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Ⅱ. 조합원 지위의 취득
Ⅲ. 조합지위의 상실
Ⅳ. 조합원의 권리․의무(지위 취득의 효과)
Ⅱ. 조합원 지위의 취득
Ⅲ. 조합지위의 상실
Ⅳ. 조합원의 권리․의무(지위 취득의 효과)
본문내용
의 이용권(제22조)은 인정되나, 조합 탈퇴시 조합재산 분할청구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2. 조합원의 의무
1) 조합비 납부의무(22조단서)
조합비는 어느 조합원이라고 면제될 수 없는 조합원의 기본적 의무로서 반드시 납부하여야 한다. 노동조합은 조합원이 규약으로 정한 금액을 납입하지 아니한 때에는 규약으로 그 조합원의 권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조합비 미납을 이유로 조합원 권리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조합규약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 법상 조합비 상한에 대한 제한은 없다.
2) 조합통제에 복종할 의무
노동조합의 조합원은 조합의 통제에 복종할 의무를 부담한다. 그 이유는 통제에 복종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단결된 힘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3) 기타
조합원은 규약준수의무, 조합활동에 참가할 의무 등이 있다.
2. 조합원의 의무
1) 조합비 납부의무(22조단서)
조합비는 어느 조합원이라고 면제될 수 없는 조합원의 기본적 의무로서 반드시 납부하여야 한다. 노동조합은 조합원이 규약으로 정한 금액을 납입하지 아니한 때에는 규약으로 그 조합원의 권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조합비 미납을 이유로 조합원 권리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조합규약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 법상 조합비 상한에 대한 제한은 없다.
2) 조합통제에 복종할 의무
노동조합의 조합원은 조합의 통제에 복종할 의무를 부담한다. 그 이유는 통제에 복종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단결된 힘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3) 기타
조합원은 규약준수의무, 조합활동에 참가할 의무 등이 있다.
추천자료
시험 답안용 태아의 법적지위
[인문과학] 식물인간의 도덕적 지위
사회복지사의 법적 지위와 권한에 대한 고찰
민법연습 선의취득
[지방자치법] 지방의회 의원의 지위
[민법총칙] 민법 제762조와 관련하여 태아는 언제 권리능력을 취득하는지 판례의 태도를 소개...
[사복법제]사회복지사의법적지위와권한요약(레포트)
[소비자][소비자문제][소비자 의무][소비자 권리][소비자문제 전자상거래]소비자의 개념, 소...
사회 복지의 주체와 객체에 대한 권리 구분
[납세자][납세자 연구][납세자 부담][납세자 의식구조][납세자 권리헌장][납세자 소송제도][...
[양도소득세][소득세][증여세][취득세][등록세][특별부가세][담배소비세][양도][소득][증여][...
국제연합아동권리협약(유엔아동권리협약, UN아동권리협약) 특징, 국제연합아동권리협약(유엔...
노동자권리(근로자권리)의 정치성, 법률, 노동자권리(근로자권리)의 운동, 권리장전, 노동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