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윤동주의 Profile 과 인간 윤동주
2. 윤동주의 대표적 작품소개
(1). ‘자화상’과 작품분석
(2). ‘별 헤는 밤’과 작품분석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시가 쓰여진 외적인 배경, 상황]
[작품소개]
[작품해석]
[작품론 & 작가론]
(3). ‘서시’와 작품분석
<시어>
<감상의 초점>
<해설>
<기독교적심상>
(4). ‘참회록’과 작품분석
<시어정리>
<이 시를 썼을 당시 윤동주의 현실상황>
<중심시어인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5). ‘쉽게 씌어진 시’
3. '윤동주의 시'의 가치
4. 윤동주와 동시대를 살았던 친일시인(서정주)과의 비교
- 자료 출처 -
2. 윤동주의 대표적 작품소개
(1). ‘자화상’과 작품분석
(2). ‘별 헤는 밤’과 작품분석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시가 쓰여진 외적인 배경, 상황]
[작품소개]
[작품해석]
[작품론 & 작가론]
(3). ‘서시’와 작품분석
<시어>
<감상의 초점>
<해설>
<기독교적심상>
(4). ‘참회록’과 작품분석
<시어정리>
<이 시를 썼을 당시 윤동주의 현실상황>
<중심시어인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5). ‘쉽게 씌어진 시’
3. '윤동주의 시'의 가치
4. 윤동주와 동시대를 살았던 친일시인(서정주)과의 비교
- 자료 출처 -
본문내용
윤동주의 삶과 시
목차
1. 윤동주의 Profile 과 인간 윤동주
2. 윤동주의 대표적 작품소개
(1). ‘자화상’과 작품분석
(2). ‘별 헤는 밤’과 작품분석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시가 쓰여진 외적인 배경, 상황]
[작품소개]
[작품해석]
[작품론 & 작가론]
(3). ‘서시’와 작품분석
<시어>
<감상의 초점>
<해설>
<기독교적심상>
(4). ‘참회록’과 작품분석
<시어정리>
<이 시를 썼을 당시 윤동주의 현실상황>
<중심시어인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5). ‘쉽게 씌어진 시’
3. \'윤동주의 시\'의 가치
4. 윤동주와 동시대를 살았던 친일시인(서정주)과의 비교
- 자료 출처 -
1. 윤동주의 Profile과 인간 윤동주
1917년(1세)
12월 30일 만주국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출생.
아명은 해환.
1925년(9세)
4월 4일 만주국 간도성 화룡현에 있는 명동 소학교에 입학.
1932년(16세)
4월, 캐나다 선교부가 경영하는 미션계 은진중학교에 입학
이때부터 \'윤동주\'라는 이름으로 불림
1934년(18세)
12월 24일, \'삶과 죽음\' \'초 한 대\' \'내일은 없다\' 세 편의 시작품을 씀.
이날 이후 모든 작품에 시를 쓴 날짜를 명기
1935년(19세)
평양 숭실중학교 3학년에 편입
1938년(22세)
서울 연희전문 문과에 송몽규와 함께 입학
1939년(23세)
9월 \'자화상\'을 씀
1941년(25세)
11월 5일에는 \'별 헤는 밤\'을, 11월 20일에는 \'서시\'를 씀
1942년(26세)
도쿄 릿쿄 대학 영문과에 입학, 10월 1일에는 교토 도시샤 대학 영문과에 편입
\'참회록\' \'쉽게 쓰여진 시\'를 지음
1943년(27세)
송몽규와 함께 독립운동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
1945년(29세)
2월 16일, 큐슈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
*기독교 신자로서의 윤동주
윤동주를 기독교의 시인이라고 하기는 쉽다. 그는 기독교인이었고 그 다난한 박해의 시절에 그는 기독교인으로서 부끄러움이 없이 살다 갔다.
윤동주의 시중 ‘팔복’은 마태복음 5장 3~12절이란 부제를 붙여 놓고 같은 시행을 여덟 번 반복해서 [슬픈지=복 받는 자]를 강조하며, 비극의 전화위복, 조국의 미래에 대한 희망, 슬픈자는 복받고, 슬프게 하는 자는 영원히 슬퍼진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기도 했다.
