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통신 언어의 유형 및 언어학적 특징
3. 통신 언어의 사회적 특징
4. 통신 언어가 실제 언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5. 컴퓨터 통신의 순기능 및 역기능
6. 바람직한 통신 언어 정착을 위한 방안
7. 결론
2. 통신 언어의 유형 및 언어학적 특징
3. 통신 언어의 사회적 특징
4. 통신 언어가 실제 언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5. 컴퓨터 통신의 순기능 및 역기능
6. 바람직한 통신 언어 정착을 위한 방안
7. 결론
본문내용
빨리 대답해야 하고 여러 사람의 대화가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간결하고 의미 전달이 명확한 단어로써 의사 소통한다. 그러므로 컴퓨터 통신 이용자들은 축약된 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현상은 일상 언어생활에서도 흔히 있는 축약의 형태이다.
(5) 몰래하는 채팅 → 몰팅 통신 장애 → 통장
즐거운 통신 → 즐통 비밀 번호 → 비번
정회원 채팅, 정기채팅 → 정팅 음악 퀴즈 → 음퀴
역사 퀴즈 → 역퀴 영어 퀴즈, 영화 퀴즈 → 영퀴
암호 퀴즈 → 암퀴 빠이빠이 → 빠빠(빠바)
야한 남자 → 야남 컴퓨터 섹스 → 컴섹
비공개 방 → 비방 야한 겜 → 야겜
중학생 방 → 중방 개강을 빙자한 모임 → 개빙모
중학생 → 중생 번개 모임 → 번모
서울 여자 → 설녀
이러한 통신상의 특성은 대화방에서의 의성어, 혹은 의태어의 사용에서도 나타나는데 컴퓨터라는 공간은 대화하는 사람들이 서로 얼굴을 맞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 상태를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통신 사용자들은 빨리 자판으로서 표현할 수 있는 감정 언어를 개발해 내었는데, 의성어나 의태어 그리고 이모티콘 등이 그 속에 포함될 수가 있다. 이런 의성어나 의태어 등은 물론 혼자서도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나타내지만 이모티콘과 함께 쓰여 좀 더 자세하고 분명하게 자신의 느낌을 전달하기도 한다.
(6)
a. 의성어
웃음소리 : 푸후, 하하하, 큐큐큐, 헤헤헤, 흐흐흐, 호호, 와하하하,
냐하~, 까하하, 뿌하하, 우효효, 후후^^, 헤헤*^^*,
감탄의 소리 : 아~~, 오호, 하!!, 헉^^;;
기타 : **쯧쯔...^^(장난조의 비난), 헉헉(당황스러울 때)
짝짝짝(괜찮은 의견에 대한 반응)
쪼오옥(상대방이나 상대방 의견이 자신의 마음에 들었을 때)
b. 의태어 : 뻐둥뻐둥(바둥바둥), 들락날락, 구질구질...
2.2. 도배 언어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도배 언어는 표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emoticon)이다. 이모티콘은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이 결합하여 생성된 것으로 감정을 나타내는 기호라는 뜻이다. PC통신이나 인터넷 대화방에는 이런 아이콘과 축약어가 수시로 등장한다. 텍스트 위주로 이뤄지는 PC통신에서 흔히 만나는 이모티콘은 :-)은 웃는 얼굴을, :-(은 기분 나쁜 표정을, *^_^*은 즐겁고 명랑한 표정 등을 나타낸다.
초기에는 이모티콘의 본 의미에 충실하게 통신상에서 글을 쓰고 있는 혹은 대화를 하고 있는 사람의 감정을 나타내기 위한 사람 표정의 형상화가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그 수준을 넘어서서 생물, 사물, 특정상황 등까지 묘사한다. 그러나 표정의 경우는 감정이나 의도를 전달할 수 있지만, 사물의 묘사의 경우에는 언어 전달의 측면에서는 기대하기 어렵다. 단지 재미로서의 기능만을 담당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모티콘은 묘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단순화하여 대표적 특징을 부각하며, 사물의 측면 묘사나 기준방위로부터 90도 회전등 묘사 방향도 자유롭다. 대개 외국인과 대화하면서 의사 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손짓 발짓을 해 가며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것처럼, 통신상에서도 몇 개의 문자를 조합해서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모티콘은 통신상에서의 body language라 할 수 있겠다(송인식 1995). 대표적인 이모티콘은 다음과 같다.
