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울증과 강박장애 : 초회량으로 1일 1회 50mg을 식사와 함께 경구투여함. 유지량은 1일 50~100mg이며 효과가 불충분할 경우에는 50mg 씩 증량함. 1일 최대 200mg까지 투여할 수 있음. 적절히 치료효과를 얻은 후에는 최소 유효량으로 조절하고 1일 150mg 이상을 투여할 경우에는 8주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 치료효과는 투여 후 7일 이내에 나 타나나 충분한 항우울작용을 위해서는 보통 2~4주가 요구되며 강박장애는 그 이상의 치 료기간이 요구됨
② 공황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1일 1회 25mg의 용량으로 시작하고, 1주일이 지 난후에 용량을 1일 1회 50mg으로 증가시켜야 함. 임상적으로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 1 일 50~200mg을 투여할 수 있음. 1일 1회 50mg 용량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 는 최고 1일 200mg까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 이 약은 복용시간에 관계없이 1일 1 회 복용해야함. 계속해서 유지요법을 행할 경우에는 환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준으로 용량을 조절함
(2) 소아
① 강박장애 : 6~12세의 환자는 1일 1회 25mg의 용량으로, 13~17세 환자는 1일 1회 50mg의 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함. 6~17세의 소아 강박장애 환자에 대해서 이 약이 효 과적임을 입증한 임상시험에서 25~200mg/D 범위의 용량이 투여됨. 1일 1회 25mg이 나 50mg 용량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소아 환자는 최고 1일 200mg까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 이 약의 배설 반감기가 24시간임을 고려했을 때, 용량조절은 최소 1주일의 간격을 두고 이루어져야 함. 이 약은 소아환자에 있어서도 복용시간에 관계없 이 1일 1회 복용함
(3) 고령자 : 특별한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음
4) 금기
① 이 약에 과민증 기왕력자
② 간기능부전환자 ( 이 약은 간에서 광범위하게 대사되고 중증의 간기능장애 환자에 대한 약물역학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투여하지 않음)
③ 신부전환자
④ MAO 억제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5) 부작용
① 구갈, 구역, 설사 또는 묽은 변, 사정지연, 진전, 발한증대, 소화불량, 어지러움, 불면, 졸음, 발진, 권태감
② 투여중지시 SIADH로 인한 저나트륨혈증
7. Paroxetine HCl (Seroxat)
* 기타 *
8. Mirtazapine (Remeron)
1) 적응증 : 우울증
2) 용법/ 용량
① 성인 : 15mg/D로 시작하며 유효량은 보통 15~45mg/D
② 노인 : 추천용량은 성인과 동일함
③ 소아 : 소아에 대한 이 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음
3) 금기 : 이 약에 대한 과민성의 기왕력 환자
4) 약물상호작용
① 이 약과 함계 복용시 진정작용 증가 : 중추신경저하약물, CYP 저해제, linezolid, MAO 저해제, selegiline, sibutramine
9. Mianserin (Bolvidone)
1) 작용기전
: TCA로 항무스카린 작용이나 심장에 대한 작용은 TCA 약물보다 드물고 약함
2) 적응증
: 내인성 우울증, 퇴행성 우울증, 반응성 우울증, 불안으로 인한 우울증
3) 용법/ 용량
① 초기 : 1일 30~40mg을 투여하며 증상에 따라 조절함
② 유지 : 1일 60mg을 수개월간 투여하며 1일량을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던가 취침전 전 량을 복용함
4) 금기
① MAO 억제재를 투여중인 환자
② 조증환자
③ 중추신경억제제 또는 알코올 급성중독 환자
④ 중증의 간질 환자
5) 부작용
①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② 기립성저혈압, 빈맥, 심계항진, 혈압강하
③ 졸음. 진전, 파킨슨증상, 어지러움, 비틀거림, 두통, 불면, 시야조절장애, 불안, 초조, 저 린감, 구음장애, 운동실조
④ 발진, 부종
⑤ 무과립세포증, 백혈구감소, 골수억제
