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생물학 개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과학] 생물학 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종의 학명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2. 바이러스의 구조 및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바이로이드와 프리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원핵 생물과 진핵 생물의 세포학적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세균의 구조, 형태 및 증식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세균의 분류에 기준이 되는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세균과 남조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8. 마이코플라즈마, 리케치아 및 비루스는 세균과 어떻게 다른가?

9. RNA 비루스와 DNA 비루스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0. 조류의 구조 및 형태, 분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균류의 각 문을 분류하는 중요한 구조 및 형태, 생식방법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지의류의 공생형 생물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지낭균류와 담자균류를 비교하시오.

14. 식물과 조류는 어떻게 다른가?

15. 선류와 태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16. 양치류와 피자식물의 차이를 비교하시오

17. 동물의 계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8. 편형동물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9. 연체동물의 강을 열거하고 그 특징을 들어보시오

20. 절지동물과 환형동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21. 극피동물과 척색동물의 유연관계에 대하여 그 증거를 들어 설명하시오.

22. 척색동물과 척추동물은 어떻게 다른가?

23. 사람의 내부 기생충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것들은 분류상 각각 어떤 문에 속하는가??

24. 수축포, 원심관, 촉수관, 외투막, 신관 및 척색등의 작용은 무엇이며, 이것을 가지는 동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5. 척색동물의 계통에 관하여 논하시오