(7) 기쁨
: ) :-> =-) 웃는 얼굴
:-D 활짝 웃는 얼굴
K:-) 학사모 쓰고 웃는 모습
\\^_^/ \\^o^/ ^O^ ^^ ^_^ 기쁨
^.^ 귀엽게 웃는 얼굴
^_^; ^^; 어색한 기쁨
#:-) 엉클어진 머리의 사람이 웃는 얼굴
&:-) 곱슬머리의 얼굴(웃음)
(-_-) 비밀스런 웃음
:-} 이를 더러 내고 히죽 웃음
B-) 안경 낀 사람의 웃음
:@) 돼지코의 미소
~:^y 미소 띤 옆모습
(8) 슬픔, 괴로움, 놀람
/_\\ 슬픔에 잠긴 모습 >:-( 무척 화난 얼굴
(:-( 아주 기분 나쁨 : ( 슬픈 얼굴
:\'-( ;-( 우는 얼굴 :-< 찡그린 얼굴
:-c 기분 나쁨 (X_X) 아픈 표정
O_O 눈을 크게 뜨고 살핌 8-) :-<> *.* 깜짝 놀람
-_-- 바람에 흩날리는 눈물 :-(O) 고함치는 얼굴
2.3. 게임 언어
최근 온라인 게임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일반 게임들도 네트워크 플레이를 지원하게 됨에 따라 게임상에서도 색다른 언어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채팅언어와 그 명맥과 특징을 같이 하지만, 게임에 집중하면서 대화를 하기 때문에 빠른 게임 도중에는 보통 축약된 단어만으로 대화를 진행하거나 의성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컴퓨터가 아닌 사람들과 승부를 가리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욕설과 언어 폭력이 난무하는 언어이다.
(9) 축약된 단어만으로 대화하는 경우
즐거운 포트리스(게임 이름)합시다 → 즐포
즐거운 게임합시다 → 즐겜
게임을 시작합시다 → 고 → 거
공격 들어가세요(또는 공격합시다) → go 방위
3시 방향에 공격 들어갑시다. → go 3:00
동맹 맺읍시다 → ally, all ally
Good Game 합시다 → gg
매너게임 합시다 → 매너겜
수고하셨습니다 → 수거
음운 축약이나 첨가는 통신 언어의 특징과 일맥 상통한다. 타이핑할 시간이 짧은 게임상의 대화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특징이다.
(10) 음운론적, 형태론적 변화
여러분 → 열분 독을 쏘는 탱크 → 덕탱
미사일을 쏘는 탱크 → 미탱 우리편 → 울편
죄송 → 지송 괜찮아요 → 갠찬아여
뭐라고 했냐 → 머라귁노 죽었다 → 주겄다
감사 → 감솨
아까워라 → 아까버라 → 아까비 → 까비
수고하셨습니다 → 수거여 → 수거염 → 수거엽 → 수거
모다구리(적에게 둘러싸여 저항하지 못하고 두들겨 맞음) → 다굴
욕설과 언어폭력은 음운을 살짝 바꾸거나 그 형태를 바꾸어도 의미가 통하기 때문에 데이터 베이스 상에 그 데이터를 한정시켜 못 쓰게 막는다 하더라도 미봉책이 될 수밖에 없다.
