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기업 소개
2. 농심‘신라면’사례 선정 이유
3. 중국 진출 현황
Ⅱ. 본 론
1. 농심 ‘신라면’의 중국진출 계기
2. 신라면의 중국진출 전략 분석
(1) 농심 신라면이 Target으로 삼은 Market 분석
(2) 진출 초기의 마케팅 전략
(3) 농심 신라면의 마케팅 전략 3요소 집중 분석
(4) 신라면 중국시장의 SPT
(5) 신라면 중국시장의 SWOT
(6) 신라면 중국시장의 4P
(7) 현재 농심 ‘신라면’의 마케팅 전략
3. 삼양라면 중국진출 실패 원인
Ⅲ. 결 론
1. 향후 전략
2. 결론
※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기업 소개
2. 농심‘신라면’사례 선정 이유
3. 중국 진출 현황
Ⅱ. 본 론
1. 농심 ‘신라면’의 중국진출 계기
2. 신라면의 중국진출 전략 분석
(1) 농심 신라면이 Target으로 삼은 Market 분석
(2) 진출 초기의 마케팅 전략
(3) 농심 신라면의 마케팅 전략 3요소 집중 분석
(4) 신라면 중국시장의 SPT
(5) 신라면 중국시장의 SWOT
(6) 신라면 중국시장의 4P
(7) 현재 농심 ‘신라면’의 마케팅 전략
3. 삼양라면 중국진출 실패 원인
Ⅲ. 결 론
1. 향후 전략
2. 결론
※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대회인데 지난 10월에 베이징,11월 서울에서 1,2차 대회가 열렸고 2002년 2월 상하이에서 결승전이 열렸다. 이 대회는 <베이징 TV>에서 생방송, 녹화 방송해 신라면의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소비자에게 알리고 있다. 중국인들에게 유난히 인기가 많은 이창호 9단 등의 한국 바둑 스타들도 농심의 마케팅에 한 몫을 하고 있다.
2) 한류 열풍을 이용한 스타 마케팅의 최적화
중국에 불어 닥친 한류(韓流)열풍은 신라면의 마케팅 전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이 사실이다. 구체적인 한 예로 중국 10대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최고의 아이돌 스타 HOT를 내세워 농심 홍보용 포스터를 제작,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단순한 한국기업의 홍보활동보다는 보다 더 친숙한 한국 스타들의 모습을 이용한 광고전략이 훨씬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사나이 울리는 辛라면! 형님먼저 아우먼저! 얼큰한 안성탕면 내 입에 안성맞춤 등과 같이 농심의 국내 광고는 그 동안 다른 업체와 달리 스타를 기용하지 않고도 독특한 친근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으로 유명했다. 제품과 광고의 컨셉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메시지 위주의 내용은 국내에서 농심의 브랜드가 확실하게 구축된 상태였기 때문에 효과적인 광고 방법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농심은 중국인들의 시선을 확실히 끌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국내에서의 광고전략과는 달리 유명한 한국 스타들을 광고모델로 선택하여 보다 더 적극적인 홍보 활동에 전력을 기울였다.
3)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대대적 홍보 전략
중국인들이 가장 애용하는 교통수단은 버스이다. 농심은 이 와 같은 사실을 포착하여 상하이와 베이징의 버스에 대대적 인 홍보 전략을 펼쳤다. 그 동안 보아오던 버스 내 작은 광고 문구가 아니라 버스 한 대를 완전히 \"신라면 버스\" 化하여 신 라면 특유의 정열적인 붉은 색상으로 버스 전체 를 꾸민 것이 다. 한국에서도 보기 힘든 이러한 광고 전략은 중국인들의 기억 속에 신라면의 이미지를 보다 더 친근하게 느끼도록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중국인을 위한 중국어 버전 홈페이지 개설
농심사이트(www.nongshim.co.kr) 에 들어가면 중국어와 일본어 버전 홈페이지가 따로 개
설되어 있다. 농심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함께 각 제품의 원료와 고객지원과 관련된 여러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5) 시식회
‘매운맛’에 대한 길들이기와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을 중심으로 시식회를 실시하였다.
공짜를 좋아하는 중국인들의 열띤 반응을 불러일으켜 경쟁에서의 우위와 그들의 구전효과도 기대하게 되었다.
6) 브랜드 네이밍, 포장 디자인
전체적인 이미지를 붉은 색과 검정색으로 채택하여 매운 라면이라는 제품의 본질적 속성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주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매울 辛자를 붓글씨체로 강조함으로써 브랜드가 명확히 노출,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3. 삼양라면 중국진출 실패원인
삼양라면 역시 농심보다 훨씬 전에 중국 시장으로 진출했었다. 하지만 삼양라면은 지금의 농심만큼 성공치 못하고 중국 진출 사업을 접게 되었다. 삼양라면에 대한 기업자료와 실패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삼양라면에 대하여
삼양라면은63년부터 라면 생산을 시작해 올해로 35년째를 맞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라면
전문생산업체다. 이 회사는 지난 63년 9월 일본의 명성식품㈜과 라면생산 제휴를 맺고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선보였고 지난 70년대에는 \'쇠고기 덕용라면\'을 출시, 덕용라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또 72년부터는 국내 첫 용기면인 \'삼양 컵라면\'을 생산하면서 시장점
유율 40%를 기록하며 라면업계 선두를 달렸다.
