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SK telecom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이용한 글로벌 경영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 SK telecom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이용한 글로벌 경영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K telecom의 최근 글로벌 경영

2. SK telecom의 세계를 향한 첫 걸음

3. SK telecom의 세계 최초 서비스 (한 발 앞 선 경영 전략)

4. SKtelecom의 본격적인 세계 시장 개척

5. SK telecom 글로벌 정보통신

6. SK telecom의 CDMA를 이용한 글로벌 경영에 대한 견해와
SK telecom에 대한 나의 견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합의하고 CDMA 분야 협력 협의서를 체결하였다.
이날 계약은 중국이 CDMA를 도입한 이래 최초로 해외기업과 협의서를 체결한 것이어서 더욱 의미가 깊었다. 이날 SK텔레콤은 차이나유니콤의 CDMA 시스템 상용망 건설을 조기에 완성하고 CDMA2000 1X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양사는 컨설팅 및 협력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공동워킹그룹을 구성하고 인력 교류를 정례화하기로 하였으며, 무선데이터 등 신규사업에도 공동 협력하기로 뜻을 같이하였다.
이같은 협력협의서 체결에 따라 SK텔레콤은 2001년 5월 14일부터 세 차례에걸쳐 중국 최초로 CDMA서비스를 준비중인 연합신시공이동통신유한공사(차이나 유니콤의 CDMA부문 자회사)의 핵심 운영인력을 대상으로 CDMA기술 및 운영 전반에 대한 교육을 대행해주었다.
그리고 2001년 6월4일에는 연합신시공과 100만 달러 규모의 CDMA기술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였고 이듬해인 2002년 4월 9일에는 차이나 유니콤과 월드컵 기간 중 한중간 CDMA 자동로밍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공동 협력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2년 7월 3일 SK 텔레콤은 차이나 유니콤과 합자회사서립에 대해 합의하였으며, 이후 공동으로 TFT를 구성, 실무 작업을 거쳐 2003년 1월 6일 양사는 중국 내 무선 인터넷 사업을 담당할 합자기업 설립 계약을 체결하였다. 따라서 SK 텔레콤은 중국의 WTO가입 이후 외국기업으로서는 최초로 통신 서비스 분야에서 합작 법인을 설립함에 따라 중국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였다. 양사의 첫 합작법인은 2004년 4월 8일 설립되었다. SK텔레콤차이나유니콤은 이날 합작법인 UNISK를 공식 출범시키고 중국 내 무선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확보를 위한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돌입하였다.
중국 최초의 외국계 합작 통신서비스 업체인 UNISK는 이에 앞서 2월6일 중국 정부로부터 무선 인터넷 포털 사업 인가를 취득하고, 3월 1일 상용서비스를 개시하였다. UNISK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브랜드는‘U族부락’으로, 젊은 엘리트층이 커뮤니티로서 젊은이들이 무선인터넷을 통해 즐거움과 기쁨, 행복을 추구하는 문화공간의 의미를 담았다.
5.3. 동북아 CDMA 벨트 구축
SK텔레콤은 아날로그 이동전화으 ltjdrhd적인 몽골 진출을 발판으로 2001년 2월 12일 CDMA 디지털 이동전화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해외시장의 첫 CDMA 이동전화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4월 16일 CDMA 기반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도 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몽골 이동전화 시장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2003년 7월 1일, 마침내 SK텔레콤의 기술과 자본을 토대로 하는 CDMA2000 1X 상용 서비스를 해외 최초로 베트남에서 개시하였다. 이제 제2의 중국으로 평가받는 베트남에서 이동통신 사업을 추진한 지 6년 만에 이룬 매우 뜻 깊은 결실이었다. 이날 SK텔레콤, LG전자, 동아일렉콤 3사가 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SLD텔레콤과 베트남 통신사업자인 SPT社는 베트남에서 최초로 CDMA 이동전화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SLD텔레콤과 SPT는 2000년 10월 BCC(경영협력계약)를 체결하여 2001년 9월 베트남 정부로부터 투자 승인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9월 28일 S-Telecom을 설립하였으며, 약 2년간의 준비 끝에 \'S-Fone\'이라는 이름으로 호치민과 하노이를 포함한 13개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상용서비스를 제공 하였다.
SLD텔레콤은 2016년까지 CDMA 기술 및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SPT는 베트남 전국 CDMA 이동통신 사업권과 800MHz대의 양방향 주파수대역 12MHz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향후 15년간 CDMA 이동전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베트남에서 CDMA 상용서비스를 개시함에 따라 SK텔레콤은 지난 2000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온 동남아 CDMA 벨트의 교두보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SK텔레콤은 향후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오세아니아를 아우르는 광대한 지역에 CDMA단일 통화권을 형성하여 활동 무대를 세계로 넓혀나가는 동력을 마련하였다.
한편 베트남에서 제공중인 CDMA 이동전화 서비스 \'S-Fone\'의 10만 돌파를 계기로 대대적인 브랜드 홍보와 함께 가입자 확보 마케팅 전략을 가동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 최초로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선불전화 중심의 베트남 현지에 최적화시킨 다양한 요금상품을 출시하는 등 ‘S-Fone\'만의 차별화 된 고객 지향적 서비스를 속속 출시하며 베트남 시장 본격 공략을 가시화 하고있다.
한편, 이보다 앞선 2002년 1월 24일에는 SK텔레콤와 LG전자가 대주주로 참여한 SLD텔레콤이 캄보디아 정부와 CDMA 이동전화 사업승인 조인식을 가졌다.
2002년 4월 30일에는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국영 이동통신 사업자인 펠레폰과 네이트 플랫폼과 단말 솔루션 및 콘텐츠 등을 포괄하는 무선 인터넷 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SK텔레콤은 이날 계약을 통해 네이트 운영 시스템뿐만 아니라, 국내 벤처업체들의 각종 솔루션을 패키지로 묶어 수출함으로써 대기업과 국내 벤처업체와의 해외진출 협력에 관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였다.
이처럼 세계 최고 수준읜 CDMA 관련 서비스 및 운영 기술을 동남아시아 각국에 수출함으로써 SK텔레콤은 아시아 이동전화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여 아시아 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굳혀 나갔다.
5.3. CDMA 국제 자동로밍 벨트 형성
2000년 9월 호주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쓰던 단말기와 전화번호를 그대로 외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자동 로밍 서비스를 시작한 SK텔레콤은 대상 국가를 점차 확대해가면서 고객의 편의를 증진시켰다. 2000년 10월 홍콩에 이어, 2000년 11월 일본 NTT도코모社와, 그리고 2001년 4월에는 일본 KDD社와 각각 자동 로밍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2001년 12월에는 캐나다의 탤러스모빌리티社와 뉴질랜드의 텔레콤모바일社와도 각각 CDMA 자동 로밍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서비스를 제고

키워드

sk,   텔레콤,   cdma,   글로벌,   ktf,   lgt,   lg,   skt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2.2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