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본론
제 1 절 컴퓨터 중독의 개념
제 2 절 컴퓨터 중독의 사례
1. 게임중독 사례
2. 채팅중독 사례
3. 쇼핑중독 사례
제 3절 컴퓨터 중독의 원인과 문제점
1)인터넷 중독의 원인
1. 인터넷 자체의 속성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
2. 인터넷 중독은 과각성(過覺醒) 상태를 추구하는 장애이다
3. 인터넷은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장애이다
4. 인터넷 중독증은 관음증(Voyeurism) 상태 혹은 노출증(Exhibition)의 변형이다
5. 자기실현의 좌절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
2) 컴퓨터 중독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1. 중독성
2. 판타지
3. 폭력성
4. 음란성
제 4절 해결방안
*개인적 측면
*환경적 측면
*제도적 측면
제 3 장 결 론
참고자료
제 2 장 본론
제 1 절 컴퓨터 중독의 개념
제 2 절 컴퓨터 중독의 사례
1. 게임중독 사례
2. 채팅중독 사례
3. 쇼핑중독 사례
제 3절 컴퓨터 중독의 원인과 문제점
1)인터넷 중독의 원인
1. 인터넷 자체의 속성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
2. 인터넷 중독은 과각성(過覺醒) 상태를 추구하는 장애이다
3. 인터넷은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장애이다
4. 인터넷 중독증은 관음증(Voyeurism) 상태 혹은 노출증(Exhibition)의 변형이다
5. 자기실현의 좌절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
2) 컴퓨터 중독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1. 중독성
2. 판타지
3. 폭력성
4. 음란성
제 4절 해결방안
*개인적 측면
*환경적 측면
*제도적 측면
제 3 장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2004년 8월 정보통신부 발표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사용인구가 3천만 명에 달하며, 한 주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12시간에 달한다. 인터넷이 없는 생활은 하루라도 불편할 것이다.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고, 대한민국이 인터넷강국으로 발돋움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컴퓨터 중독\'이다. 이 컴퓨터 중독의 원인은 무엇이며 이에 따르는 문제점은 무엇일까?
우선, 인터넷 중독의 원인에 대한 관한 여러 심리학자들의 이론을 다섯 가지로 정리해보았다.
1)인터넷 중독의 원인
1. 인터넷 자체의 속성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Griffiths, 1995).
이는 마약이나 도박이 주는 쾌락이 중독의 원인이듯이, 인터넷 중독 역시 인터넷이 제공하는 강화(쾌락)가 있어, 이것이 개인으로 하여금 인터넷에 중독되게 한다는 관점이다. 인터넷이 중독적 성향을 갖게 하는 특징으로는 다행감, 익명성, 즉각적 만족, 광대한 정보 제공을 통한 자아 팽창감, 역할 놀이를 통한 환상 충족, 상대적으로 거리감을 둔 인간관계 형성, 공격성과 충동성의 발현 등이 거론된다. 이에 대해 다른 쪽에서는 모든 사람이 인터넷에 중독적으로 빠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에 중독되는 사람들의 어떤 성격적 특성이 중독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2. 인터넷 중독은 과각성(過覺醒) 상태를 추구하는 장애이다(Wellman, 1996).
인터넷은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관계의 폭을 넓혀주고, 다양한 관계를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은 이런 관계를 통해 과각성의 효과를 갖게 한다. 사회적으로 억압되고 관계의 폭이 좁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관계를 유지하고 과각성된 상태로 지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터넷은 자기 자신에 대한 자각과 타인에 대한 지각을 극대화 시키는 요소가 있는데 이를 통해 자기와 타인의 관계가 이전보다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믿게 한다. 이런 과각성 상태의 추구가 인터넷 중독의 원인이 된다.
3. 인터넷은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장애이다(Walther, 1994, 2000).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바라보는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 중의 하나이다. 인터넷은 현실세계에서 의사소통의 비효율성과 실패를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보상수단이 될 수 있다. 이 메일, 채팅, 게시판 글 올리기와 같은 인터넷 사용은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고, 이에 중독 된다는 것은 비현실적 의사소통 방법에 의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대인관계 교류의 특징은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익명성(Anonymity)으로 인해 생겨나는 여러 가지 파급 효과들로 나타난다. 즉 억압 해제효과(Disinhibition effect)가 있으며(Reid 1994), 정서적 투사효과(Emotional laden projection effect)도 있다.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실어서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중독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King, 1995).
4. 인터넷 중독증은 관음증(Voyeurism) 상태 혹은 노출증(Exhibition)의 변형이다(King, 1995).
