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선정 동기
-각 국의 이동 통신 시장 환경 분석
-서비스 진출국 캐나다로 선정
-STP수립
-4P전략
-캐나다 진출 SWOT 분석
-각 국의 이동 통신 시장 환경 분석
-서비스 진출국 캐나다로 선정
-STP수립
-4P전략
-캐나다 진출 SWOT 분석
본문내용
보고서), 대만 IT 중소기업지원 정책 분석 2005.12
*UAE-두바이
UAE는 전체 국민의 70%가 외국인이고 이들 외국인의 대부분은 어떤 형태로든 경제활동에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가정에는 전화가 없더라도 대부분 대외 활동을 위해 연락처가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UAE에서 사용하는 GSM 방식의 핸드폰이 있는데 CIM카드라고 불리는 전화번호가 지정된 칩을 사기만 하면 1년간 번호가 유효하고 요금은 각종 소매점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선지불(Pre-paid) 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매우 편리하다. 두바이에 장기 출장 오는 무역상들의 경우엔 아예 UAE CIM카드를 구입,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칩만 바꾸면 호환이 되는 GSM폰의 특성과 중동,아프리카, 유럽지역은 모두 GSM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1.두바이의 이동통신 현황
이동전화 보급률에서도 아랍지역 최대를 자랑하고 있는데 현재 휴대폰 보급률이 90%에 달하고 있어 국민 404만중 360만 이상이 핸드폰을 보유하고 있다. 핸드폰을 사용할 수 있는 연령대의 모든 국민은 최소한 1대 이상의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UAE의 일반전화 보급률은 40%로 이동통신에 비해 훨씬 적은 편이다. 반면 UAE의 수도이자 최대인구를 가지고 있는 아부다비는 62.5%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사업자 현황
ETISALAT(에미리트통신회사)에서 독점공급하고 있다. UAE 정부에서도 매년 ETISALAT에 지급하고 있는 로열티의 액수가 7억달러 상당으로 오랜기간 통신시장을 개방하지 않고 독점하고 있다.(2004기준) ETISALAT 운영현황을 보면 총 직원 1만500명에 연간 25억달러 가량의 매출을 올리고 있고 영업이익은 7억8000만달러에 달하며 이중 7억달러 정도를 매년 대주주인 정부에 로열티로 지불하고 있다. ETISALAT 총 매출의 52.8%는 휴대폰 사업부문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30.1%는 고정회선에서 인터넷과 데이터 서비스는 아직 미미한 수준인 5.3%, 7.3%를 각각 차지했다.
2. 고객행동분석
1)국가(도시)특성
a.Dubai는 아라비아 만의 가장 큰 상업 도시임
요즈음은 상업 도시로써 뿐 아니라 쇼핑과 날씨가 좋은 11월부터 2월쯤을 이용해 관광 도시로 변하고 있다
b. 인구는 1999년 현재 700,000명 정도 이중 대부분이 인도, 파키스탄, 이란, 필리핀 사람 이고 50,000면 정도의 영국인이 있으며 한국 사람들은 교민과 상사를 포함하여 U.A.E 전체에 100여 가족이 살고 있다.
c.아랍에미리트는 남한 단독수교국이다.
한국과 1980년 6월 정식 수교한 이래 경제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한국의 제2위 원유 수입국이자 한국의 중동지역 최대 수출시장이며, 아랍 에미리트의 대한국 총수출에서 원유는 약 80%를 차지한다.
d.두바이는 개인과 기업에 대한 소득세가 없는 세금천국
2) 내국민 성향 & 소비자 특성
a.아랍에미리트의 총인구 중 외국인이 약 75%
이는 노동력 부족으로 취업인구의 90% 정도를 인도, 파키스탄, 이집트, 오만, 이란 등
외국인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b.금요일이 휴일이며 따라서 목요일이 서울의 토요일과 같다. 은행과 정부 기관은 대부분 8 시부터 오후 1시까지만 일을 하며, 개인 회사인 경우 서울과 같이 8시부터 5시까지 근무 하는 곳과 8시부터 13시까지 일하고 쉬었다가 16시부터 20시까지 근무하는 회사도 있다. 정해진 공휴일은 12월 2,3일과 1월 1일, 8월 6일이며 다른 공휴일은 이슬람력 (달의 모 양에 따라 결정) 에 의한다.
