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論
Ⅱ. JIT생산시스템의 槪念
1. JIT생산시스템의 意義
2. JIT생산시스템의 構造
3. JIT와 TQC
4. JIT시스템과 MRP시스템의 비교
Ⅲ. JIT 생산시스템의 導入方案
1. JIT시스템의 도입절차
2. JIT시스템의 先行條件
3. JIT시스템의 도입효과
4. 국내기업의 JIT시스템 도입방안
Ⅳ. 結論
Ⅱ. JIT생산시스템의 槪念
1. JIT생산시스템의 意義
2. JIT생산시스템의 構造
3. JIT와 TQC
4. JIT시스템과 MRP시스템의 비교
Ⅲ. JIT 생산시스템의 導入方案
1. JIT시스템의 도입절차
2. JIT시스템의 先行條件
3. JIT시스템의 도입효과
4. 국내기업의 JIT시스템 도입방안
Ⅳ. 結論
본문내용
는 구조를 가지며 공장관리의 모든 분야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롯트크기의 결정, 일정계획, 품질, 건물내 배치, 노사관계 등 관련되지 않는 부문이 없다. JIT시스템의 궁극적 목표는 투자수익의 증가에 있다. 또, 제품인도시간이 단축되므로 서비스가 향상되고 고객의 요구에 대한 반응도 빨라진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져야 할 부분은 작업자와 경영자의 문제 해결활동이 전체 시스템을 이끌고 있다는 점이다.
JIT를 구성하는 요소는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⑴ 생산의 평균성(Smoothing of Production)
생산의 평균성는 작업의 흐름에 있어서 생산되는 제품의 양과 종류가 평균치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원과 장비의 할당은 최대작업량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므로, 만일 불필요한 여분의 인원과 장비의 투입이 생기면 과잉재고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JIT생산시스템이 적절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한 공정에서 또 다른 공정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양, 완전조화상태의 균형된 작업흐름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JIT생산시스템에서 主日程(master schedule)은 작업장과 납품업자들이 그들의 작업일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생산과 구매의 조달기간에 따라 1~3개월전에 수립되어야 한다. 특정 月의 主日程은 日間生産量을 기준으로 평균화 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생산의 평균화에 의해 생산라인은 특정의 제품을 큰 롯트量으로 제조하는 것보다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품을 매일 동시에 생산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日日의 수요변동에 적합한 생산이 가능하며 또 과잉재고도 없게 된다.
⑵ 간판방식(kanban system)
JIT생산시스템의 운용기법중 가장 대표적이고 독특한 것이 간판 시스템이다. 간판시스템은 JIT시스템에서 생산허가와 자재이동에 사용되는 방식인데 간판의 목적은 부품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고 그 부품들이 후공정의 조립을 위해 알맞은 시간에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공정에서의 생산량을 균형있게 통제하는 정보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⑶ 작업자의 다기능화(multifunctional workers)
JIT시스템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기능 작업자의 존재가 중요하다.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한 대 이상의 기계사이를 오가면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JIT시스템은 단지 요구된 부품만 생산하기 때문에 기계와 사람은 遊休하기 쉽다. 그러므로 노동자들의 몇가지 상이한 기계를 조작하는 훈련을 하여 遊休한 노동자들이 다른 기계로 옮겨져서 유휴한 노동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다기능을 가진 인력으로 바꾸려면 임금지불 및 보상의 방법이 변경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年功序列이나 기술수준에 대한 급료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할 수 있는 상이한 일의 수에 따라 보상을 해주는 새로운 급여체계가 필요하다.
작업자는 언제나 기계가동을 준비하고, 보전을 행하여야 하고 또한 부품을 검사하여야만 한다. 작업자들은 미리 준비되어 있는 교육과정에서 다기능훈련에 의해 교육을 받고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니게 된다. 이들 제도는 공정의 흐름을 진행하는데도 효율적이며 작업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수요변동에 적응하기 위해 작업현장의 작업자수에 柔軟性을 갖게 하는 것을 JIT에서는 「少數人化」라고 부른다. 「少數人化」는 생산 수요가 변동될 때 작업현장의 작업자수도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적절한 기계레이아웃의 설계, 다기능공의 존재, 표준 작업조합의 계속적인 재평가와 정기적인 개정의 전제조건을 필요로 한다.
