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관계변화와 사회보장정책적 차원의 사회통합 과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남북한 사회보장정책의 비교

Ⅲ. 남북한 관계변화의 시나리오와 사회보장정책 과제

Ⅳ. 시나리오별 사회통합 방안
1. 극한적 대립 및 반목기의 사회보장정책
가. 남북한 관계의 전망과 사회정책과제
나. 독일의 이주민 정착지원정책과 시사점
다. 북한탈출주민 정착지원제도의 개선방안
2. 상호화해 및 협력기의 사회보장정책
가. 남북한 관계개선과 사회정책과제
나. 국가간 이동자의 사회보장을 위한 국제노동기구(ILO)의 협약
다. 남북한간 인적교류의 증가와 사회보장정책적 차원의 대응전략
3. 남북한 통일 이후의 사회보장정책
가. 한반도의 통일과 사회정책과제
나. 동서독간 사회통합의 특징과 시사점
다.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Ⅴ. 결론

본문내용

주변국에게 심각한 위협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북한의 이중적 상황 하에서 우리의 대북한 정책과 통일전략은 장기적 차원에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기적인 차원에서 우리는 남북한 관계의 복합성을 감안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는 남북한간의 관계를 '극한적 대립 및 반목기', '상호 화해 및 교류협력기' 그리고 '통일 시기'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위험에 대한 사회보장정책적 차원의 대처방안을 살펴보았다. 각 단계별 사회보장대책의 마련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전제조건은 북한주민도 엄연히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법적 보호를 우리와 같이 공평하게 받아야만 한다는 점이다. 이를 기반으로 마련한 사회보장정책적 차원의 제반 대책은 궁극적으로 민족간 화해와 내적 일체감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끝으로 현재 북한의 현실을 우리의 아픔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전향적인 사고하에서 장차 통일에 대비한 제반 대책이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문헌>
고태우, 「탈북의 원인과 처리방안」, 『통일시대의 준비』,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1996, pp. 37∼51.
구종서 외, 『남북한 통일시나리오』, 삼성경제연구소, 1996.
김성철 외,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위기수준 평가 및 내구력 전망』, 민족통일연구원, 1996.
김연철, 『북한의 배급제 위기와 시장개혁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1997.
노용환.연하청, 『북한의 주민생활보장정책 평가 - 국가배급제도를 중심으로』,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1997.
박진, 「통일을 전후한 노동시장의 제문제와 정책과제」, 제2회 노.사.정 정책토론회 자료, 한국노동연구원, 1993.
박진.이유수, 『남북한 사회보장제도의 비교 및 통합방향』, 한국개발연구원, 1994.
선한승, 「통독의 경제.사회통합과 한국의 통일노동정책과제」, 제2회 노.사.정 정책 토론회 자료, 한국노동연구원, 1993.
이정우, 『남북한 사회보험제도의 장단기 통합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
이정우.김형수, 『탈북이주자 사회정착지원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정경배 외, 『남북한 사회보장 및 보건의료제도 통합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조동호, 『경제체제전환기의 노동정책 - 동구의 경험과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1996.
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1995.
한겨레신문사(편), 『한반도 통일국가의 체제구상』, 1995.
한국비교경제학회(편), 『남북한의 경제체제와 통합』, 1995.
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ordnung, bersicht uber die soziale Sicherheit, 1991.
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ordnung, Sozialbericht, 1993.
Hauser, R., et. al., Ungleichheit und Sozialpolitik, 1996.
Krakowski, M., "Der Faktor Zeit beim bergang von der Plan- zur Marktwirtschaft", Hamburger Jahrbuch fur Wirtschafts- und Gesellschaftspolitik, 36. Jahr, 1991, pp. 9∼19.
Lampert, H., Sozialpolitik, Handworterbuch der Wirtschaftswissenschaft, Bd. 7, 1977, pp. 60∼76.
Lampert, H., Lehrbuch der Sozialpolitik, 1985
Lampert, H., "Sozialpolitische Aufgaben der Umgestaltung der Wirtschafts- und Sozialordnung der DDR",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 Beilage zur Wochenzeitung Das Parlament, Bd. 33, 1990, pp. 27∼30.
Lampert, H., und Schubert, F., "Sozialpolitik: I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Handworterbuch der Wirtschaftswissenschaft, Bd. 7, 1977, pp. 130 ∼152.
Leienbach, V., et. al., "Zur Situation der Rentenversicherung in den Reformlandern Mittel- und Osteuropa", Deutsche Rentenversicherung, 1994, pp. 723∼731.
Matthes, H., "Die Bewaltigung der Folgen des Sozialismus: Herausforderungen fur die deutsche Wirtschaftspolitik", Wirtschaftsdienst, Dez. 1991, pp. 609∼613.
Sachverstandigenrat, Begutachtung der gesamtwirtschaftlichen Entwicklung: Jahresgutachten, 1995.
Statistisches Bundesamt, Tabellensammlung zur wirtschaftlichen und sozialen Lage in den neuen Bundeslandern, 1995.
Maier J. und Tullio, G., Die soziale und wirtschaftliche Eingliederung von Fluchtlingen und Heimatvertriebenen in Bayern, 1996.
Wolfinger, C. und Brinkmann, Chr., "Arbeitsmarktpolitik zur Unterstutzung des Transformationsprozesses in Ostdeutschland", Mitteilungen aus der Arbeitsmarkt- und Berufsforschung, 1996, pp. 331∼348.
  • 가격2,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3.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