인터넷을 통해 추구하는 중독적 행동 중 하나가 관음증 충족이다. 익명성의 또 다른 양상은 잠복 관찰(Lurking)이라고 하는데, 이는 자신이 뛰어들지 않으면서도 타인을 관찰하고 탐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채팅 방에서 남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엿볼 수 있고 섹스사이트에서는 동영상의 섹스 행위를 엿볼 수도 있다.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 행위들을 관찰하면서 대리만족 할 수 있는 경향이 인터넷 중독에 빠질 수 있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와 반대로 인터넷은 익명성을 바탕으로 한 노출증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공격적 언어, 공격적 행위를 인터넷 안에서 분출하는 것은 이런 노출증적 요소의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섹스행위를 인터넷 안에서 노출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고 심지어는 자신의 성기를 화면에 담아 올리기도 한다.
5. 자기실현의 좌절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 (역할 게임 이론에 적용) (Suler, 1996).
슐러는 심리학자 매슬로우((Maslow)의 이론을 역할 게임(RPG, Role Playing Game)에 적용시켜서 인터넷 게임 중독을 설명하고 있다. 욕구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생식과 출산은 역할 게임들의 성적인 희롱과 역할 전환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고 했으며, 다음 단계의 욕구인 대인관계나 사회적 인지도 게임의 집단에 소속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 다음 단계의 욕구인 학습과 성취를 통한 자기 존중감 또한 역할 게임을 통해 얻게 된다고 하였는데 이는 게임 안에서 지위를 얻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였다. 슐러는 현대사회가 인간의 기본적 욕구와 진화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실패하고 있고 이러한 실제 현실에서의 좌절이 인터넷을 통한 허위 자기실현(Pseudo self actualization)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컴퓨터 중독은 중독성을 불러일으키는 속성들과 사용자의 심리, 정신적인 문제들로 생
겨나는 문제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컴퓨터 중독으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2) 컴퓨터 중독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1. 중독성
-채팅중독 - 정보이용자가 대화방, 머드게임, 동호회 등의 순서로 인터넷을 과도하게 즐겨 현실도피의 수단으로 사이버 공간으로 이용.
-게임중독 -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유익한 면이 있지만 지나친 게임은 중독증을 유발하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음란물 중독 - 청소년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중독으로 청소년기에는 성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인터넷을 통한 음란물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게임중독의 실제 사례들
1)죽음 부른 인터넷 게임 중독- 30대 독거남 숨진 채 발견
오랜 시간 앉아 인터넷 게임할 경우 정맥혈전증으로 사망할 수 있어 인터넷 게임에 빠져 있던 30대 남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이 남자는 혼자 생활하며 평소 외출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고 모(31, 서귀포시)씨가 숨진 채 발견된 것은 10일 저녁 8시쯤.
전화를 받지 않아 집으로 찾아간 친구에 의해 발견
우선, 인터넷 중독의 원인에 대한 관한 여러 심리학자들의 이론을 다섯 가지로 정리해보았다.
1)인터넷 중독의 원인
1. 인터넷 자체의 속성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Griffiths, 1995).
이는 마약이나 도박이 주는 쾌락이 중독의 원인이듯이, 인터넷 중독 역시 인터넷이 제공하는 강화(쾌락)가 있어, 이것이 개인으로 하여금 인터넷에 중독되게 한다는 관점이다. 인터넷이 중독적 성향을 갖게 하는 특징으로는 다행감, 익명성, 즉각적 만족, 광대한 정보 제공을 통한 자아 팽창감, 역할 놀이를 통한 환상 충족, 상대적으로 거리감을 둔 인간관계 형성, 공격성과 충동성의 발현 등이 거론된다. 이에 대해 다른 쪽에서는 모든 사람이 인터넷에 중독적으로 빠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에 중독되는 사람들의 어떤 성격적 특성이 중독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2. 인터넷 중독은 과각성(過覺醒) 상태를 추구하는 장애이다(Wellman, 1996).
인터넷은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관계의 폭을 넓혀주고, 다양한 관계를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은 이런 관계를 통해 과각성의 효과를 갖게 한다. 사회적으로 억압되고 관계의 폭이 좁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관계를 유지하고 과각성된 상태로 지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터넷은 자기 자신에 대한 자각과 타인에 대한 지각을 극대화 시키는 요소가 있는데 이를 통해 자기와 타인의 관계가 이전보다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믿게 한다. 이런 과각성 상태의 추구가 인터넷 중독의 원인이 된다.