JIT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즉, 少數人化를 위한 설비의 배치(lay out)는 전공정과 후공정이 연결되도록 하고, 가능한 한 공정간의 거리를 최소로 만든다. 또한 필요에 따라 ‘U\'字(U Line System)나 ‘J\'字(J Line System)형태의 공정배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각 작업자가 갖는 작업의 범위를 넓히거나 좁히는 것이 대단히 용이하나 이런 배치가 충분히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다기능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도요타(Toyota)자동차회사에서는 다기능공을 회사 특유의 직무순환을 통해 양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다기능작업시스템을 확립함으로써 작업자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증가되고 직무확대(job enlargement) 및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를 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모든 조직구성원들간에 참여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작업현장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문제해결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JIT시스템에서는 품질관리서클과 제안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⑷ 생산준비시간과 롯트크기의 감축
생산준비시간(set up time)의 단축은 쓸 수 있는 생산능력을 증가시키고 일정변경과 같은 신축성을 늘려주며 재고의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게 취급된다. 전통적인 반복적 대량생산시스템에서는 단위당 생산시간의 단축에 중점이 주어지고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에는 크게 신경을 쓸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다양한 제품에 대한 요구가 커진 오늘에 와서는 생산준비기간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취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주문받는 대부분의 수출품이 생산관리가 힘든 多品種小量品들이므로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을 전체 생산원가를 줄이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생산준비시간의 단축과 롯트크기의 감축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Monden(1983)은 생산준비시간을 감축하기 위한 4가지 개념과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6가지 기법을 다음과 같이 명시하였다. 먼저 생산준비시간 단축을 위한 4가지 개념은 첫째, 내부작업준비(internal setup)와 외부작업준비(external setup)을 분리한다. 내부작업준비란 불가피하게 기계를 정지시켜야만 하는 작업준비행동으로 압연로울러의 교환이 예가 될 수 있다.
둘째, 가능한 한 내부작업준비를 외부작업준비로 전환한다.
셋째, 조정과정(adjustment process)을 제거한다. 한계 스위치(lumit witch)를 100㎜에서 150㎜로
JIT를 구성하는 요소는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⑴ 생산의 평균성(Smoothing of Production)
생산의 평균성는 작업의 흐름에 있어서 생산되는 제품의 양과 종류가 평균치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원과 장비의 할당은 최대작업량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므로, 만일 불필요한 여분의 인원과 장비의 투입이 생기면 과잉재고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JIT생산시스템이 적절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한 공정에서 또 다른 공정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양, 완전조화상태의 균형된 작업흐름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JIT생산시스템에서 主日程(master schedule)은 작업장과 납품업자들이 그들의 작업일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생산과 구매의 조달기간에 따라 1~3개월전에 수립되어야 한다. 특정 月의 主日程은 日間生産量을 기준으로 평균화 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생산의 평균화에 의해 생산라인은 특정의 제품을 큰 롯트量으로 제조하는 것보다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품을 매일 동시에 생산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日日의 수요변동에 적합한 생산이 가능하며 또 과잉재고도 없게 된다.
⑵ 간판방식(kanban system)
JIT생산시스템의 운용기법중 가장 대표적이고 독특한 것이 간판 시스템이다. 간판시스템은 JIT시스템에서 생산허가와 자재이동에 사용되는 방식인데 간판의 목적은 부품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고 그 부품들이 후공정의 조립을 위해 알맞은 시간에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공정에서의 생산량을 균형있게 통제하는 정보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⑶ 작업자의 다기능화(multifunctional workers)
JIT시스템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기능 작업자의 존재가 중요하다.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한 대 이상의 기계사이를 오가면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JIT시스템은 단지 요구된 부품만 생산하기 때문에 기계와 사람은 遊休하기 쉽다. 그러므로 노동자들의 몇가지 상이한 기계를 조작하는 훈련을 하여 遊休한 노동자들이 다른 기계로 옮겨져서 유휴한 노동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다기능을 가진 인력으로 바꾸려면 임금지불 및 보상의 방법이 변경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年功序列이나 기술수준에 대한 급료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할 수 있는 상이한 일의 수에 따라 보상을 해주는 새로운 급여체계가 필요하다.
