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시대에 따른 환경 질서
2. 여러 가지 환경 문제
3. 지구 온난화
Ⅱ 본론
1. 지구 온난화의 환경적 의미
2. 지구온난화에 의한 영향
1) 농업에 대한 영향
2) 육상생태계에 대한 영향
3) 에너지, 산업, 인간에 대한 영향
4) 기상변화
5) 빙하와 빙모의 융해와 해수면 높이
3. 지구온난화의 대책
1) 지구 온난화 물질 배출에 대한 통계체제(monitoring) 확립
2) 에너지의 절약 및 효율개선을 위한 정책 마련
3)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산림관리
4) 지구 온난화와 관련한 대체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이용에 관한 연구개발의 확대
5) 이산화탄소와 기후변화협약과 관련한 전문인력확보
4. 주요국가의 기후변화 대응대책
1) 프랑스
2) 영 국
3) 미 국
4) 덴마크
5) 일본
6) 호주
7) 캐나다
8) EU
9) 멕시코
Ⅲ. 결론
1. 시대에 따른 환경 질서
2. 여러 가지 환경 문제
3. 지구 온난화
Ⅱ 본론
1. 지구 온난화의 환경적 의미
2. 지구온난화에 의한 영향
1) 농업에 대한 영향
2) 육상생태계에 대한 영향
3) 에너지, 산업, 인간에 대한 영향
4) 기상변화
5) 빙하와 빙모의 융해와 해수면 높이
3. 지구온난화의 대책
1) 지구 온난화 물질 배출에 대한 통계체제(monitoring) 확립
2) 에너지의 절약 및 효율개선을 위한 정책 마련
3)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산림관리
4) 지구 온난화와 관련한 대체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이용에 관한 연구개발의 확대
5) 이산화탄소와 기후변화협약과 관련한 전문인력확보
4. 주요국가의 기후변화 대응대책
1) 프랑스
2) 영 국
3) 미 국
4) 덴마크
5) 일본
6) 호주
7) 캐나다
8) EU
9) 멕시코
Ⅲ. 결론
본문내용
가랑비에 옷 졌듯이 서서히 우리의 목을 죄여 오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지구 온난화라는 개념의 문제이다. 지금 당장은 느끼지 못하지만 이 상태 그대로 간다면 우리의 지구촌의 멸망을 예시하는 문제이다. 그래서 사태를 심각성을 깨닫고 전 세계적인 관심 하에 선진국들이 여러 대책을 강구하고 선진국들의 협의 하에 여러 조약과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기후변화 협약이 그 중의 하나이며, 이에 따라 교토의정서가 발효 되었으며, 그 내용은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자는 것이고, 이 중에 탄소 배출권이라는 개념을 만들었고, 그 규제를 강화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CO2를 돈으로 사고파는 그런 웃지 못 할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 가장 타격을 입은 나라들은 선진국이 아닌 개발 도상국과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를 갖고 있는 나라들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맨손으로 일궈낸 철강기업 포스코의 신화의 뿌리를 흔들리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맨손의 정신이 포스코에게 해결책을 제시했다. 그것은 바로 탄소 배출권과 의무적으로 CO2를 줄이는 시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CO2의 발생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황폐한 사막지역에 대규모 조림지를 만드는 정책을 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기를 바로 기회로 삼는 방법의 포스코의 예가 바로 우리가 나아갈 점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는 여러 문제점 중에 사막화 또한 간과 할 수 없다. 그래서 사막화도 막으면서 CO2를 줄인다면,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 그리고 이미지도 상승하면서, 사막화가 진행되는 나라와의 유대감도 긴밀해 지며 대내외적으로 광고효과와 더불어 의무적으로 CO2를 줄여야 하는 시점에서 자연적으로 배출하는 만큼 줄여 줄 수 있는 일석 삼조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미 선진국은 생태적인 노력과 기술로써 많은 양의 CO2를 줄일 수 있으며, 정책 또한 뒷받침 되고 있다. 포스코의 예뿐만 아니라 여러 연구기관과 단체들이 먼저 주도적으로 지구 온난화라는 문제에 대해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60년대까지만 해도 산림이 황폐화 된 나라였다. 그러나 지금은 어디를 가도 숲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바로 우리의 산림 복구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미 산림 복구기술은 최고의 선진국임을 여러 나라에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전파하기 위해 이미 여러 나라와 협정이 체결되어 있으며,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 주변의 나라와의 기술이전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우리 학교 내 사막화방지연구소에서는 그 연구를 활발히 하여 몽고, 중국, 북한에 건조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막에서 잘 자라는 나무를 제공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나 연구, 그리고 정책들은 시민의 도움 없이는 이뤄내기가 힘들다.