c. 2003년 기준 UAE 전체의 경제활동 인구는 총 245만만명으로 인구대비 경제활동 인구 비율이 61.25%에 달했으며 전체 경제활동 인구중 3.67%인 9만명이 IT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서비스 진출국 캐나다로 선정
1. 캐나다 선정이유
캐나다는 현재 IT시장 중 6위이며 국가 총 생산 또한 7위이다. 하지만 캐나다의 IT산업 제조율은 단지 18%만 하고 있으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에 잠재적인 시장의 성장성이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캐나다에는 많은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벤쿠버 토론토 캘거리등 대도시에는 상당수들의 한인들이 핸드폰 업계에 종사하고 있으며 현재 KOTRA 등 한국무역 협회 등이 각 큰 도시마다 있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시장 진출 시 한인들의 도움을 받을수 있다는 것이 이점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국제 정세적 으로는 현재 캐나다와 한국이 FTA협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계약완료시 약 3~6%의 가격경쟁력을 가지게 됨으로 수출을 유리하게 가져 갈수 있다고 판단된다. 전통적으로 캐나다는 선진국이면서 첨단기술 생산에는 상당히 소극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번 해 3월 인터넷 전화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첨단서비스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또 하나의 큰 통신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캐나다는 IT업종에 하드웨어적 (기계 등)측면에는 발전되어 있으나 소프트웨어 측면 (모바일 컨탠츠 등)에는 아직 미비한 단계이다. 즉 환경은 조성되어 있으나 그에 반한 중요한 시스템이 결여된 상태이기에 노른자 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캐나다를 진출국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2.캐나다 시장 분석
캐나다의 인구
-캐나다 총인구: 32,270,000명 (3천2백만 정도)
- 주요도시별 인구현황
토론토- 5,300,000명
벤쿠버- 2,200,000명
캘거리- 1,060,000명
에드몬튼-1,100,000명
사스카츄원235,000명
레이지나199,000명
오타와1,140,000명
쾌백 717,000명
몬트리올3,630,000명
- 주별인구현황 (10개의 주와 3개의 테러토리로 구성되어 있음)
뉴퍼트랜드 516,000명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138,000명
노바스코샤 937,000명
뉴브런즈윅 752,000명
퀘 백 7,500,000명
온타리오 12,540,000명
매니토바 1,117,000명
사스카츄원 994,000명
알버타 3,2500,000명
브리티쉬콜롬비아 4,250,000명
유콘 31,000명
노스웨스트 43,000명
뉴바
*UAE-두바이
UAE는 전체 국민의 70%가 외국인이고 이들 외국인의 대부분은 어떤 형태로든 경제활동에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가정에는 전화가 없더라도 대부분 대외 활동을 위해 연락처가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UAE에서 사용하는 GSM 방식의 핸드폰이 있는데 CIM카드라고 불리는 전화번호가 지정된 칩을 사기만 하면 1년간 번호가 유효하고 요금은 각종 소매점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선지불(Pre-paid) 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매우 편리하다. 두바이에 장기 출장 오는 무역상들의 경우엔 아예 UAE CIM카드를 구입,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칩만 바꾸면 호환이 되는 GSM폰의 특성과 중동,아프리카, 유럽지역은 모두 GSM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1.두바이의 이동통신 현황
이동전화 보급률에서도 아랍지역 최대를 자랑하고 있는데 현재 휴대폰 보급률이 90%에 달하고 있어 국민 404만중 360만 이상이 핸드폰을 보유하고 있다. 핸드폰을 사용할 수 있는 연령대의 모든 국민은 최소한 1대 이상의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UAE의 일반전화 보급률은 40%로 이동통신에 비해 훨씬 적은 편이다. 반면 UAE의 수도이자 최대인구를 가지고 있는 아부다비는 62.5%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사업자 현황
ETISALAT(에미리트통신회사)에서 독점공급하고 있다. UAE 정부에서도 매년 ETISALAT에 지급하고 있는 로열티의 액수가 7억달러 상당으로 오랜기간 통신시장을 개방하지 않고 독점하고 있다.(2004기준) ETISALAT 운영현황을 보면 총 직원 1만500명에 연간 25억달러 가량의 매출을 올리고 있고 영업이익은 7억8000만달러에 달하며 이중 7억달러 정도를 매년 대주주인 정부에 로열티로 지불하고 있다. ETISALAT 총 매출의 52.8%는 휴대폰 사업부문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30.1%는 고정회선에서 인터넷과 데이터 서비스는 아직 미미한 수준인 5.3%, 7.3%를 각각 차지했다.
2. 고객행동분석
1)국가(도시)특성
a.Dubai는 아라비아 만의 가장 큰 상업 도시임
요즈음은 상업 도시로써 뿐 아니라 쇼핑과 날씨가 좋은 11월부터 2월쯤을 이용해 관광 도시로 변하고 있다
b. 인구는 1999년 현재 700,000명 정도 이중 대부분이 인도, 파키스탄, 이란, 필리핀 사람 이고 50,000면 정도의 영국인이 있으며 한국 사람들은 교민과 상사를 포함하여 U.A.E 전체에 100여 가족이 살고 있다.
c.아랍에미리트는 남한 단독수교국이다.
