직업 선택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 준다. 그리고 적성검사는 각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새로운 능력을 발견하는 것을 돕는다. 적성검사는 그 내용에 따라 각 적성요인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어떤 직무가 적합한지 알아보는 종합 적성검사와 각 적성요인을 분리하여 개인이 어떤 특정직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특수 적성검사로 나눈다, 그리고 검사의 목적에 따라 진학 적성검사와 직업 적성검사로 나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적성검사는 진학 적성과 직업 적성을 동시에 측정하는 검사가 대부분이나. 한국행동과학연구소의
<국내
추천자료
교육 평가(절대평가, 상대평가, 타당도, 신뢰도를 중점으로)
상담과 심리검사
진로 심리 검사
[적성][직업][진로교육][진로지도][대학교]적성과 직업의 관계, 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 ...
[특기적성교육][특기교육][적성교육]특기적성교육의 의의, 특기적성교육의 기본 방침, 특기적...
나의 적성과 SWOT 전략 - 공무원 -
나의 적성과 SWOT 전략 - 공무원 -
사회 성숙도 검사
[직업탐색][진로탐색][진로탐색 능력함양][진로탐색 문제점]직업탐색(진로탐색)의 의미, 직업...
유아의 지능검사의 종류
직업선호도검사
자신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고 멘토를 설정하여 통한 자신의 꿈(적성)에따라 진로를 결정하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