(11) 욕설과 언어 폭력의 실례
바보 → 바버 씨팔 → 18, c8
씹새끼 → 십탱, 쉬댕 병신 → 븅신
놈 → 넘 좆같은 놈 → 조까튼 넘
개새끼 → 개
(5) 몰래하는 채팅 → 몰팅 통신 장애 → 통장
즐거운 통신 → 즐통 비밀 번호 → 비번
정회원 채팅, 정기채팅 → 정팅 음악 퀴즈 → 음퀴
역사 퀴즈 → 역퀴 영어 퀴즈, 영화 퀴즈 → 영퀴
암호 퀴즈 → 암퀴 빠이빠이 → 빠빠(빠바)
야한 남자 → 야남 컴퓨터 섹스 → 컴섹
비공개 방 → 비방 야한 겜 → 야겜
중학생 방 → 중방 개강을 빙자한 모임 → 개빙모
중학생 → 중생 번개 모임 → 번모
서울 여자 → 설녀
이러한 통신상의 특성은 대화방에서의 의성어, 혹은 의태어의 사용에서도 나타나는데 컴퓨터라는 공간은 대화하는 사람들이 서로 얼굴을 맞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 상태를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통신 사용자들은 빨리 자판으로서 표현할 수 있는 감정 언어를 개발해 내었는데, 의성어나 의태어 그리고 이모티콘 등이 그 속에 포함될 수가 있다. 이런 의성어나 의태어 등은 물론 혼자서도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나타내지만 이모티콘과 함께 쓰여 좀 더 자세하고 분명하게 자신의 느낌을 전달하기도 한다.
(6)
a. 의성어
웃음소리 : 푸후, 하하하, 큐큐큐, 헤헤헤, 흐흐흐, 호호, 와하하하,
냐하~, 까하하, 뿌하하, 우효효, 후후^^, 헤헤*^^*,
감탄의 소리 : 아~~, 오호, 하!!, 헉^^;;
기타 : **쯧쯔...^^(장난조의 비난), 헉헉(당황스러울 때)
짝짝짝(괜찮은 의견에 대한 반응)
쪼오옥(상대방이나 상대방 의견이 자신의 마음에 들었을 때)
b. 의태어 : 뻐둥뻐둥(바둥바둥), 들락날락, 구질구질...
2.2. 도배 언어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도배 언어는 표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emoticon)이다. 이모티콘은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이 결합하여 생성된 것으로 감정을 나타내는 기호라는 뜻이다. PC통신이나 인터넷 대화방에는 이런 아이콘과 축약어가 수시로 등장한다. 텍스트 위주로 이뤄지는 PC통신에서 흔히 만나는 이모티콘은 :-)은 웃는 얼굴을, :-(은 기분 나쁜 표정을, *^_^*은 즐겁고 명랑한 표정 등을 나타낸다.
초기에는 이모티콘의 본 의미에 충실하게 통신상에서 글을 쓰고 있는 혹은 대화를 하고 있는 사람의 감정을 나타내기 위한 사람 표정의 형상화가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그 수준을 넘어서서 생물, 사물, 특정상황 등까지 묘사한다. 그러나 표정의 경우는 감정이나 의도를 전달할 수 있지만, 사물의 묘사의 경우에는 언어 전달의 측면에서는 기대하기 어렵다. 단지 재미로서의 기능만을 담당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모티콘은 묘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단순화하여 대표적 특징을 부각하며, 사물의 측면 묘사나 기준방위로부터 90도 회전등 묘사 방향도 자유롭다. 대개 외국인과 대화하면서 의사 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손짓 발짓을 해 가며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것처럼, 통신상에서도 몇 개의 문자를 조합해서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모티콘은 통신상에서의 body language라 할 수 있겠다(송인식 1995). 대표적인 이모티콘은 다음과 같다.
