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3장 역사의 발생
제7장 역사와 사실
제7장 역사와 사실
본문내용
제3장 역사의 발생
역사의 본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은 역사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서 역사란 말의 의미가 두 가지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 역시 두 가지 방향에서 볼 수 있는데 원초적 역사와 사실적 역사를 둘 수 있다.
1. 원초적 역사의 발생
(1)창조설
인간의 탄생에 있어서 고고학적 발견이 많이 모자라던 상태에서 나온 그럴듯한 회답은 바로 신에 의해 인간이 창조되었다는 이론, 즉 신에 의한 창조설이다. 창조설에는 기독교,인도,중국,기타 등의 창조설이 현재 전해지고 있다.
(2)진화론
우주의 탄생 - 코페르니쿠스, 캐플러, 갈릴레오, 뉴튼 등에 의한 우주에 대한 체계적 탐구
지동설 => 태양이 지구를 회전한다는 것이 아니라 지구는 행성의 하나로 자전하면서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우주관
무한 우주론 => 뉴톤은 만유인력 등 운동법칙으로 우주를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무한 우주론 주장(정적 우주론,정상우주론)
팽창우주론, 상대성이론 => 허블 등의 팽창우주론(동적 우주론, 유한 우주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보강
빅뱅 이론과 이를 보완한 인플레이션 이론 => 현대 우주론의 정설은 태초에 초고밀도의 입자가 대폭발을 일으키고(빅뱅,Big Bang)광속도로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이론과 이를 보완한 인플레이션 이론
지구의 탄생과 생명의 탄생 - 오늘날의 과학에서는 지구의 탄생을 약 45억년 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최초의 생물은 복잡하거나 정교한 것이 아닌 단세포 생물로 초기무렵 대기중에 수소원자를 많이 가진 단순한 분자가 포함. 이들 분자에 번개,태양의 자외선이 부딪쳐 분자가 분해. 분해 된 파편은 자연스럽게 재결합하여 더욱 더 복잡한 분자가 형성. 이런것이 대양의 물에 녹고, 대양의 물은 유기의 수프가 되며 분자가 생성 이후 DNA가 생성된다. 이때
돌연변이는 DNA가 복제 작업을 할 때 효소인 DNA 폴리메라제의 실수로 발생, 돌연변이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방사선, 자외선, 우주선, 환경속의 화학물질에 의해서도 발생 이렇게 하여 단백질이나 핵산이 만들어지고, 마침내 그것이 성장하여 자손을 만들수 있는것생물로 진화했다는 것
인간의 탄생과 힘든여정 - 45억년 전 지구 탄생, 35억년 전 생물 탄생 1억 5천만년 전 포유류 등장 7천만년 전 영장류 등장. 진화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남방의 원숭이)
호모 하빌리스(손재주 있는 사람) 호모 에렉투스(직립인)
호모사피엔스(지혜인) 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지혜 지혜인)
2)원초적 역사의 발생
우주나 지구, 생명체나 인간은 아주 오랜 동안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출현 하였고, 생명체와 인간이 오랫동안의 진화과정을 거쳐 왔다고 할때, 원초적 역사는 언제 발생했다고 보아야 하는가? ‘과거에 일어난 모든 일들’의 실제 주체가 인간이기 때문에 그 원초적 역사는 인간이 이 세상에 출현한 이후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현생인류건 고생인류건 모두 이 지구상에서 생활하였던 점에서, 우리가 현생인류의 후손이라 하여 고생인류가 남긴 일들을 원초적 역사에서 제외할 이유는 없다.
(1)양적 확대와 질적 전환
양적 확대는 고생 인류가 오늘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돌을 깨트려 만든 도구를 가지고 짐승을 사냥하는데, 어느날 돌로 만든 도구를 더 많이 가지고 더 많은 짐승을 사냥한다면, 이는 더 많은 도구로써 더 많은 짐승을 잡았지만, 기본 패턴 자체에 별 변화가 없는 이러한 변화를 일러 ‘양적 확대’라고 한다. 질적 전환은 돌로 만든 도구를 사용하다가 어느날 갑자기 금속으로 무기와 도구를 만든다면 이 역시 대단한 변화인데 이런 것처럼 이러한 변화가 어느날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말하자면 이처럼 종
역사의 본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은 역사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서 역사란 말의 의미가 두 가지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 역시 두 가지 방향에서 볼 수 있는데 원초적 역사와 사실적 역사를 둘 수 있다.
1. 원초적 역사의 발생
(1)창조설
인간의 탄생에 있어서 고고학적 발견이 많이 모자라던 상태에서 나온 그럴듯한 회답은 바로 신에 의해 인간이 창조되었다는 이론, 즉 신에 의한 창조설이다. 창조설에는 기독교,인도,중국,기타 등의 창조설이 현재 전해지고 있다.
