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박수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박수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출발전이나 권투 선수들이 링위에 올라가기 전에는 심박수가 증가한다. 즉 정신흥분만으로도 심박수가 증가하는데 이것을 대뇌피질이나 간뇌의 자극이 심장조절중추를 움직이기 때문이다.
운동시 순환계의 반응
운동시 순환계의 주요 기능은 활동근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것이다.. 혈액공급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해주며 대사성 부산물을 제거하게 된다. 운동을 장시간 수행할 경우 순환계는 과도한 열의 발생을 방지하여 체온ㅇ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도음을 준다. 체내의 상호 복합적인 작용은 순환계의 이러한 적응이 적절하고 포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1) 심박수
심박수는 가장 간단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순환계의 기능과 관련된 변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안정시 심박수는 60-80회/분의 범위를 나타낸다. 심박수는 요골동맥혹은 경동맥에서 15초 동안 회수를 측정하여 4를 곱하면 분당 심박수를 얻을수 있다. 심박수의 정방법은 그림 4-10에서 나타난 바와 같다. 운동을 거의 실시하지 않은 좌위생활자는 안정시 심박수가 100회/분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지구성 트레이닝을 실시한 운동선수들은 28-40회/분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가장 낮은 심박수를 나타낸다. 앉아서 측정할 경우에는 다소 증가하며 서있는 상태에서 가장 낮은 심박수를 나타낸다. 앉아서 측정할 경우에는 다소 증가하며 서있는 상태에서는 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중력의 영향으로서 누운산태보다 서 있는상태가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혈액의 양이 적어서 1회 박출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때 심박수가 증가하여 심박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심박출량은 심박수와 1회 박출량을 곱하여 얻게 된다.
안정시 심박수는 연령과 호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하면 심박수는 감소하며 고온과 고지대에서는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심리적인 영향으로서 예상반응으로 불리우며 자율신경계와 부신수질의 영향으로 카테콜라민이 분비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정시 심박수는 아침 일찌기 잠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의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측정된 것이다. 따라서 운동시작 전의 심박수는 정확한 안정시심박수가 아니다. 운동중에는 운동가동가 증가하면서 심박수도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관련성이 그림 4-11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림에서 살펴보면 운동강도와 산솟섭취량이 직선적인 비례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산소섭취량에 의해서 운동강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자전거에르고미터운동시 운동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개 때문에 주어진 운동강도에서의 산소섭취량 예측이 가능해지며 개인차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산서섭취량을 이용하여 운동강도나 수준을 나타내는 것은 거의 정확하며 다른 개인과 혹은 다른 환경조건에서의 결과와 상대적 비교가 가능해진다. 그림 4-11에서 살펴보면 심박수는 오나전히 지치는 수준 직전까지는 거의 직선적인 비례관계의 증가를 나타낸다. 탈진 상태 수준으로 접근하면서 심박수는 고원현상을 타내며 이는 거의 최대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2.25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