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관 가족복지실천의 정체성과 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Ⅱ.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실천의 이해
1.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실천의 필요성과 역할
2.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에 대한 이해
3. 가족복지의 사업과 실천의 기본 원리
1) 가족을 위한 가정기반의 지원
2) 가족중심의 철학
3) 가정방문 서비스의 중요성
4) 위기개입과 가족사회사업의 중요성
5) 가정교육의 중요성과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
6) 생태체계적, 성인지적 관점의 중요성
7) 한국 가족문화 이해의 중요성
8) 비저소득층 가족을 위한 가족복지사업의 중요성
4. 가족복지실천의 방법들

Ⅲ. 가족복지 실천가의 전문성
1. 가치관
2. 지식
3. 역할과 기술

Ⅳ. 가족복지 실천과정과 기술
1. 초기과정의 기술
1) 사전 전화 상담
2) 인테이크 면접
3) 관계형성
2. 사정과정의 기술
1) 사정의 대상
2) 사정의 방법
3) 사정의 도구
3. 개입과정의 실천기술
1) 환경적 개입
2) 가족 내부의 변화를 위한 개입

본문내용

한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술과 가족 내부의 가족성원들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변화시키는 가족치료 기술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1) 환경적 개입
클라이언트의 환경적 문제에 초점을 두는 급진개별사회사업에서는 클라이언트 문제의 원인을 권력의 부족, 부적절한 이데올로기의 구속, 이익집단들 간의 갈등,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성취하기 위한 힘의 부족, 사회적 낙인화의 영향, 사회경제적 구조의 제한 등에서 찾고자 한다 .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로는 착취당한 사람의 힘을 증진시킴, 이데올로기적 제한의 축소, 지배이익집단의 착취 축소, 클라이언트의 변화와 통제 능력의 향상, 사회적 낙인에의 저항, 사회구조의 변혁을 통한 물질적 자원을 제공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들로는 사회교육, 적극적 자원의 활용,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공감의 획득, 비판적 자각과 임파워먼트, 옹호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Fook의 주장은 가족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가족들을 대상으로 재교육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사회교육의 실시, 적극적인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한부모가족, 이혼가족, 재혼가족 등의 다양한 가족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지와 공감의 획득, 무기력감에 빠진 가족에게 올바른 정체감을 심어주는 작업을 통해 임파워 시키고, 불합리한 사회구조나 제약을 개혁하거나 극복하기위하여 옹호의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김혜란은 가족에 대한 환경적 개입으로 가족옹호를 강조하고 있다
가족옹호는 공공 또는 민간기관들이 가족을 위한 기존 서비스 혹은 서비스 전달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혹은 변화된 형태의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으로 특정한 가족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정당한 권리를 요구함으로써 지역사회조직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방법이다.
2) 가족 내부의 변화를 위한 개입
가족 내 가족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법들은 특히 가족치료에서 발달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법들은 매우 많은 문헌들에서 잘 설명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가족사회복지사들이 개입단계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들의 종류를 소개하고 관련 문헌을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김혜란은 주요 가족치료접근들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가족세대간 혹은 가족 내부를 변화시키기 위한 개입기술과 기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였다 : 탈삼각화, 가족조각, 가족그림, 경계만들기, 균형깨트리기, 역설적 지시, 순환적 질문, 재구성, 긍정적 의미부여, 문제의 외현화, 기적질문과 예외질문하기, 가족중재, 역할연습.
엄예선 (1994b)은 한국 가족을 위한 바람직한 상담의 방향을 ① 제시된 문제의 해결, ② 가족의 문제해결능력의 증진, ③ 가족 내에서 주요 집행체계 (흔히 부부체계)의 강화. ④ 개인 가족원들의 자아분화성취와 잠재능력의 개발, ⑤ 기능적인 가치체계의 개발 등으로 지적하면서 가족상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50여개의 노하우와 기술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5-6회기까지의 가족상담 개입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진전이 없는 경우에 점검해 보아야할 영역들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천(2000). “한국가족복지정책의 재조명: 문제점과 개혁방안의 모색”.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호.
김성천안현미 (2003). “참여정부 가족정책의 기본 구성요소의 분석과 발전방안의 모색”. 한국가족복지학. 제 12호. pp. 35-62.
김영화 외 (2002).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양서원.
김유숙 (1998). 가족치료. 학지사.
김혜란,홍선미공계순 (2001). 사회복지실천 기술론. 나남.
김희수 김은영 (2003). “사회복지관에서의 통합적인 가족서비스에 대한 연구”. 태화사회복지관 자료집.
남기철(2004). “가족개념과 가족복지서비스에 대한 세대간의 인식 차이”.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사회복지관백서 (2004).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엄예선a (2004). 한국 가족치료 개발론. 홍익재.
엄예선b (2004). "가족치료의 초기과정을 이끄는 방법“.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23호. pp. 261-285.
허남순, 노혜련(역)(2004). 해결을 위한 면접 (DeJong, P. & Berg, I. K. (1998). Interviewing for solutions). 시그마프레스.
최경석 외 (2003). 한국 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野山タ也 (1992). 이종복 외 역(2001). 가족복지. 나눔의 집.
CollinsJordonColeman(1999), 이대사회복지연구회 역(2001). 가족복지실천론. 나눔의집.
Dominelli, L. (2002). Anti-Oppressive Socoial Work Theory and Practice. PALGRAVE MACMILLAN. New York.
Fook, J. (1993). Radical Casework, Allen & Win Pty Ltd. Australia.
Fraser, Pecora & Haapala (1991). Families in crisis. New York. Aldine de Gruyter.
Kadushin, A. (1970). Welfare Services, Macmillan. N.Y.
Hartman & Laird. (1983). Family-centered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Free.
Hollingworth, P. J. (1974). The Family in Australia, Macmillan. N.Y.
Michael, R. & Andrews, J. (2001). The Road Not Taken. Sheridan Books. An Arbor
Thompson. Neil (2001). Anti-Discriminatory Practice. British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PALGRAVE. New York.
Zimmerman, S.L. (1995). Understanding Family Policy. Sage Publications. Inc.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2.1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