⑥ 구갈, 변비, 구역, 구토, 식욕부진/항진, 설사, 복통, 미각이상
⑦ 간효소수치 상승
10. Maclobemide (Aurorix)
1) 작용기전
: 가역적인 MAO-A type 억제제로 NE, serotonin 대사를 감소시킴
2) 적응증 : 우울증상의 치료, 사회공포증
3) 용법/ 용량
① 초기 : 300mg/D 3회 분복함
② 개인별 치료반응에 따라 1일 150mg까지 감량투여할 수도 있으며, 필요할 경우 중증 우울증에는 1일 600mg까지 증량 투여할 수도 있음
③ 투약 첫째주 동안에는 생체내 이용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기간에는 용량을 증가시키 면 안됨. 이 약은 식사 종료시 투여해야 함
④ 고령환자나 신기능저하 환자의 경우 특별한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음
⑤ 간질환이나 간효소 활성 저해약물에 의해 간대사 기능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에는 1일 투여량을 ½~⅓로 감량함으로써 통상 혈중농도에 도달될 수 잇음
4) 금기
① 이 약에 과민증인 환자
② 급성 착란상태의 환자
5) 부작용
① 신경과민, 수면장애, 어지러움, 격앙, 불안, 흥분
② 구갈, 구역, 포만감, 가슴쓰림, 설사, 변비, 두통, 말초운동 및 지각신경병증
③ 시야몽롱, 착란
④ 간효소치의 상승, 간염
⑤ 아나필락시양 반응, 두드러기, 혈관부종, 천식, 고혈압
6) 약물상호작용
① 이 약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키는 약물 : cimetidine
11. Trazodone HCl (Trazodone)
12. Venlafaxine HCl (Effexor)
13. Dothiepin (Prthiden)
Ⅲ. 항불안제 (antianxiety drug, anxiolytics)
: 소정온제 (minor tranquilizer), 정온제 (tranquilizer)
* Benzodiazepine계 *
1. Diazepam (Valium)
1) 작용기전
: Benzodiazepines는 염소이온의 세포막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시에 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냄 - 대뇌변연계와 망상체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를 모든 수 준에서 억제시킴
2) 적응증
① 신경증에서의 불안긴장
② 정신신체장애 (소화기질환, 순환기질환, 자율신경실조증, 갱년기장애)에서의 불안,긴장, 우울
③ 마취전 투약
④ 알코올 금단증상
⑤ 골격근경련 또는 소발작 간질
② 공황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1일 1회 25mg의 용량으로 시작하고, 1주일이 지 난후에 용량을 1일 1회 50mg으로 증가시켜야 함. 임상적으로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 1 일 50~200mg을 투여할 수 있음. 1일 1회 50mg 용량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 는 최고 1일 200mg까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 이 약은 복용시간에 관계없이 1일 1 회 복용해야함. 계속해서 유지요법을 행할 경우에는 환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준으로 용량을 조절함
(2) 소아
① 강박장애 : 6~12세의 환자는 1일 1회 25mg의 용량으로, 13~17세 환자는 1일 1회 50mg의 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함. 6~17세의 소아 강박장애 환자에 대해서 이 약이 효 과적임을 입증한 임상시험에서 25~200mg/D 범위의 용량이 투여됨. 1일 1회 25mg이 나 50mg 용량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소아 환자는 최고 1일 200mg까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 이 약의 배설 반감기가 24시간임을 고려했을 때, 용량조절은 최소 1주일의 간격을 두고 이루어져야 함. 이 약은 소아환자에 있어서도 복용시간에 관계없 이 1일 1회 복용함
(3) 고령자 : 특별한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음
4) 금기
① 이 약에 과민증 기왕력자
② 간기능부전환자 ( 이 약은 간에서 광범위하게 대사되고 중증의 간기능장애 환자에 대한 약물역학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투여하지 않음)