작업자는 언제나 기계가동을 준비하고, 보전을 행하여야 하고 또한 부품을 검사하여야만 한다. 작업자들은 미리 준비되어 있는 교육과정에서 다기능훈련에 의해 교육을 받고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니게 된다. 이들 제도는 공정의 흐름을 진행하는데도 효율적이며 작업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수요변동에 적응하기 위해 작업현장의 작업자수에 柔軟性을 갖게 하는 것을 JIT에서는 「少數人化」라고 부른다. 「少數人化」는 생산 수요가 변동될 때 작업현장의 작업자수도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적절한 기계레이아웃의 설계, 다기능공의 존재, 표준 작업조합의 계속적인 재평가와 정기적인 개정의 전제조건을 필요로 한다.
JIT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즉, 少數人化를 위한 설비의 배치(lay out)는 전공정과 후공정이 연결되도록 하고, 가능한 한 공정간의 거리를 최소로 만든다. 또한 필요에 따라 ‘U\'字(U Line System)나 ‘J\'字(J Line System)형태의 공정배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각 작업자가 갖는 작업의 범위를 넓히거나 좁히는 것이 대단히 용이하나 이런 배치가 충분히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다기능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도요타(Toyota)자동차회사에서는 다기능공을 회사 특유의 직무순환을 통해 양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다기능작업시스템을 확립함으로써 작업자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증가되고 직무확대(job enlargement) 및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를 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모든 조직구성원들간에 참여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작업현장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문제해결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JIT시스템에서는 품질관리서클과 제안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⑷ 생산준비시간과 롯트크기의 감축
생산준비시간(set up time)의 단축은 쓸 수 있는 생산능력을 증가시키고 일정변경과 같은 신축성을 늘려주며 재고의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게 취급된다. 전통적인 반복적 대량생산시스템에서는 단위당 생산시간의 단축에 중점이 주어지고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에는 크게 신경을 쓸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다양한 제품에 대한 요구가 커진 오늘에 와서는 생산준비기간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취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주문받는 대부분의 수출품이 생산관리가 힘든 多品種小量品들이므로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을 전체 생산원가를 줄이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생산준비시간의 단축과 롯트크기의 감축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Monden(1983)은 생산준비시간을 감축하기 위한 4가지 개념과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6가지 기법을 다음과 같이 명시하였다. 먼저 생산준비시간 단축을 위한 4가지 개념은 첫째, 내부작업준비(internal setup)와 외부작업준비(external setup)을 분리한다. 내부작업준비란 불가피하게 기계를 정지시켜야만 하는 작업준비행동으로 압연로울러의 교환이 예가 될 수 있다.
둘째, 가능한 한 내부작업준비를 외부작업준비로 전환한다.
셋째, 조정과정(adjustment process)을 제거한다. 한계 스위치(lumit witch)를 100㎜에서 150㎜로
추천자료
제조 환경 변화에 따른 원가 계산 시스템
국내 농축산물 브랜드 신인도 강화를 위한 생산이력제 전략
최고정보 책임자 CIO(Chief Information Officer)의 역할과 정보시스템 이용 전략
지식관리시스템(KMS, 지식경영)의 의미와 특성, 지식관리시스템(KMS, 지식경영)의 구성요소와...
[지식경영시스템][KMS]지식관리시스템(지식경영, KMS)의 개념, 지식관리시스템(지식경영, KMS...
지식관리시스템(KMS, 지식경영)의 정의와 구성요소, 지식관리시스템(KMS, 지식경영)의 기능과...
채플린이 본 도요타생산방식의 문제점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의 개념과 배경,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의 계획, 국가지리정보시...
다국적 기업의 생산관리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전사적 자원관리의 의의와 특성 및 구조, 발전과정,ERP 시스템의 구조
e-ERP(전사적 자원관리)의 출현배경(개념, 정의, 발전단계)과 목적 및 구축방법, e-ERP시스템...
(1)ERP의 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e-비즈니스 시스템] e-비즈니스 설계의 개념, e-비즈니스 설계의 요소, 사업범위, 구축실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