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며
줄거리
특정 장면 살펴보기
영화의 주요 모티브가 갖는 의미
촬영상의 특징
1. 제목
2. 아름다운 화면
3. 롱테이크
4. 색채감
마치며
- 참고문헌 -
줄거리
특정 장면 살펴보기
영화의 주요 모티브가 갖는 의미
촬영상의 특징
1. 제목
2. 아름다운 화면
3. 롱테이크
4. 색채감
마치며
- 참고문헌 -
본문내용
. 미군 밧줄 때문에 아이들은 그 시체가 창희라고 생각하고 장례식을 치르고 야산에 빈 관을 묻어 창희의 무덤을 만들어준다.
미군 부대에서 물자를 빼돌려 부를 축적한 최씨는 큰집으로 이사를 하지만 미군들에게 적발되어 전신에 빨간 페인트를 뒤집어 쓴 채 쫓겨난다. 빨갱이라고 놀리는 아이들의 조롱 속에 비틀대며 걸어가는 아버지를 멀리서 지켜보던 성민은 아버지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되찾는다. 미군들의 또 다른 보복이 두려워 최씨 일가는 서둘러 마을을 떠난다. 새벽에 마을을 떠나는 최씨는 끈질긴 탐문 끝에 최씨와 아내의 비리를 알게 된 송씨의 싸늘한 눈빛을 외면한다. 이삿짐이 가득한 소달구지 위에 만삭이 된 영숙을 태우고 최씨 일가는 새로운 삶의 희망을 찾아 마을을 떠난다.
특정 장면 살펴보기
선생님이 치는 풍금소리에 맞추어 \'고향의 봄\'을 부르던 아이들은 \'울긋불긋 꽃대궐\'에서 틀린다. 그 시절은 울긋불긋한 꽃대궐이 아님을, 아름다운 시절이 아님을 나타낸다.
간이 천막 교실에서의 책읽기는 미국의 발달된 문명(근대성)은 자랑거리로서 우리가 이루어야 할 목표의 기준이 된다는 걸 나타낸다.
아이들의 천진스런 놀이와 방앗간에서의 정사들은 아이들이 갖는 희망과 어른들의 치욕스런 삶의 대비를 나타낸다.
넓은 공터에 널려있는 염색된 미군 군복은 우리의 영토를 이미 잠식한 미국과 그를 발판으로 부를 축적하는 성민네 가족의 어두운 욕망을 상징한다.
방앗간의 화재와 창희의 가출은 미국에게 반항하고서는 이 땅에 살 수 없음을 나타낸다.
미군 밧줄에 칭칭 매여진 채 발견된 아이의 시체는 미군에게 칭칭 동여 매여진 우리의 현실을 나타낸다.
마을에서 떨어져 움막에 사는 상언네는 공산 국가에 대한 배척과 소외를 나타내고 있다.
영숙의 사생아(혼혈) 임신과 미군에게서의 버림받음은 강력한 본국(미국)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식민지 국가의 또 하나의 식민지가 여성이라는 걸 나타낸다.
성민이가 마을을 떠나기 전 창희 무덤에 망원경 놓기는 성민의 눈을 통한 바라보기의 끝을 나타낸다.
영화의 주요 모티브가 갖는 의미
1. 망원경 : 성민이가 늘 걸고 다니는 망원경과 창희가 미군의 지프차에서 훔친 망원경의 의미는 암울했던 지난 시절의 들여다보기를 상징한다. 여기서는 들여다보기, 멀리 내다보기, 내려다보기, 바라보기, 훔쳐보기가 다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현재의 관객과 그 시절과의 거리두기를 나타낸다.
2. 초콜릿 : 미군의 지프차를
미군 부대에서 물자를 빼돌려 부를 축적한 최씨는 큰집으로 이사를 하지만 미군들에게 적발되어 전신에 빨간 페인트를 뒤집어 쓴 채 쫓겨난다. 빨갱이라고 놀리는 아이들의 조롱 속에 비틀대며 걸어가는 아버지를 멀리서 지켜보던 성민은 아버지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되찾는다. 미군들의 또 다른 보복이 두려워 최씨 일가는 서둘러 마을을 떠난다. 새벽에 마을을 떠나는 최씨는 끈질긴 탐문 끝에 최씨와 아내의 비리를 알게 된 송씨의 싸늘한 눈빛을 외면한다. 이삿짐이 가득한 소달구지 위에 만삭이 된 영숙을 태우고 최씨 일가는 새로운 삶의 희망을 찾아 마을을 떠난다.
특정 장면 살펴보기
선생님이 치는 풍금소리에 맞추어 \'고향의 봄\'을 부르던 아이들은 \'울긋불긋 꽃대궐\'에서 틀린다. 그 시절은 울긋불긋한 꽃대궐이 아님을, 아름다운 시절이 아님을 나타낸다.
간이 천막 교실에서의 책읽기는 미국의 발달된 문명(근대성)은 자랑거리로서 우리가 이루어야 할 목표의 기준이 된다는 걸 나타낸다.
아이들의 천진스런 놀이와 방앗간에서의 정사들은 아이들이 갖는 희망과 어른들의 치욕스런 삶의 대비를 나타낸다.
넓은 공터에 널려있는 염색된 미군 군복은 우리의 영토를 이미 잠식한 미국과 그를 발판으로 부를 축적하는 성민네 가족의 어두운 욕망을 상징한다.
방앗간의 화재와 창희의 가출은 미국에게 반항하고서는 이 땅에 살 수 없음을 나타낸다.
미군 밧줄에 칭칭 매여진 채 발견된 아이의 시체는 미군에게 칭칭 동여 매여진 우리의 현실을 나타낸다.
마을에서 떨어져 움막에 사는 상언네는 공산 국가에 대한 배척과 소외를 나타내고 있다.
영숙의 사생아(혼혈) 임신과 미군에게서의 버림받음은 강력한 본국(미국)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식민지 국가의 또 하나의 식민지가 여성이라는 걸 나타낸다.
성민이가 마을을 떠나기 전 창희 무덤에 망원경 놓기는 성민의 눈을 통한 바라보기의 끝을 나타낸다.
영화의 주요 모티브가 갖는 의미
1. 망원경 : 성민이가 늘 걸고 다니는 망원경과 창희가 미군의 지프차에서 훔친 망원경의 의미는 암울했던 지난 시절의 들여다보기를 상징한다. 여기서는 들여다보기, 멀리 내다보기, 내려다보기, 바라보기, 훔쳐보기가 다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현재의 관객과 그 시절과의 거리두기를 나타낸다.
2. 초콜릿 : 미군의 지프차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