그러나 지난 89년 11월 \'우지파동\'을 겪으면서 삼양식품은 1천여명의 인원감축과 공장 가동
중단으로 시장점유율이 10% 이하로 떨어지고 후발업체인 농심에 업계1위 자리마저 내주는
등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우지사건이후 7년8개월만인 지난해 8월26일 대법원에서 \'우지
라면 사건\'이 무죄판결을 받은 후 매출증가 등 다소의 반사이익을 얻었지만 지난해 시장점유
율은 여전히 14%대로 농심(64%)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매출 3천1백억원을 기록한 삼양식품은 자체 계열사를 포함해 전체 납입자본금 규모
가 8백72억원이고 종업원수는 4천여명이다. 주력상품은 \'삼양라면\'과 \'삼양 칼국수\', \'삼양
컵라면\'등이고 강원도 문막공장, 인천 장유공장, 원주공장 등 3개 지방공장에서 각각 대관령
우유, 골드 식용유와 양조간장, 삼양사료 등을 생산하고 있다.
(2) 삼양라면의 중국 진출
삼양라면은 1980년대 말 우리나라의 라면시장의 50%라는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으로 발판을 넓히기 시작했다.
(3)삼양라면의 중국시장 진출 실패 원인
1) 삼양라면이 중국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직후 유지파동이 일어났다. 검찰은 당시에 라면을 튀기는데 식용이 아닌 공업용 쇠기름을 썼다며 삼양식품을 기소하여 삼양라면은 시장점유율 10%이하로 급락하는 등 치명적인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후발인 농심은 우지파동 후 완벽한 1위를 굳혔다. 물론 \'선발을 따라잡기 위해 꾸준히 준비\'를 하긴 했지만 솔직히 \'선발의 불운\'도 도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재 농심의 시장점유율은 65%로 독점적위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법원이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해 8년만에 명예를 회복했으나 여전히 점유율 20% 정도에 그칠 뿐이었다, 이렇게 기업내부의 문제로 인해 삼양라면의 중국진출은 수포로 돌아갔다
즉, 해외시장으로의 진출 시기에 이를 뒷받침해 줄 기업 경쟁력에 위기를 맞게 되었고 이러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중국 진출은 너무나 큰 짐이 되었다.
2) 지금의 농심의 계획적이고 치밀한 마케팅에 반해 삼양라면의 그 당시 중국 진출 전략은 확실한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채 한국에서의 성공이 중국에서의 성공이라고 쉽게 생각하며 해외로 뻗어나가려고만 했다. 이러한 단순한 생각은 라면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퍼지지 않은 1980년대 중국인(중국인들이 라면을 즐겨먹기 시작한
2) 한류 열풍을 이용한 스타 마케팅의 최적화
중국에 불어 닥친 한류(韓流)열풍은 신라면의 마케팅 전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이 사실이다. 구체적인 한 예로 중국 10대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최고의 아이돌 스타 HOT를 내세워 농심 홍보용 포스터를 제작,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단순한 한국기업의 홍보활동보다는 보다 더 친숙한 한국 스타들의 모습을 이용한 광고전략이 훨씬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사나이 울리는 辛라면! 형님먼저 아우먼저! 얼큰한 안성탕면 내 입에 안성맞춤 등과 같이 농심의 국내 광고는 그 동안 다른 업체와 달리 스타를 기용하지 않고도 독특한 친근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으로 유명했다. 제품과 광고의 컨셉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메시지 위주의 내용은 국내에서 농심의 브랜드가 확실하게 구축된 상태였기 때문에 효과적인 광고 방법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농심은 중국인들의 시선을 확실히 끌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국내에서의 광고전략과는 달리 유명한 한국 스타들을 광고모델로 선택하여 보다 더 적극적인 홍보 활동에 전력을 기울였다.
3)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대대적 홍보 전략
중국인들이 가장 애용하는 교통수단은 버스이다. 농심은 이 와 같은 사실을 포착하여 상하이와 베이징의 버스에 대대적 인 홍보 전략을 펼쳤다. 그 동안 보아오던 버스 내 작은 광고 문구가 아니라 버스 한 대를 완전히 \"신라면 버스\" 化하여 신 라면 특유의 정열적인 붉은 색상으로 버스 전체 를 꾸민 것이 다. 한국에서도 보기 힘든 이러한 광고 전략은 중국인들의 기억 속에 신라면의 이미지를 보다 더 친근하게 느끼도록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중국인을 위한 중국어 버전 홈페이지 개설
농심사이트(www.nongshim.co.kr) 에 들어가면 중국어와 일본어 버전 홈페이지가 따로 개
설되어 있다. 농심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함께 각 제품의 원료와 고객지원과 관련된 여러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5) 시식회
‘매운맛’에 대한 길들이기와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을 중심으로 시식회를 실시하였다.
