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의 발생요인과 특성 및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황사의 발생요인과 특성
1. 황사 발원지의 특징
2. 황사 발원지의 토양
가) 황토층의 퇴적
나) 황사발원지의 토양 구분
다) 흙먼지의 움직임
3. 황사 발원지의 지리적 공간분포
4. 발원지의 지형적 특징
5. 발원지의 토양 특성
6. 황사입자의 크기, 분포 및 농도
1) 크기와 입경분포
2) 미세먼지 농도
7. 황사의 화학적 조성
8. 황사의 장거리 이동 기작
9. PAHs를 포함한 가스상 오염물질의 농도변화

Ⅲ. 황사의 영향
1. 자연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2.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3.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Ⅳ. 고찰

참고 문헌

본문내용

안 모색을 위한 황사전문가 공동 워크숍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또, 한국에서는 중국정부의 국토 사막화 방지사업의 일환으로 조성중인 방사림(防沙林)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생태환경건설 50년 계획'의 일환으로 조성중인 방사림 조림사업은 중국 북부를 동부, 서부와 중부로 나누어 화북 동북의 13개 성(省) 400만㎢, 전국토의 42%가 조림대상이며, 2050년까지 사막화 지역 개선 3단계 사업을 통해 산림비율을 13%에서 25%로 높인다는 것이다. 참고로 2000년 말까지 조림한 면적은 7만㎢정도였다. 또한 사막주변에 대규모의 풍력발전 단지를 세워 바람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토양침식을 막고, 풍차가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땔감을 얻기 위해 숲을 벌목하는 일이 줄어들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했다(World Watch Research).
현재 시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중국을 비롯한 국제간의 긴밀한 협조가 절실하며, 정확한 관측을 통해 예보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주의보(300㎍/㎥이상)·경보(500㎍/㎥이상)·중대경보(100㎍/㎥이상)등 3단계로 구분되어 발령된 황사경보의 단계별 행동요령(환경부, 2002년 4월)을 홍보하여 황사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건강 및 사회활동 전반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참고 문헌
신은상, 1992: 서울시에서의 대기 부유먼지에 대한 황사의 영향,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 52-57
전영신, 1996: 황사 발원지의 배출 조건을 고려한 황사의 장거리 수송 사례 연구. 서울대학 교 대기과학과 박사학위논문, 127pp
정 용, 1991: 황사현상이 호흡기질환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학위논문, 42pp
정용승, 윤마병, 1994: 황사의 사례분석과 한반도 유입량.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 233-244
정용승, 김태군, 1991: 대기오염의 장거리 이동 사례연구 : 황사, TSP, Sulphate의 발원지 추적. 한국대기보전학회지. 7, 197-202
기원주, 2001: 황사 기간 중 서울시 대기중의 PAHs 농도 변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 보건학과 보건학석사 학위논문, 42pp
Briant L. Davis, Guo Jixing., 2000: Airbone particulate study in five vities of China,Atmospheric Environment, 34
Chao, S. C., Xing, J. M., 1982: Orin and development of the Shamo and the govi of China. Striae. 17, 79-91.
Fujita, S. Y., Ichikawa, and R. K. Kawaratani., 1991: Preliminary inventory of sulfur dioxide emissions in East Asia, Atmospheric Environment.
Galloway, J. W., 1989: Atmospheric acidification; Projections for the future, Ambio, 18
Halsall, C. J. et al., 1997: Environ. Sci. Tech., 31
Ing, G. K. T., 1972: A dust storm over central China, April 1969. Weather, 27, 136-145.
Junge, C., 1979: The importance of mineral dust as an atmospheric constituent. In Saharan Dust. Wiley Chichester, 49-60.
Kamara, S. I., 1986: The seasonal incidence of Saharan dust haze over Sierra Leone, Malaysian J. Tropical Geo., 13, 1-6
Kato, N. and H. Akimoto., 1992: Anthropogenic emissions of SO2 and NOx in Asia: emissions inventories, Atmospheric Environment, 26
Macpherson, J. I., R. L. Desjardins, O. H. Schuepp and R. Pearson., 1995: Aircraft-measured ozone deposition in the San Joaquin Valley of California, Atmospheric Environment, 21-29
Pye, K., 1987: Aeolian dust and dust deposits. Academic Press, 334pp.
1992: Aeolian dust and dust deposits. In Encyclopedia of Earth system science, vol. 1, Academic Press, 35-42
Reed, R. J., Norquist, D. C., Recker, E. E., 1977: The structur and properties of African wave disturbances as observed during phase Ⅲ of GATE. Mon. Wea. Rev. 105, 317-373
Rhode, H., 1989: Acidification in a global perspective, Ambio, 18
Schutz, L., 1980: Long-range transport of desert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Sahara. Ann. N. Y. Acad. Sci., 338, 515-532.
Van Vaeck, L. et al., 1984: Atmospheric Environment, 18
Walker, A. S., 1982: Deserts of China. Am. Scient. 70, 366-376
Zhang, D. E., 1984: Synoptic-Climate studies of dust fall in china since historic times,Zhongguo Kexue Bji, , 825-836

추천자료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3.17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4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