3. 인터넷은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장애이다(Walther, 1994, 2000).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바라보는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 중의 하나이다. 인터넷은 현실세계에서 의사소통의 비효율성과 실패를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보상수단이 될 수 있다. 이 메일, 채팅, 게시판 글 올리기와 같은 인터넷 사용은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고, 이에 중독 된다는 것은 비현실적 의사소통 방법에 의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대인관계 교류의 특징은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익명성(Anonymity)으로 인해 생겨나는 여러 가지 파급 효과들로 나타난다. 즉 억압 해제효과(Disinhibition effect)가 있으며(Reid 1994), 정서적 투사효과(Emotional laden projection effect)도 있다.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실어서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중독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King, 1995).
4. 인터넷 중독증은 관음증(Voyeurism) 상태 혹은 노출증(Exhibition)의 변형이다(King, 1995).
인터넷을 통해 추구하는 중독적 행동 중 하나가 관음증 충족이다. 익명성의 또 다른 양상은 잠복 관찰(Lurking)이라고 하는데, 이는 자신이 뛰어들지 않으면서도 타인을 관찰하고 탐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채팅 방에서 남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엿볼 수 있고 섹스사이트에서는 동영상의 섹스 행위를 엿볼 수도 있다.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 행위들을 관찰하면서 대리만족 할 수 있는 경향이 인터넷 중독에 빠질 수 있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와 반대로 인터넷은 익명성을 바탕으로 한 노출증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공격적 언어, 공격적 행위를 인터넷 안에서 분출하는 것은 이런 노출증적 요소의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섹스행위를 인터넷 안에서 노출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고 심지어는 자신의 성기를 화면에 담아 올리기도 한다.
5. 자기실현의 좌절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 (역할 게임 이론에 적용) (Suler, 1996).
슐러는 심리학자 매슬로우((Maslow)의 이론을 역할 게임(RPG, Role Playing Game)에 적용시켜서 인터넷 게임 중독을 설명하고 있다. 욕구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생식과 출산은 역할 게임들의 성적인 희롱과 역할 전환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고 했으며, 다음 단계의 욕구인 대인관계나 사회적 인지도 게임의 집단에 소속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 다음 단계의 욕구인 학습과 성취를 통한 자기 존중감 또한 역할 게임을 통해 얻게 된다고 하였는데 이는 게임 안에서 지위를 얻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였다. 슐러는 현대사회가 인간의 기본적 욕구와 진화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실패하고 있고 이러한 실제 현실에서의 좌절이 인터넷을 통한 허위 자기실현(Pseudo self actualization)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컴퓨터 중독은 중독성을 불러일으키는 속성들과 사용자의 심리, 정신적인 문제들로 생
겨나는 문제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컴퓨터 중독으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2) 컴퓨터 중독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1. 중독성
-채팅중독 - 정보이용자가 대화방, 머드게임, 동호회 등의 순서로 인터넷을 과도하게 즐겨 현실도피의 수단으로 사이버 공간으로 이용.
-게임중독 -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유익한 면이 있지만 지나친 게임은 중독증을 유발하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음란물 중독 - 청소년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중독으로 청소년기에는 성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인터넷을 통한 음란물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게임중독의 실제 사례들
1)죽음 부른 인터넷 게임 중독- 30대 독거남 숨진 채 발견
오랜 시간 앉아 인터넷 게임할 경우 정맥혈전증으로 사망할 수 있어 인터넷 게임에 빠져 있던 30대 남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이 남자는 혼자 생활하며 평소 외출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고 모(31, 서귀포시)씨가 숨진 채 발견된 것은 10일 저녁 8시쯤.
전화를 받지 않아 집으로 찾아간 친구에 의해 발견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과학] 게임중독의 실태와 그 구체적 해결방안
게임중독의 실태와 그 구체적 해결방안
휴대폰 중독 실태와 해결방안
알코올 중독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아동 게임중독 실태와 그 해결방안
약물중독의 증상 약물남용 문제 해결방안
인터넷 게임 중독의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나의 견해[A+추천 레포트★★★★★]
알코올중독에 따른 문제점 및 사회복지 해결방안
현대의 아동 청소년 인터넷 중독 특성과 해결방안
[A+평가 레포트]도박중독의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청소년의 게임중독 (청소년 게임 중독의 실태, 문제점, 해결방안).PPT자료
[Addiction-중독문제] 게임중독, 성형중독, 알코올중독, 흡연중독, 마약중독, 중독의 문제점,...
[Addiction-중독문제] 게임중독, 성형중독, 알코올중독, 흡연중독, 마약중독, 중독의 문제점,...
호한 마마 보다 무서운 유아 인터넷 게임 중독 (인터넷 게임 중독의 의미, 중독 실태, 중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