한국과 1980년 6월 정식 수교한 이래 경제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한국의 제2위 원유 수입국이자 한국의 중동지역 최대 수출시장이며, 아랍 에미리트의 대한국 총수출에서 원유는 약 80%를 차지한다.
d.두바이는 개인과 기업에 대한 소득세가 없는 세금천국
2) 내국민 성향 & 소비자 특성
a.아랍에미리트의 총인구 중 외국인이 약 75%
이는 노동력 부족으로 취업인구의 90% 정도를 인도, 파키스탄, 이집트, 오만, 이란 등
외국인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b.금요일이 휴일이며 따라서 목요일이 서울의 토요일과 같다. 은행과 정부 기관은 대부분 8 시부터 오후 1시까지만 일을 하며, 개인 회사인 경우 서울과 같이 8시부터 5시까지 근무 하는 곳과 8시부터 13시까지 일하고 쉬었다가 16시부터 20시까지 근무하는 회사도 있다. 정해진 공휴일은 12월 2,3일과 1월 1일, 8월 6일이며 다른 공휴일은 이슬람력 (달의 모 양에 따라 결정) 에 의한다.
c. 2003년 기준 UAE 전체의 경제활동 인구는 총 245만만명으로 인구대비 경제활동 인구 비율이 61.25%에 달했으며 전체 경제활동 인구중 3.67%인 9만명이 IT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서비스 진출국 캐나다로 선정
1. 캐나다 선정이유
캐나다는 현재 IT시장 중 6위이며 국가 총 생산 또한 7위이다. 하지만 캐나다의 IT산업 제조율은 단지 18%만 하고 있으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에 잠재적인 시장의 성장성이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캐나다에는 많은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벤쿠버 토론토 캘거리등 대도시에는 상당수들의 한인들이 핸드폰 업계에 종사하고 있으며 현재 KOTRA 등 한국무역 협회 등이 각 큰 도시마다 있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시장 진출 시 한인들의 도움을 받을수 있다는 것이 이점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국제 정세적 으로는 현재 캐나다와 한국이 FTA협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계약완료시 약 3~6%의 가격경쟁력을 가지게 됨으로 수출을 유리하게 가져 갈수 있다고 판단된다. 전통적으로 캐나다는 선진국이면서 첨단기술 생산에는 상당히 소극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번 해 3월 인터넷 전화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첨단서비스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또 하나의 큰 통신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캐나다는 IT업종에 하드웨어적 (기계 등)측면에는 발전되어 있으나 소프트웨어 측면 (모바일 컨탠츠 등)에는 아직 미비한 단계이다. 즉 환경은 조성되어 있으나 그에 반한 중요한 시스템이 결여된 상태이기에 노른자 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캐나다를 진출국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2.캐나다 시장 분석
캐나다의 인구
-캐나다 총인구: 32,270,000명 (3천2백만 정도)
- 주요도시별 인구현황
토론토- 5,300,000명
벤쿠버- 2,200,000명
캘거리- 1,060,000명
에드몬튼-1,100,000명
사스카츄원235,000명
레이지나199,000명
오타와1,140,000명
쾌백 717,000명
몬트리올3,630,000명
- 주별인구현황 (10개의 주와 3개의 테러토리로 구성되어 있음)
뉴퍼트랜드 516,000명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138,000명
노바스코샤 937,000명
뉴브런즈윅 752,000명
퀘 백 7,500,000명
온타리오 12,540,000명
매니토바 1,117,000명
사스카츄원 994,000명
알버타 3,2500,000명
브리티쉬콜롬비아 4,250,000명
유콘 31,000명
노스웨스트 43,000명
뉴바
추천자료
SK이동업체의 이미지개선(마케팅 기업경영 마케팅전략 경영전략 이동통신 sk텔레콤
SK텔레콤 조직도와 기업문화 분석
sk텔레콤
[경영][경영이론][기업경영][경영전략][경영전략 사례]경영이론의 발전과정, 다양한 기업의 ...
SK텔레콤 마케팅사례
lg텔레콤,sk텔레콤,ktf 2005년,2006년,2007년 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기업분석
SK텔레콤의 고객만족경영 분석
SK텔레콤과 하나로 텔레콤 기업결합에 따른 혼합결합의 문제점
SK텔레콤(SKT) 기업 브랜드이미지개선위한 마케팅전략분석
이동통신서비스 산업의 서비스품질 (이동통신 산업의 정의, 발전과정, 결정 요인, SK텔레콤 ...
SK텔레콤의 인사제도,채용정보,복리후생,연봉자료 정리
빅데이터(big data) 개념분석과 빅데이터 기업활용사례(SK텔레콤)분석 및 빅데이터 향후전망...
빅 데이터의 정의,빅 데이터란, 빅 데이터의 특성,ZARA실시간 데이터 분석,SK텔레콤 스마트 ...
sk텔레콤 조직설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