(2)진화론
우주의 탄생 - 코페르니쿠스, 캐플러, 갈릴레오, 뉴튼 등에 의한 우주에 대한 체계적 탐구
지동설 => 태양이 지구를 회전한다는 것이 아니라 지구는 행성의 하나로 자전하면서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우주관
무한 우주론 => 뉴톤은 만유인력 등 운동법칙으로 우주를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무한 우주론 주장(정적 우주론,정상우주론)
팽창우주론, 상대성이론 => 허블 등의 팽창우주론(동적 우주론, 유한 우주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보강
빅뱅 이론과 이를 보완한 인플레이션 이론 => 현대 우주론의 정설은 태초에 초고밀도의 입자가 대폭발을 일으키고(빅뱅,Big Bang)광속도로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이론과 이를 보완한 인플레이션 이론
지구의 탄생과 생명의 탄생 - 오늘날의 과학에서는 지구의 탄생을 약 45억년 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최초의 생물은 복잡하거나 정교한 것이 아닌 단세포 생물로 초기무렵 대기중에 수소원자를 많이 가진 단순한 분자가 포함. 이들 분자에 번개,태양의 자외선이 부딪쳐 분자가 분해. 분해 된 파편은 자연스럽게 재결합하여 더욱 더 복잡한 분자가 형성. 이런것이 대양의 물에 녹고, 대양의 물은 유기의 수프가 되며 분자가 생성 이후 DNA가 생성된다. 이때
돌연변이는 DNA가 복제 작업을 할 때 효소인 DNA 폴리메라제의 실수로 발생, 돌연변이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방사선, 자외선, 우주선, 환경속의 화학물질에 의해서도 발생 이렇게 하여 단백질이나 핵산이 만들어지고, 마침내 그것이 성장하여 자손을 만들수 있는것생물로 진화했다는 것
인간의 탄생과 힘든여정 - 45억년 전 지구 탄생, 35억년 전 생물 탄생 1억 5천만년 전 포유류 등장 7천만년 전 영장류 등장. 진화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남방의 원숭이)
호모 하빌리스(손재주 있는 사람) 호모 에렉투스(직립인)
호모사피엔스(지혜인) 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지혜 지혜인)
2)원초적 역사의 발생
우주나 지구, 생명체나 인간은 아주 오랜 동안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출현 하였고, 생명체와 인간이 오랫동안의 진화과정을 거쳐 왔다고 할때, 원초적 역사는 언제 발생했다고 보아야 하는가? ‘과거에 일어난 모든 일들’의 실제 주체가 인간이기 때문에 그 원초적 역사는 인간이 이 세상에 출현한 이후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현생인류건 고생인류건 모두 이 지구상에서 생활하였던 점에서, 우리가 현생인류의 후손이라 하여 고생인류가 남긴 일들을 원초적 역사에서 제외할 이유는 없다.
(1)양적 확대와 질적 전환
양적 확대는 고생 인류가 오늘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돌을 깨트려 만든 도구를 가지고 짐승을 사냥하는데, 어느날 돌로 만든 도구를 더 많이 가지고 더 많은 짐승을 사냥한다면, 이는 더 많은 도구로써 더 많은 짐승을 잡았지만, 기본 패턴 자체에 별 변화가 없는 이러한 변화를 일러 ‘양적 확대’라고 한다. 질적 전환은 돌로 만든 도구를 사용하다가 어느날 갑자기 금속으로 무기와 도구를 만든다면 이 역시 대단한 변화인데 이런 것처럼 이러한 변화가 어느날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말하자면 이처럼 종
추천자료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역사인식 - 해동역사와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교육의 역사와 철학 텀페이퍼]교육의 역사의 변천에 따른 교육방법의 변화와 미래사회
(역사이야기)10장 역사인식을 위한 구분법
역사이야기) 실증주의와 현재주의, 역사주의와 상대주의
(역사이야기) 제 8장 실증주의와 현재주의 ,제 10장 역사 인식을 위한 구분법 요약 비평
[태권도, 태권도역사] 태권도의 역사와 정신 및 특징 - 태권도의 유래와 기원, 본질, 태권도 ...
(역교론)역사교과교육론_역사교육의 이해_ 1장 총정리
[성교육][성교육 역사][성교육 중요성][성교육 기본지침][스웨덴 성교육 사례]성교육의 목적,...
분식과 패스트푸드 - 분식의 역사, 패스트푸드의 역사, 분식과 패스트푸드에 대한 이해 및 나...
중국 일본관계-중일역사문제(역사인식, 야스쿠니신사 참배),영토분쟁(센카쿠열도),대만문제
잊지 말아야 할 일본의 역사왜곡과 현실 - 현대 사회에서의 일본의 대외 정치적 만행과 진상...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 의례, 계급, 공동체 -
[역사서] 하워드의 구약 역사서 개론을 읽고 다음 각 문제에 대하여 100 단어로 답하라. 자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