공짜를 좋아하는 중국인들의 열띤 반응을 불러일으켜 경쟁에서의 우위와 그들의 구전효과도 기대하게 되었다.
6) 브랜드 네이밍, 포장 디자인
전체적인 이미지를 붉은 색과 검정색으로 채택하여 매운 라면이라는 제품의 본질적 속성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주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매울 辛자를 붓글씨체로 강조함으로써 브랜드가 명확히 노출,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3. 삼양라면 중국진출 실패원인
삼양라면 역시 농심보다 훨씬 전에 중국 시장으로 진출했었다. 하지만 삼양라면은 지금의 농심만큼 성공치 못하고 중국 진출 사업을 접게 되었다. 삼양라면에 대한 기업자료와 실패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삼양라면에 대하여
삼양라면은63년부터 라면 생산을 시작해 올해로 35년째를 맞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라면
전문생산업체다. 이 회사는 지난 63년 9월 일본의 명성식품㈜과 라면생산 제휴를 맺고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선보였고 지난 70년대에는 \'쇠고기 덕용라면\'을 출시, 덕용라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또 72년부터는 국내 첫 용기면인 \'삼양 컵라면\'을 생산하면서 시장점
유율 40%를 기록하며 라면업계 선두를 달렸다.
그러나 지난 89년 11월 \'우지파동\'을 겪으면서 삼양식품은 1천여명의 인원감축과 공장 가동
중단으로 시장점유율이 10% 이하로 떨어지고 후발업체인 농심에 업계1위 자리마저 내주는
등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우지사건이후 7년8개월만인 지난해 8월26일 대법원에서 \'우지
라면 사건\'이 무죄판결을 받은 후 매출증가 등 다소의 반사이익을 얻었지만 지난해 시장점유
율은 여전히 14%대로 농심(64%)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매출 3천1백억원을 기록한 삼양식품은 자체 계열사를 포함해 전체 납입자본금 규모
가 8백72억원이고 종업원수는 4천여명이다. 주력상품은 \'삼양라면\'과 \'삼양 칼국수\', \'삼양
컵라면\'등이고 강원도 문막공장, 인천 장유공장, 원주공장 등 3개 지방공장에서 각각 대관령
우유, 골드 식용유와 양조간장, 삼양사료 등을 생산하고 있다.
(2) 삼양라면의 중국 진출
삼양라면은 1980년대 말 우리나라의 라면시장의 50%라는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으로 발판을 넓히기 시작했다.
(3)삼양라면의 중국시장 진출 실패 원인
1) 삼양라면이 중국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직후 유지파동이 일어났다. 검찰은 당시에 라면을 튀기는데 식용이 아닌 공업용 쇠기름을 썼다며 삼양식품을 기소하여 삼양라면은 시장점유율 10%이하로 급락하는 등 치명적인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후발인 농심은 우지파동 후 완벽한 1위를 굳혔다. 물론 \'선발을 따라잡기 위해 꾸준히 준비\'를 하긴 했지만 솔직히 \'선발의 불운\'도 도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재 농심의 시장점유율은 65%로 독점적위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법원이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해 8년만에 명예를 회복했으나 여전히 점유율 20% 정도에 그칠 뿐이었다, 이렇게 기업내부의 문제로 인해 삼양라면의 중국진출은 수포로 돌아갔다
즉, 해외시장으로의 진출 시기에 이를 뒷받침해 줄 기업 경쟁력에 위기를 맞게 되었고 이러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중국 진출은 너무나 큰 짐이 되었다.
2) 지금의 농심의 계획적이고 치밀한 마케팅에 반해 삼양라면의 그 당시 중국 진출 전략은 확실한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채 한국에서의 성공이 중국에서의 성공이라고 쉽게 생각하며 해외로 뻗어나가려고만 했다. 이러한 단순한 생각은 라면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퍼지지 않은 1980년대 중국인(중국인들이 라면을 즐겨먹기 시작한
추천자료
마케팅 성공과 실패사례(농심라면과 두산 미소주)
(주)농심의 성공적인 중국진출 사례분석
차별화지향의 모방전략(Second-but Better)을 통하여 업계리더가 된 농심라면의 사례연구
제목: (주)농심 / 물류혁신 통해&#985168;저비용&#8228;차별화&#8228;고도화&...
정보시스템 적용의 성공사례- 농심의 물류시스템
[재무분석] 농심과 삼양의 재무분석
[인적자원관리](주)농심의 조직구조 및 인사관리 사례분석
(주)농심의 경영분석 레포트
[경영학원론](주)농심 기업분석
[한국 기업사례 조사]농심의 중국시장 진출
삼양라면 위기극복위한 마케팅전략 분석과 시장점유율상승위한 프로모션전략제안(농심과 비교...
국제경영학,수출사례분석,농심 신라면 마케팅사례,중국 라면 시장 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
마케팅 경쟁 사례분석 - 삼양 vs 농심 PPT자료
서비스 상품관리-서비스 신상품의 기획,신상품 개발과정,롯데마트 통큰시리즈,농심 辛라면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