그러면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시민들의 의식을 바꿔야 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의 실정은 에너지의 97%이상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석유수입이 세계6위, LNG수입이 세계2위에 이른다. 그런데도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 에너지소비증가율이 OECD국가중 가장 빠르고, CO2 배출량은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많다. 후진적인 에너지 구조로 인해 한국은 온실가스규제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가장 크게 받게 될 국가 중 하나이다. 이러한 현실을 깨닫고 의식을 스스로 고쳐 나아가야 하는 것이며, 관심과 적극적인 행동을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분야에서 국민들이 적극동참하고 의식을 전환한 나라는 독일이다. 이 독일은 정책을 바꾸고 행동하기 전에 먼저 국민의 의식을 개혁함과 동시에 의욕적인 기후보호정책과 에너지 전환, 그리고 발 빠른 행동으로 이 분야에서 최고의 선진국으로 거듭났다. 독일의 선례들이 실제 일어나고 있는 급격한 변화는 우리가 어떠한 길로 나아가야 하는지 또한 얼마나 시급히 변화를 서둘러야 하는지 잘 알려주고 있다. 독일 뿐 아니라 여러 선진국들의 정책의 변화는 눈앞의 필요성이 아니라 내일의 시장가치를 선점하려는 정치적 선택의 결과이다. 환경문제는 시작과 끝이 모두 인간에게 귀착된다.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마인드를 가지고 기후 변화협약이 이미 미래시장을 둘러싼 경제전쟁으로 치닫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는 당장의 눈앞만을 보지 말고 더 멀리 내다보아야 할 것이며 지구 온난화라는 전 세계적이며, 인류를 파멸로 몰고 갈 문제점에 대해 우리는 에너지 과소비형의 의식부터 바뀌어야 하고, 너부터가 아닌 나부터 라는 의식을 갖고 좀더 적극적인 참여의식과 행동을 가지고 임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의식과 더불어 국가, 정부, 기업, 연구기관, 시민의 연계가 필요한 시기이다.
참고문헌
강인식 ; 지구온난화와 동반된 한반도 기온변화의 시나리오 연구
김준순 ;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내 임업의 대응방안
윤의영 ; 지구온난화에 대한 지방정부의 대응
이경학 ; 국내외 산림부분에서의 탄소배출권
임성진 ; 지구온난화방지를 위한 독일의 에너지 정책
장원철, 이두형, 이태진 ;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한 국내외 동향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
조용성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대한 시민 및 전문가 인식 분석
참고 사이트
http://aped.snu.ac.kr/cyberedu/cyberedu2/kor/kor19-01.html
(서울대학교 BK21 교과과목 자료실)
http://co2.kemco.or.kr/index.asp
(에너지 관리 공단 기후 대책실)
http://www.keei.re.kr/web_keei/d_dataroom.nsf
(지구 온난화 관련 공개 자료실)
http://w3.kunsan.ac.kr/~haedong/hot_earth/hot_earth.htm
(지구 온난화 관련 공개 자료실)
http://www.me.go.kr/kor/index.jsp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posco.co.kr/homepage/docs/kr/sustain/environ/s91d1000010c.html
(포스코 촙페이지)
http://unfccc.int/essential_background/items/2877.php
(기후변화협약 공식홈페이지)
그러면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시민들의 의식을 바꿔야 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의 실정은 에너지의 97%이상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석유수입이 세계6위, LNG수입이 세계2위에 이른다. 그런데도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 에너지소비증가율이 OECD국가중 가장 빠르고, CO2 배출량은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많다. 후진적인 에너지 구조로 인해 한국은 온실가스규제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가장 크게 받게 될 국가 중 하나이다. 이러한 현실을 깨닫고 의식을 스스로 고쳐 나아가야 하는 것이며, 관심과 적극적인 행동을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분야에서 국민들이 적극동참하고 의식을 전환한 나라는 독일이다. 이 독일은 정책을 바꾸고 행동하기 전에 먼저 국민의 의식을 개혁함과 동시에 의욕적인 기후보호정책과 에너지 전환, 그리고 발 빠른 행동으로 이 분야에서 최고의 선진국으로 거듭났다. 독일의 선례들이 실제 일어나고 있는 급격한 변화는 우리가 어떠한 길로 나아가야 하는지 또한 얼마나 시급히 변화를 서둘러야 하는지 잘 알려주고 있다. 독일 뿐 아니라 여러 선진국들의 정책의 변화는 눈앞의 필요성이 아니라 내일의 시장가치를 선점하려는 정치적 선택의 결과이다. 환경문제는 시작과 끝이 모두 인간에게 귀착된다.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마인드를 가지고 기후 변화협약이 이미 미래시장을 둘러싼 경제전쟁으로 치닫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는 당장의 눈앞만을 보지 말고 더 멀리 내다보아야 할 것이며 지구 온난화라는 전 세계적이며, 인류를 파멸로 몰고 갈 문제점에 대해 우리는 에너지 과소비형의 의식부터 바뀌어야 하고, 너부터가 아닌 나부터 라는 의식을 갖고 좀더 적극적인 참여의식과 행동을 가지고 임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의식과 더불어 국가, 정부, 기업, 연구기관, 시민의 연계가 필요한 시기이다.
참고문헌
강인식 ; 지구온난화와 동반된 한반도 기온변화의 시나리오 연구
김준순 ;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내 임업의 대응방안
윤의영 ; 지구온난화에 대한 지방정부의 대응
이경학 ; 국내외 산림부분에서의 탄소배출권
임성진 ; 지구온난화방지를 위한 독일의 에너지 정책
장원철, 이두형, 이태진 ;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한 국내외 동향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
조용성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대한 시민 및 전문가 인식 분석
참고 사이트
http://aped.snu.ac.kr/cyberedu/cyberedu2/kor/kor19-01.html
(서울대학교 BK21 교과과목 자료실)
http://co2.kemco.or.kr/index.asp
(에너지 관리 공단 기후 대책실)
http://www.keei.re.kr/web_keei/d_dataroom.nsf
(지구 온난화 관련 공개 자료실)
http://w3.kunsan.ac.kr/~haedong/hot_earth/hot_earth.htm
(지구 온난화 관련 공개 자료실)
http://www.me.go.kr/kor/index.jsp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posco.co.kr/homepage/docs/kr/sustain/environ/s91d1000010c.html
(포스코 촙페이지)
http://unfccc.int/essential_background/items/2877.php
(기후변화협약 공식홈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