(7) 기쁨
: ) :-> =-) 웃는 얼굴
:-D 활짝 웃는 얼굴
K:-) 학사모 쓰고 웃는 모습
\\^_^/ \\^o^/ ^O^ ^^ ^_^ 기쁨
^.^ 귀엽게 웃는 얼굴
^_^; ^^; 어색한 기쁨
#:-) 엉클어진 머리의 사람이 웃는 얼굴
&:-) 곱슬머리의 얼굴(웃음)
(-_-) 비밀스런 웃음
:-} 이를 더러 내고 히죽 웃음
B-) 안경 낀 사람의 웃음
:@) 돼지코의 미소
~:^y 미소 띤 옆모습
(8) 슬픔, 괴로움, 놀람
/_\\ 슬픔에 잠긴 모습 >:-( 무척 화난 얼굴
(:-( 아주 기분 나쁨 : ( 슬픈 얼굴
:\'-( ;-( 우는 얼굴 :-< 찡그린 얼굴
:-c 기분 나쁨 (X_X) 아픈 표정
O_O 눈을 크게 뜨고 살핌 8-) :-<> *.* 깜짝 놀람
-_-- 바람에 흩날리는 눈물 :-(O) 고함치는 얼굴
2.3. 게임 언어
최근 온라인 게임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일반 게임들도 네트워크 플레이를 지원하게 됨에 따라 게임상에서도 색다른 언어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채팅언어와 그 명맥과 특징을 같이 하지만, 게임에 집중하면서 대화를 하기 때문에 빠른 게임 도중에는 보통 축약된 단어만으로 대화를 진행하거나 의성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컴퓨터가 아닌 사람들과 승부를 가리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욕설과 언어 폭력이 난무하는 언어이다.
(9) 축약된 단어만으로 대화하는 경우
즐거운 포트리스(게임 이름)합시다 → 즐포
즐거운 게임합시다 → 즐겜
게임을 시작합시다 → 고 → 거
공격 들어가세요(또는 공격합시다) → go 방위
3시 방향에 공격 들어갑시다. → go 3:00
동맹 맺읍시다 → ally, all ally
Good Game 합시다 → gg
매너게임 합시다 → 매너겜
수고하셨습니다 → 수거
음운 축약이나 첨가는 통신 언어의 특징과 일맥 상통한다. 타이핑할 시간이 짧은 게임상의 대화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특징이다.
(10) 음운론적, 형태론적 변화
여러분 → 열분 독을 쏘는 탱크 → 덕탱
미사일을 쏘는 탱크 → 미탱 우리편 → 울편
죄송 → 지송 괜찮아요 → 갠찬아여
뭐라고 했냐 → 머라귁노 죽었다 → 주겄다
감사 → 감솨
아까워라 → 아까버라 → 아까비 → 까비
수고하셨습니다 → 수거여 → 수거염 → 수거엽 → 수거
모다구리(적에게 둘러싸여 저항하지 못하고 두들겨 맞음) → 다굴
욕설과 언어폭력은 음운을 살짝 바꾸거나 그 형태를 바꾸어도 의미가 통하기 때문에 데이터 베이스 상에 그 데이터를 한정시켜 못 쓰게 막는다 하더라도 미봉책이 될 수밖에 없다.
(11) 욕설과 언어 폭력의 실례
바보 → 바버 씨팔 → 18, c8
씹새끼 → 십탱, 쉬댕 병신 → 븅신
놈 → 넘 좆같은 놈 → 조까튼 넘
개새끼 → 개
추천자료
통신상의 언어사용에 관련된 문제
인터넷, 통신 언어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통신 언어 사용에 대한 제 견해
컴퓨터 활용 교육과 학생 정보통신 활용 능력 및 수업모형 개발에 대하여
인터넷과 통신 언어의 긍정적인 측면
데이터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바람직한 통신언어 사용법
통신어에 따른 언어파괴
인터넷통신 언어에 대한 제언
[수행지원시스템][CASE][CAI코스웨어][메시지][통신보호시스템]컴퓨터 수행지원시스템 설계, ...
통신 언어의 실태
정보통신 용어조사 (DLNA, 리눅스, 인프라, 라우터, ICT, HTML, 임베디드시스템, TCP/IP 통신...
컴퓨터의이해(방송통신대, 중간고사, 기말고사, 기출문제, 2001년이후)
『통신언어는 어려워요!』 -학생들과 문자로 대화할 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