본문내용

의 맹단에 있어 말단기관으로 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이 말단기관은 말단세포라고 하는 1개 및 몇 개의 세포로 되었고, 세포는 관강을 향하여 다수의 섬모가 나와 있어서 섬모 다발이 불꽃처럼 움직이므로 섬모염 이라고 하며, 이 세포를 불꽃세포라고 하는데, 유조직 중의 노폐물이나 과잉의 물을 끊임없이 유동시킨다.
원신관의 마지막은 모여서 세로로 지나가는 관이 되거나, 또는 1개가 몇 개의 배출공이 되어 체외로 열려 있다.
촉수관
; 하등동물의 입 주위나 몸의 앞쪽에 가늘고 길게 돌출하여 있는 돌기물
강장동물(말미잘 히드라 해파리 등), 편형동물인 와충류, 환형동물인 다모류(갯지렁이), 촉수동물인 비벌레, 원색동물인 우렁쉥이류 등에서 볼 수 있는 기관이며, 신축이나 굴곡이 자유로운 길쭉한 돌기물로 되어 있다.
강장동물인 경우, 말미잘 히드라 해파리 등의 폴립(유생기에 볼 수 있다) 등의 촉수 끝에 감각기가 있고 먹이가 되는 작은 동물에 닿으면 촉수가 이것을 감거나, 때로는 촉수 중에 있는 자사로부터 액체를 사출해서 먹이를 약화시킨 후 입으로 운반한다.
성장한 해파리는 촉수가 있는 것이 많고, 어떤 종류는 촉수관이 갓의 가장자리에 있는데 이것은 촉수가 변형된 평형기이다.
(촉수관동물 : 총담동물이라고도 불리며 섬모가 난 촉수들이 입 주위에 모여 만 들어지는 촉수관(lophophore)을 갖고 있는 여러 무척추 동물들이다.
촉수에 난 섬모가 수류를 일으켜 먹이를 입으로 모은다. 촉수관 동물로는 태형 동물 (Bryozoa) ,완족 동물(Brachiopoda) ,추형동물 (Phoronida)이 있다.)
외투막
;연체동물의 체표가 막상으로 연장되어 내장낭을 싸고 있는 것.
군부류에서는 1장의 타원판 모양으로 되어 있고 내장낭의 등쪽에 있으며 각판을 분비한다. 부족류에서는 좌우 2장으로 되어 있고 조개껍데기를 분비하여 완전히 몸을 싸고 있다. 복족류의 외투막은 내장의 꼬임에 따라 내장낭 표면에서 발의 등쪽에 걸쳐 원통형으로 발달하여 있고 나사선 모양의 조개껍데기를 분비한다. 굴족류(뿔조개류)의 외투막은 1장으로 되어 있다.
오징어는 원뿔 모양, 문어는 주머니 모양이다. 촉수동물(조개사돈 등)의 체표가 연장된 것도 외투막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배의 등 쪽이 연장된 것으로 역시 조개껍데기를 분비한다.
신관
; 무척추동물에 발달한 배설기
관신 이라고도 하며, 보통 진체강이 있는 무척추동물의 배출기관을 말한다.
지렁이의 체절에는 쌍으로 된 신관이 있으며. 그것의 기능은 바로 앞에 있는 체절 속의 액체를 청소하는 일로, 노폐물과 과도한 양의 물을 배설하는 것이다. 장액이 신관을 통과할 때 물, 이온 등의 중요한 물질들이 혈액으로 재흡수 된다
무척추동물의 배출물은 체강으로 모이고 신관은 이것을 체외로 배출하는 관이며, 체강에 직접 열려 있다. 신구에서 시작되어 여러 번의 선회를 거쳐 복잡하게 휜 세관이 계속되고, 말단은 체벽에서 열리는 작은 구멍이 된다.
신구는 나팔 모양으로 열려 있고, 주위에 많은 섬모의 운동으로 배출물을 관 안으로 유입시킨다.
세관에도 내벽에 섬모가 있어 배출물 외에 정자나 난자의 수송도 맡는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신관을 가지는 동물에는 환형동물 외에 원기관 동물촉수동물 등이 있고, 갑각류 연체동물 등은 신관이 변형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척색
: 척추동물과 원색동물을 합친 척색동물에서, 일생 또는 발생의 일정시기에 척골에 해당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지지조직.
어류 이상에서는 배시기와 유생기에 존재하는데, 후에 연골 또는 경골의 척추골에 의해 치환되며, 원구류에서는 일생 존재한다.
원색동물 중 멍게류는 유생에 존재하고 창고기는 일생 존재한다. 발생상 형성체로 중요한 구실을 한다. 조직은 연골과 비슷한데, 다량의 세포간 물질 속에서 세포가 몇 개씩 밀착되어 산재한다.
25. 척색동물의 계통에 관하여 논하시오
척색동물문이 가지는 공통점은 일생 또는 어릴때에 척색이라는 몸의 지지 구조를 가지며, 몸의 등쪽에 관상의 신경색이 있다. 순환계는 폐쇄형이고 심장은 소화관에서 배쪽으로 있다. 소화계는 잘 발달되어 있다.
척색동물문은 미색아문(멍게류 탈리아류), 두색아문(창고기류), 척추동물아문의 3아문으로 분류된다.
1. 미색아문는 유생때 꼬리에 척색을 가지며 해초강(대추멍게,우렁쉥이) 탈리아강(송곳살파, 바다술통류),유형강(오이코플류라)으로나뉜다.
2. 두색아문는 일생동안 꼬리에서 머리에 이르기까지 척색을 가지고 있다.
3. 척추동물아문은 골격의 주축을 이루는 등뼈와 두개를 가지며, 지느러미와 아가미를 가지는 어상강과 네다리와 폐를 가지는 사지상강으로 나뉜다.
1) 어상강에 무악어강(먹장어,칠성장어),판피어(모두 화석종), 연골어강(별상어, 홍어, 은상어) 경골어강(폐어류, 철갑상어, 청어 , 잉어, 아귀)등의 4강으로 나뉜다.
2) 사지상강은 4 다리와 폐 호흡을 하며 양서강(두꺼비, 참개구리, 도룡뇽)
파충강(바다거북, 자라, 도마뱀, 살무사, 아프리카악어), 조강(왕펭귄새, 타조 황생, 두루미, 참새), 포유강(오리너구리, 큰캥거루, 고슴도치, 성성이, 집쥐, 소, 개)이 있다.
어상강의 무악어류는 원구류라고도 하며 가장 하등한 무리이고 턱이 없다. 무악어류 이외의 강들은 턱이 있으므로 통틀어 유악류라고도 한다. 어상강과 양서류는 발생 중에 양막이 생기지 않으므로 묶어서 무양막류라 하며, 나머지 것들은 양막이 생기므로 유양막류라고 한다. 발견된 것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척추동물의 화석은 러시아와 미국의 오르도비스기의 암석에서 발견된 갑주어의 외골격이다. 갑주어는 무악어류 판피류에 속한다. 갑주어의 조상형은 미색동물의 올챙이 모양의 해초류였으리라고 한다. 척추동물은 동물계의 모든 분류군 중에서 가장 복잡한 체제와 분화된 기능을 가지며, 심하게 적응방산한 무리이다. 내골격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동물군에 비해 체적이 크게 되고, 근육이 발달했기 때문에 활동적이다. 현생종은 약 4만 1600종이 알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문 수준에서는 해양의 동물이 육지의 동물보다 훨씬 다양하다. 육상에서는 곤충이 다양하게 적응방산하여 동물계 전체 종들의 약 3/4을 차지한다.

키워드

생물,   바이러스,   생물학개론,   식물,   세균,   ,   동물,   조류
  • 가격3,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07.02.2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