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학기술혁명 그 자체
2. 과학기술혁명과 자본주의적 생산
3. 과학기술혁명과 공해・환경문제
2. 과학기술혁명과 자본주의적 생산
3. 과학기술혁명과 공해・환경문제
본문내용
속 개발되고 발전함에 따라서, 머지 않은 장래에 고용 혹은 취업감소가 전망되는 상황.
4) 또한 과학기술혁명의 발전이 아직 제3차 산업에서의 고용의 절대적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고용의 내용에서는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파트타임노동파견노동의 확대와 그에 따른 고용불안정의 증대가 그것이다.
파견노동의 경우, 우리 나라에서는 광범하게 행해지고 있으면서도 아직 그 규모가 파악되고 있지 않지만, 일본의 경우 ME화의 진전으로 특히 정보처리업(소프트웨어 산업) 부문에서 그것이 활발해서 1/3 - 1/4 정도가 파견의 형태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이미 1980년대 초에 정보처리산업 부문의 파견노동자의 수는 15만 7천명에 이르렀던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徐明珠, p. 197).
3. 과학기술혁명과 공해환경문제
1) ‘IC 산업 = Clean 산업’이라는 이미지.
2) 조셉 라도 박사의 반도체 산업은 Clean하지 않다고 하는 논문(Technical Review, MIT, 1984년 56월호)
씰리콘 벨리로 유명한 싼타클라라 계곡에 있는 캘리포니아주 노동국의 조사(1980)에 기초하여, 반도체 산업에서는 노동자 100인당 재해발생률이 일반 제조업에서의 0.4인보다 3배도 더 높은 1.3인 이라는 비상히 높은 율을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
대량의 유독금속, 유독화학약품, 유독가스(비소 등)를 사용하는 반도체 산업에서 노동자들은 종래에 인식되고 있던 것보다 훨씬 중대한 건강과 안전성의 문제를 안고 있음을 명백히 하였다.
나아가, 반도체 산업은 砒素와 같은 고도로 유독한 가연성 물질을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지역주민의 안전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고, 有機溶劑 有機洗淨劑의 유출에 의한 공장 주변의 지하수의 오염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
*** 1980년의 IBM 반도체 공장의 유기용제 유출사고,
1982년의 Fairchild Camera and Instrument사 반도체 공장의 유독화학물(TCA) 배출에 의한 음용지하수 오염 사건 등.
1982년의 미야자키 오키 IC공장 화재 사건. 등등.
“사회의 물질적 생산력은 그 발전의 어떤 단계에서 그것들이 그때까지 그 내부에서 운동해 온 기존의 생산관계와 혹은, 그것의 법적 표현에 불과하지만, 소유관계와 모순하게 된다.”
“부르조아 사회의 태내에서 발전하고 있는 생산력은 동시에 이 적대의 해결을 위한 물질적 조건도 창출한다.”
4) 또한 과학기술혁명의 발전이 아직 제3차 산업에서의 고용의 절대적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고용의 내용에서는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파트타임노동파견노동의 확대와 그에 따른 고용불안정의 증대가 그것이다.
파견노동의 경우, 우리 나라에서는 광범하게 행해지고 있으면서도 아직 그 규모가 파악되고 있지 않지만, 일본의 경우 ME화의 진전으로 특히 정보처리업(소프트웨어 산업) 부문에서 그것이 활발해서 1/3 - 1/4 정도가 파견의 형태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이미 1980년대 초에 정보처리산업 부문의 파견노동자의 수는 15만 7천명에 이르렀던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徐明珠, p. 197).
3. 과학기술혁명과 공해환경문제
1) ‘IC 산업 = Clean 산업’이라는 이미지.
2) 조셉 라도 박사의 반도체 산업은 Clean하지 않다고 하는 논문(Technical Review, MIT, 1984년 56월호)
씰리콘 벨리로 유명한 싼타클라라 계곡에 있는 캘리포니아주 노동국의 조사(1980)에 기초하여, 반도체 산업에서는 노동자 100인당 재해발생률이 일반 제조업에서의 0.4인보다 3배도 더 높은 1.3인 이라는 비상히 높은 율을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
대량의 유독금속, 유독화학약품, 유독가스(비소 등)를 사용하는 반도체 산업에서 노동자들은 종래에 인식되고 있던 것보다 훨씬 중대한 건강과 안전성의 문제를 안고 있음을 명백히 하였다.
나아가, 반도체 산업은 砒素와 같은 고도로 유독한 가연성 물질을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지역주민의 안전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고, 有機溶劑 有機洗淨劑의 유출에 의한 공장 주변의 지하수의 오염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
*** 1980년의 IBM 반도체 공장의 유기용제 유출사고,
1982년의 Fairchild Camera and Instrument사 반도체 공장의 유독화학물(TCA) 배출에 의한 음용지하수 오염 사건 등.
1982년의 미야자키 오키 IC공장 화재 사건. 등등.
“사회의 물질적 생산력은 그 발전의 어떤 단계에서 그것들이 그때까지 그 내부에서 운동해 온 기존의 생산관계와 혹은, 그것의 법적 표현에 불과하지만, 소유관계와 모순하게 된다.”
“부르조아 사회의 태내에서 발전하고 있는 생산력은 동시에 이 적대의 해결을 위한 물질적 조건도 창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