③ 신부전환자
④ MAO 억제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5) 부작용
① 구갈, 구역, 설사 또는 묽은 변, 사정지연, 진전, 발한증대, 소화불량, 어지러움, 불면, 졸음, 발진, 권태감
② 투여중지시 SIADH로 인한 저나트륨혈증
7. Paroxetine HCl (Seroxat)
* 기타 *
8. Mirtazapine (Remeron)
1) 적응증 : 우울증
2) 용법/ 용량
① 성인 : 15mg/D로 시작하며 유효량은 보통 15~45mg/D
② 노인 : 추천용량은 성인과 동일함
③ 소아 : 소아에 대한 이 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음
3) 금기 : 이 약에 대한 과민성의 기왕력 환자
4) 약물상호작용
① 이 약과 함계 복용시 진정작용 증가 : 중추신경저하약물, CYP 저해제, linezolid, MAO 저해제, selegiline, sibutramine
9. Mianserin (Bolvidone)
1) 작용기전
: TCA로 항무스카린 작용이나 심장에 대한 작용은 TCA 약물보다 드물고 약함
2) 적응증
: 내인성 우울증, 퇴행성 우울증, 반응성 우울증, 불안으로 인한 우울증
3) 용법/ 용량
① 초기 : 1일 30~40mg을 투여하며 증상에 따라 조절함
② 유지 : 1일 60mg을 수개월간 투여하며 1일량을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던가 취침전 전 량을 복용함
4) 금기
① MAO 억제재를 투여중인 환자
② 조증환자
③ 중추신경억제제 또는 알코올 급성중독 환자
④ 중증의 간질 환자
5) 부작용
①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② 기립성저혈압, 빈맥, 심계항진, 혈압강하
③ 졸음. 진전, 파킨슨증상, 어지러움, 비틀거림, 두통, 불면, 시야조절장애, 불안, 초조, 저 린감, 구음장애, 운동실조
④ 발진, 부종
⑤ 무과립세포증, 백혈구감소, 골수억제
⑥ 구갈, 변비, 구역, 구토, 식욕부진/항진, 설사, 복통, 미각이상
⑦ 간효소수치 상승
10. Maclobemide (Aurorix)
1) 작용기전
: 가역적인 MAO-A type 억제제로 NE, serotonin 대사를 감소시킴
2) 적응증 : 우울증상의 치료, 사회공포증
3) 용법/ 용량
① 초기 : 300mg/D 3회 분복함
② 개인별 치료반응에 따라 1일 150mg까지 감량투여할 수도 있으며, 필요할 경우 중증 우울증에는 1일 600mg까지 증량 투여할 수도 있음
③ 투약 첫째주 동안에는 생체내 이용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기간에는 용량을 증가시키 면 안됨. 이 약은 식사 종료시 투여해야 함
④ 고령환자나 신기능저하 환자의 경우 특별한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음
⑤ 간질환이나 간효소 활성 저해약물에 의해 간대사 기능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에는 1일 투여량을 ½~⅓로 감량함으로써 통상 혈중농도에 도달될 수 잇음
4) 금기
① 이 약에 과민증인 환자
② 급성 착란상태의 환자
5) 부작용
① 신경과민, 수면장애, 어지러움, 격앙, 불안, 흥분
② 구갈, 구역, 포만감, 가슴쓰림, 설사, 변비, 두통, 말초운동 및 지각신경병증
③ 시야몽롱, 착란
④ 간효소치의 상승, 간염
⑤ 아나필락시양 반응, 두드러기, 혈관부종, 천식, 고혈압
6) 약물상호작용
① 이 약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키는 약물 : cimetidine
11. Trazodone HCl (Trazodone)
12. Venlafaxine HCl (Effexor)
13. Dothiepin (Prthiden)
Ⅲ. 항불안제 (antianxiety drug, anxiolytics)
: 소정온제 (minor tranquilizer), 정온제 (tranquilizer)
* Benzodiazepine계 *
1. Diazepam (Valium)
1) 작용기전
: Benzodiazepines는 염소이온의 세포막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시에 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냄 - 대뇌변연계와 망상체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를 모든 수 준에서 억제시킴
2) 적응증
① 신경증에서의 불안긴장
② 정신신체장애 (소화기질환, 순환기질환, 자율신경실조증, 갱년기장애)에서의 불안,긴장, 우울
③ 마취전 투약
④ 알코올 금단증상
⑤ 골격근경련 또는 소발작 간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