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곽란寒濕 초부곡채 과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강목 곽란寒濕 초부곡채 과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곽란寒濕 초부곡채 과목

본문내용

【寒濕】
한습
〔草部〕
초부
藿香
곽향
(亂腹痛垂死,同橘皮煎服;暑月,同丁香、滑石末服。)
곽향은 곽란 복통으로 죽으려고 함에 귤피와 함께 달여 복용한다. 여름철에 정향, 활석가루와 함께 복용한다.
木香
목향
(亂轉筋,爲末酒服。)
목향은 곽란 전근에 가루내어 술로 복용한다.
香附子
향부자
附子
부자
(亂吐下,爲末四錢,鹽半錢,水煎服;小兒吐瀉,小便白,熟附子、白石脂、龍骨丸服。)
곽란 구토 하리에 16g가루내어 소금 2g으로 물에 달여 복용한다. 소아의 구토와 설사, 소변백색에 숙부자, 백석지, 용골로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南星
남성
(吐瀉厥逆,不省人事,爲末,薑、 棗 同煎服,仍以醋調貼足心。)
남성은 구토 설사 궐역으로 인사불성에 가루내어 생강, 대추와 함께 달여 복용하고 식초로 섞어서 발중심에 붙인다.
半夏
반하
(亂 腹滿,同桂末服。)
반하는 곽란과 복만에 계지가루와 함께 복용한다.
人參
인삼
(止亂吐利,煎汁入子白服,或加丁香,或加桂心。)
인삼은 곽란과 구토 하리를 멎게 하니 달인 즙을 계란흰자를 넣고 복용하거나 혹은 정향을 가미하고 혹은 계심을 가미한다.
縮砂 (연근, 연 밑둥 밀; 艸-총15획; mi)
醬 山薑 杜若 山柰 劉寄奴 (향초 이름, 물풀이름 게; 艸-총16획; an,qi)
車香
축사밀 필발 구장 산강 두약 산내 유기노 게거향
(溫中下氣消食,止亂。)
축사밀, 필발, 구장, 산강, 두약, 산내, 유기노, 게거향은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리고 음식을 소화케 하고 곽란을 멎게 한다.
肉豆
육두구
(溫中 消食 亂 脹痛 爲末 薑湯服)
육두구는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케 하고, 곽란과 창만통을 치료하니 가루내어 생강탕에 복용한다.
白豆
백두구
(散冷滯,理脾胃。)
백두구는 냉체를 흩어지게 하고 비위를 다스린다.
草豆
초두구
(溫中消食下氣。亂 煩渴,同黃連、烏頭,煎飮。)
초두구는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케 하고 기를 내린다. 초두구는 곽란과 번갈을 치료하니 황련, 오두와 함께 달여 마신다.
高良薑
고량강
(溫中消食下氣。亂腹痛,炙香煮酒。或水煎冷服。)
고량강은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케 하고 기를 내린다. 곽란 복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3.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4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