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시대 - 초기 르네상스, 전성기 르네상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르네상스시대 - 초기 르네상스, 전성기 르네상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초기 르네상스
르네상스 : 근대회화의 시작
시대상황
르네상스의 의미
르네상스 탄생
초기 르네상스 : 피렌체 시대
건축 및 조각
회화

(2) 전성기 르네상스
① 레오나르도 다 빈치
스푸마토(Sfumato)기법
키아로스쿠로 기법
모노크롬 기법

본문내용

화면전체에 심오한 깊이를 더해주는 효과를 주며 회화의 소재들이 화면에서 튀는 것이 아닌 전체와 완전히 조화를 이루게 된다.
6주차※키아로스쿠로 기법 (Chiaroscuro 명암대조법)
: 키아로스쿠로 기법이란 논리적으로 빛이 그림자를 만들 부분에 그림자를 그리지 않는 것이다. 이 기법은 그림에 강조부분을 만들어 주며 화가가 바라는 효과를 창출해 준다. 프란체스카나, 보티첼리 등은 어두운 부분에 대해서 밝은 색이 화면을 지배하도록 쭹다. 그러나 레오나르도는 반대로 어두운 부분이 증대되어 신체나 특히 윤곽선이 강조되어 인물을 회화의 분위기에 특히 몰입 되도록 하고 있다. 역시 화면의 조화에 기여한다.
강※모노크롬 기법 (Monochrome(단색화))
: 레오나르도는 색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당대 다른 거장의 그림들과 비교해볼 때 그의 그림의 색조들은 단순해 보일지 모르지만, 이것은 \'단색\'의 뜻이 아니다. 그는 회화적인 통일과 조화를 위하여 색조조차도 화면 속에 녹여 조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는 모든 색채를 혼합함으로써 색채의 미묘한 뉘앙스를 얻을 수 있으리라는 확신으로 여러 가지 색의 혼합을 시도했다. 그 결과 모든 색을 거의 모노크롬에 가까운 중간색으로 화면 전체를 메우고 있다. 어쩌면 이것이 자연과 인간을 따로 떼어놓고 보는 오만한 생각이 아닌 자연의 일부로써 인간을 겸손하게 받아들이는 진정 인간을 사랑하는 태도가 아닌가 생각된다.
최후의 만찬 /1493~97년 벽화 템페라 460 ×880cm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식당
: 인간의 천재성이 이룩해 낸 위대한 기적의 하나로 평가됨. 위대한 상상력. 중앙 집중(초점이 가운데 위치
: 예수를 배치하여 돋보임), 삼각형 구도, 인물 뒷면의 창문으로 그리스도 모습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팀파눔의 원의 중심점이 그리스도 이마에 있어 자연스러운 후광 역할(건축적 구조를 빌림)을 하고 있다. 더불어 시선을 중앙으로 집중시키고 있다. 배경에 보다 많은 역할을 부여하여 단순한 배경으로서가 아니라 주제의의미를 능동적으로 살려 주는 회화적 요소의 하나로 다루고 있다. 열두 사도는 제스처나 움직임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세 사람씩 네 무리로 자연스럽게 구별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다양성 속에는 너무나도 풍부한 질서가 있으며, 또 이 질서 속에는 너무나도 다양성이 풍부하게 있으므로 한 움직임과 그것을 받는 움직임 사이의 조화 있는 상호작용을 결코 다 볼 수는 없다.
: 모나(monna)란 부인의 경칭이며, 일명 죠콘다(La Gioconda)라고도 한다. 레오나르도가 4년을 그렸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는 걸작. 배경의 효과적 적용, 좌우의 다른 눈높이-오른쪽이 왼쪽보다 높다.
→시선이동,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간적인 눈높이의 이동으로 살아 있는 듯한 독특한 분위기를 고조 시킨다. 눈 가장자리와 입 가장자리의 독특한 스푸마토기법을 사용.
부드러운 인상, 원경은 푸른 분위기로 깊이를 표현하는 과학적 연구에 의한 표현
→신 중심에서 과학을 발견한 인간 중심으로 옮겨 옴.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2.10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