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결언
Ⅱ. 규장각의 설치
Ⅲ. 규장각 조직에 관한 旣存論
Ⅳ. 규장각지에 나타난 조직과 직제
Ⅴ. 조직의 개념에 따른 규장각의 조직
Ⅱ. 규장각의 설치
Ⅲ. 규장각 조직에 관한 旣存論
Ⅳ. 규장각지에 나타난 조직과 직제
Ⅴ. 조직의 개념에 따른 규장각의 조직
본문내용
의 개념에 따른 규장각의 조직
1. 조직의 개념 : 조직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의 일부분으로서 인간 상호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처리하는 사회적 구조.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관원이 임명되지 않은 서고를 조직이라고 봄. 그러나 관원이 임명되지 않으면 조직이라고 할 수 없음
2. 규장각의 조직
1) 내각의 하부조직은 없고 집무청사와 관장하는 서고가 있었음
2) 외각인 교서관에도 하부의 속사나 건물이 있었음
-향사, 인상 외에 반각, 활자의 주조, 서적의 인출, 배포, 수장에 관한 업무 관장
-정조 때 교서관을 규장각에 합속시켜 기능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
-교서관을 외각으로 하고 궁궐 밖으로 이전
3) 규장각의 조직은 관원이 임명된 내각과 외각으로 구성, 그 하부의 기관이나 서고에는 별도로 관원이 배치되지 않음. 내각에 소속된 직원은 이문원으로 내각 관원의 집무청사이며 거기에는 제실과 서고가 부속되어 있음. 궁내에는 주합루를 비롯한 6 서고가 있었고 강화도에 외서고가 있었는데, 이들 서고에도 관원이 따로 배치되지 않았다. 외각인 교서관에는 관원이 배치되었으나 하부의 향실, 주자소와 외교서관에는 다시 배치되지 않았다.
1. 조직의 개념 : 조직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의 일부분으로서 인간 상호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처리하는 사회적 구조.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관원이 임명되지 않은 서고를 조직이라고 봄. 그러나 관원이 임명되지 않으면 조직이라고 할 수 없음
2. 규장각의 조직
1) 내각의 하부조직은 없고 집무청사와 관장하는 서고가 있었음
2) 외각인 교서관에도 하부의 속사나 건물이 있었음
-향사, 인상 외에 반각, 활자의 주조, 서적의 인출, 배포, 수장에 관한 업무 관장
-정조 때 교서관을 규장각에 합속시켜 기능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
-교서관을 외각으로 하고 궁궐 밖으로 이전
3) 규장각의 조직은 관원이 임명된 내각과 외각으로 구성, 그 하부의 기관이나 서고에는 별도로 관원이 배치되지 않음. 내각에 소속된 직원은 이문원으로 내각 관원의 집무청사이며 거기에는 제실과 서고가 부속되어 있음. 궁내에는 주합루를 비롯한 6 서고가 있었고 강화도에 외서고가 있었는데, 이들 서고에도 관원이 따로 배치되지 않았다. 외각인 교서관에는 관원이 배치되었으나 하부의 향실, 주자소와 외교서관에는 다시 배치되지 않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