윤동주에 있어서 산상복음[마태복음 5장 3~12절의 내용을 뜻함]은 권위의 거리에서 내려진 선고이자 위무에 다름 아
목차
1. 윤동주의 Profile 과 인간 윤동주
2. 윤동주의 대표적 작품소개
(1). ‘자화상’과 작품분석
(2). ‘별 헤는 밤’과 작품분석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시가 쓰여진 외적인 배경, 상황]
[작품소개]
[작품해석]
[작품론 & 작가론]
(3). ‘서시’와 작품분석
<시어>
<감상의 초점>
<해설>
<기독교적심상>
(4). ‘참회록’과 작품분석
<시어정리>
<이 시를 썼을 당시 윤동주의 현실상황>
<중심시어인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5). ‘쉽게 씌어진 시’
3. \'윤동주의 시\'의 가치
4. 윤동주와 동시대를 살았던 친일시인(서정주)과의 비교
- 자료 출처 -
1. 윤동주의 Profile과 인간 윤동주
1917년(1세)
12월 30일 만주국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출생.
아명은 해환.
1925년(9세)
4월 4일 만주국 간도성 화룡현에 있는 명동 소학교에 입학.
1932년(16세)
4월, 캐나다 선교부가 경영하는 미션계 은진중학교에 입학
이때부터 \'윤동주\'라는 이름으로 불림
1934년(18세)
12월 24일, \'삶과 죽음\' \'초 한 대\' \'내일은 없다\' 세 편의 시작품을 씀.
이날 이후 모든 작품에 시를 쓴 날짜를 명기
1935년(19세)
평양 숭실중학교 3학년에 편입
1938년(22세)
서울 연희전문 문과에 송몽규와 함께 입학
1939년(23세)
9월 \'자화상\'을 씀
1941년(25세)
11월 5일에는 \'별 헤는 밤\'을, 11월 20일에는 \'서시\'를 씀
1942년(26세)
도쿄 릿쿄 대학 영문과에 입학, 10월 1일에는 교토 도시샤 대학 영문과에 편입
\'참회록\' \'쉽게 쓰여진 시\'를 지음
1943년(27세)
송몽규와 함께 독립운동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
1945년(29세)
2월 16일, 큐슈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
*기독교 신자로서의 윤동주
윤동주를 기독교의 시인이라고 하기는 쉽다. 그는 기독교인이었고 그 다난한 박해의 시절에 그는 기독교인으로서 부끄러움이 없이 살다 갔다.
윤동주의 시중 ‘팔복’은 마태복음 5장 3~12절이란 부제를 붙여 놓고 같은 시행을 여덟 번 반복해서 [슬픈지=복 받는 자]를 강조하며, 비극의 전화위복, 조국의 미래에 대한 희망, 슬픈자는 복받고, 슬프게 하는 자는 영원히 슬퍼진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기도 했다.
윤동주에 있어서 산상복음[마태복음 5장 3~12절의 내용을 뜻함]은 권위의 거리에서 내려진 선고이자 위무에 다름 아
키워드
추천자료
장길산의 작가 황석영의 삶과 작품 세계
이육사의 사상과 정신, 시 세계
[문학사]황지우 시세계 연구-1980년대를 중심으로
[백석] 백석의 생애와 문학-시인 백석, 백석 시분석-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를 읽고 - 어두운 시대 한 젊은 지성인의 고뇌와 기독교적 승화
군사화와 여성, 탈군사화가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
방랑하는 신경림의 삶과 문학
[일상생활과 생존권][삶의 질과 일상생활][삶의 질 향상과 정부][기업][개인][기업교육과 일...
고전시가와 현대가요 속 여성의 삶
[교육학 학습 지도안, 행복한 삶과 교육 수업지도안]
삶의 맥락에서의 유아교육과정 탐구
해방전후기 백범김구와 농민의 삶 고찰
김금원(金錦園)의 삶과 작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