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중 및 밀도 측정
1. 목적
2. 이론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비중 및 밀도 측정 실험보고서
1. 실험에 대한 이론
(1) 액체 및 고체(물보다 무거운 경우와 가벼운 경우)의 비중 측정의 원리와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기술하라.
(2) 본문 내용에서 예로 든 여러 가지 비중 측정법에 대하여, 그원리와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라.
2. 실험 관련 문제
(1) 액체 및 고체 비중 측정법의 종류와 측정시 온도가 비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기술하라.
(2) 액체 및 고체 비중 측정법에서 물보다 무거운 시료와 가벼운 시료를 구분하여 열거하라.
3. 실험 결과
(1) 액체비중 측정(20℃)
(2) 고체비중 측정(20℃)
4. 결과 및 고찰
5. 결론
1. 목적
2. 이론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비중 및 밀도 측정 실험보고서
1. 실험에 대한 이론
(1) 액체 및 고체(물보다 무거운 경우와 가벼운 경우)의 비중 측정의 원리와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기술하라.
(2) 본문 내용에서 예로 든 여러 가지 비중 측정법에 대하여, 그원리와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라.
2. 실험 관련 문제
(1) 액체 및 고체 비중 측정법의 종류와 측정시 온도가 비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기술하라.
(2) 액체 및 고체 비중 측정법에서 물보다 무거운 시료와 가벼운 시료를 구분하여 열거하라.
3. 실험 결과
(1) 액체비중 측정(20℃)
(2) 고체비중 측정(20℃)
4. 결과 및 고찰
5. 결론
본문내용
계에 의한 측정
주사기나 아스퍼레이터를 이용하여 공기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서서히 채운다. 액체의 준위를 나타내는 편리한 표시를 하고, 공기방울이나 과량의 액체는 제거하도록 한다.
(3) 부칭에 의한 측정
이 방법은 측정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정밀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산업 현장 등에서 필요시 신속하게 비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칭(scale aerometer)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Baume 비중계(Baume도가 눈금으로 새겨져 있음), Gasolione 비중계, 석유계(JIS 규격이 있음), 해수 비중계 및 Alcohol 계(Alcohol의 %가 눈금으로 새겨져 있음) 등이 있다.
(4) 고체 밀도의 비중병 결정법
밀도는 질량을 체적으로 나누어서 구하므로, 고체의 질량 측정은 천칭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나, 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비교적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고체의 밀도 측정은 먼저 정확한 체적의 측정법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3. 실험기구 및 시약
① 비중병 ⑦ 메스실린더 (50mL 이상인 것)
② 천칭 ⑧ 온도계
③ 항온조 ⑨ Weld 비중병( Gay-Lussac 형)
④ 여과지 ⑩ 액체 비중계
⑤ 주사기 ⑪ 에탄올 또는 메탄올 및 소금
⑥ Westphal 비중계 ⑫ 글리세린, 톨루엔, 프로필렌글리콜 및 벤젠 등.
⑬ 각종 고체 시료(알루미늄, 철, 납 및 동 등)
4. 실험방법
(1) 액체의 비중 측정법
▶ 비중병에 의한 측정법
비중병은 보통 내용량 10~100mL의 유리 용기로서 온도계가 있거나 온도 계가 없는 경우도 있다. 갈아
주사기나 아스퍼레이터를 이용하여 공기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서서히 채운다. 액체의 준위를 나타내는 편리한 표시를 하고, 공기방울이나 과량의 액체는 제거하도록 한다.
(3) 부칭에 의한 측정
이 방법은 측정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정밀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산업 현장 등에서 필요시 신속하게 비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칭(scale aerometer)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Baume 비중계(Baume도가 눈금으로 새겨져 있음), Gasolione 비중계, 석유계(JIS 규격이 있음), 해수 비중계 및 Alcohol 계(Alcohol의 %가 눈금으로 새겨져 있음) 등이 있다.
(4) 고체 밀도의 비중병 결정법
밀도는 질량을 체적으로 나누어서 구하므로, 고체의 질량 측정은 천칭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나, 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비교적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고체의 밀도 측정은 먼저 정확한 체적의 측정법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3. 실험기구 및 시약
① 비중병 ⑦ 메스실린더 (50mL 이상인 것)
② 천칭 ⑧ 온도계
③ 항온조 ⑨ Weld 비중병( Gay-Lussac 형)
④ 여과지 ⑩ 액체 비중계
⑤ 주사기 ⑪ 에탄올 또는 메탄올 및 소금
⑥ Westphal 비중계 ⑫ 글리세린, 톨루엔, 프로필렌글리콜 및 벤젠 등.
⑬ 각종 고체 시료(알루미늄, 철, 납 및 동 등)
4. 실험방법
(1) 액체의 비중 측정법
▶ 비중병에 의한 측정법
비중병은 보통 내용량 10~100mL의 유리 용기로서 온도계가 있거나 온도 계가 없는 경우도 있다. 갈아
추천자료
(화공기초실험)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측정(결과)
토질 및 기초(공식모음)
유체역학
초임계유체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알루미늄과 합금 압연
유합중합을 통한 폴리아닐린 합성(강추!! 상당히 자세함)
인구의 변동과 인구문제
수도권과 국가 균형발전 정책
[화공기초실험]용해도 및 분별결정 (예비레포트)
[분몰랄부피, 분몰랄부피 정의, 분몰랄부피 측정, 분몰랄부피와 겉보기몰랄부피, 분몰랄부피...
[화학과 물리화학 실험] Partial molar volume(부분몰랄부피측정)
금속 조직 관찰 실험보고서
암석의 역학적 성질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