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총담관석증(GB,CBD stone)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석증,총담관석증(GB,CBD ston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1.담석증(중심적)
2.소화성궤양
3.당뇨병

ii.본론(사례연구)
1.기초자료수집
2.진단검사의학(환자측면에서의 임상적의의도포함)
3.사용된약물
4.간호진단

iii.결론
1.소감
2.참고문헌

본문내용

우 이러한 약물요법의 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로 치료가 안 되는 담석증환자에게 위경련과 같은 발작이 자주생기면 담석제거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 발작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든지 전혀 없는 환자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담낭제거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① 당뇨가 같이 있는 환자 :이런 환자에게 급성담낭염이 유발되면 사망률이 10~50%에 이르기 때문이다.
② 담낭의 기능이 없는 경우나 담석의 크기가 2cm이상인 경우 :이런 환자에게는 담석증으로 인한 합병증이 많이 발생한다.
③ 담석이 있으면서 담낭벽이 석회화되어 있는 환자: 이러한 환자에게는 담낭암 의 발생률이 높다. 그밖에 급성담낭염 환자의 치료는 우선 입원을 한 다음 금식과 적당한 항생제를 투여하고 충분한 수분공급을 시킨다. 그래도 담낭의 염증이 가라앉지 않으면 수술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좋다.
(2)외과적 치료
-무증상의 담석증을 가진환자에게 수술시행은 존쟁의 여지가 있다.예방적 담낭제거술의 적절한 시기가 언제인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한다.합병증의 발생가능성은 심각한 위험을 야기한다.노인들이나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환자들은 담석증의 높은 이환률을 나타낸다.이들은 급성담도경련과 응급시술동안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후에 응급수술을 피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담낭제거술을 받도록 권유받기도 한다.담낭제거술 외에 경피적 담낭결석절개술,복강경담낭절제술 및 체외 충격과 쇄석술등이 시행되기도 한다.
최근 많이 시행되고 환자에게 적용한 ‘복강경담낭절제술’은 자세히 아래에 있다.
6)담석증의 위험요인과 예방
당뇨병,다태임신,미주신경절단술,국소적장염,담즙결핍을 초래하는 회장질환 또는 절제술,담낭의 능동성을 감소시키는 장기간 비경구영양,간병변증,담즙색소를 증가시키는 만성적 용혈성질환,비만,에스트로겐투여,췌장염,식이요법과 칼로리제한,과지질혈증 치료를 위한 clofibrate요법,그리고 cholestyramine요법 등이 일반적인 위험요인이다.
담석증 예방에 대한 적절한 방법은 없으나 항상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적은 양의 음식을 자주 먹는 것이 담석증을 예방하는 방법이며 특히 폭음, 폭식은 절대 피해야 한다. 담석은 일반적으로 4F를 갖고 있는 사람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4F란 Female(여성), fatty(비만), Forty(40대 이후), Flabby(비만하지 않아도 근육이 흐물흐물하고 늘어지는 사람)을 뜻한다.이러한 4F를 생각해 볼 때 가급적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 즉, 예를 들면 계란 노른자, 새우, 오징어, 조개, 게, 내장, 순대, 생선껍질, 쇠고기, 돼지고기 기름,닭 껍질, 치즈, 버터 같은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자극성이 많은 조미료나 술, 커피 등도 피하는 것이 좋다. 육체 및 정신적 과로를 피하고 허리띠나 콜셋트 등으로 복부를 심하게 압박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또한 비만 예방과 근육 단력을 위해 매일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도 좋은 예방책이라 할 수 있다.
40대 이상 성인, 특히 여성들은 일년에 한번씩 병원을 찾아가 편리한 초음파 진단법 등으로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단계 :저지방,체중감소식이를 유지한다
출산조절수단을 모색힌다.
2차단계 :한달 이상 완전비경구영양(TPN)을 받는 환자를 주의깊게 감독한다.
높은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에게 규칙적으로 의사를 방문하도록 권장한다
오심,구토,식욕부진,통증 및 열을 포함한 담관의 감염 증상을 감시한다
3차단계 :만일 통증이나 위장관계 문제가 재발될 때 규칙적인 의학적 관리를 받는 것의 중요성을 환자에게 교육한다.
저지방식이,체중감소식이를 유지할 것을 환자에게 권장한다
원한다면 출산조절정보를 얻는 것을 도와준다.
7)합병증
-담낭염동반,담낭농양,담낭천공,복막염,간농양,담즙성간경화증,전신적패혈증,장폐색가능성, 담석으로인해 총담관폐색된 경우 췌장염
8)t-tubel,H-vac
a.t-tube
-t-tube는 수술중에 담관의 담즙을 배액시키기 위해 담관으로 삽입되는 T자모양의 관이다.
수술 후에도 삽입하고 있으며 남아있는 결석을 제거하기 위함도 있다.그리고 수술 후 1주일 후에 (담낭적출술과 총담관 수술 후) 담관에 결석이 남아있는지 보기위해 t-tube cholangiography(T관담낭조영술)을 시행한다.
-검사시 주의사항: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소요시간은 15분정도
-검사과정:방사선과에서 T관에 무균상태의 카테터를 통해 낮은 압력으로 조영제주입 후 조영제가 담관에 차면 여러자세에서 x선촬영을 한다.
-검사 후 부작용은 없으며 통증도 없다
b.hemo-vac
-수술 후 상처의 분비물과 체내에 고여있는 분비물을 배액하기 위함이다.
완전하게 흡인기를 압축하여 bag에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손톱으로 자극하지 말고 한곳에 집중적으로 압력을 주지 않으면서 라인을 눌러주어 혈액응고가 라인을 막히지 않게 한다
-대부분 진공상태를 유지하지만 때에 따라서 공기를 채워넣기도 하므로 의사의 order를 반드시 살펴보고 채워넣는 공기의 양도 재확인 한다
-자연배액 시 bag의 위치는 카테터 삽입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운동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안전핀이나 집게를 사용하여 당겨지지 않도록 환의에 잘 고정한다(사고로 인해 배액관을 조기에 제거했을 경우 부식성의 배액이 새어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흡인기가 가득 차면 음압이 소실되므로 필요시마다 자주 비우도록 한다
-갑자기 선홍색의 많은 혈액이 배액될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배액량 측정시에는 카테터를 kelly나hemostat으로 잠근 후 눈금이 있는 컵에 부어서 측정하고 배액량이 적을 때에는 곡반에 부은 후 주사기로 재어 양을 측정한다
-배액량 측정 후에는 다시 음압이 유지되도록 bag을 꼭 눌러서 뚜껑을 닫고 kelly를 푼다
-제거후에는 단순 드레싱을 하고 근무시마다 oozing정도를 관찰한다(배액관은 보통 분비물 양이 줄어든 하루 후 또는 드물게 수주일 후에 제거된다)
2.잔유.재발결석의 대책
-담석수술 후 담관결석이 잔유결석인가 재발결석인가의 감별은 유두협착을 비롯하여 담도협착이나 담도계해부학적 이상 등에의한 담즙정체 유발요인이 없는 증례에서는 곤란하다.술 후 잔유결석의 원인으로,술중 조영을 소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07.02.21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