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의 이해와 발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콘텐츠의 이해와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들어가는말

서론
1. 문화콘텐츠의 등장배경

2. 문화콘텐츠의 개념

3.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요성
3.1. 문화콘텐츠의 문화적 가치
3.2. 문화콘텐츠의 경제적 가치
3.3. 문화산업의 국가적 중요성

4. 한국의 문화콘텐츠 산업현황
4.1. 애니메이션산업
4.2. 음반산업
4.3. 게임산업
4.4. 영화산업

5. 우리나라의 문화콘텐츠가 해외에 미치는 영향
5.1. 중국 진출사례 – 대장금
5.2. 일본진출 사례 - BOA


본론
6. 문화콘텐츠의 특징
6.1. 대표적 특징
6.1.1. 창구효과 <Windoy Effect>
6.1.2. OSMU- “One-Source Multi-Use”
6.1.2.1. 좋은OSMU란 무엇인가?
6.1.2.2. 대표적인 OSMU
6.1.2.3. OSMU가 나아갈 방향
6.1.3. OBMU-“One-Brand Multi-Use”
6.2. 시장적 특징

7. 문화콘텐츠의 분류
7.1. 시각적 요소
7.1.1. 영화
7.1.1.1. 애니매이션
7.1.1.2. 국내영화
7.1.1.3. 국외영화
7.1.2. 출판
7.1.2.1. 국내소설
7.1.2.2. 국외소설
7.1.3. 연극
7.2. 청각적 요소
7.2.1. 대중가요
7.2.2. POP
7.3. 미각적 요소
7.3.1. 전통음식
7.3.2. 패스트푸드
7.4. 인터넷 발달에 의한 요소
7.4.1. 온라인 게임
7.4.2. 동영상

8. 문화콘텐츠 시장
8.1. 문화콘텐츠 마케팅
8.1.1. 정의
8.1.2. 특성
8.1.3. 거래방식과 종류
8.2. 문화콘텐츠 성장
8.2.1. 성장속도
8.2.2. 디지털 콘텐츠의 도입
8.3. 문화콘텐츠 수출입 시장
8.3.1. 세계 문화콘텐츠 시장
8.3.1.1. 종합마켓
8.3.1.2. 전문마켓
8.3.2. 수출입 실제
8.4. 파급효과
8.4.1. 경제적 파급효과

9. 문화콘텐츠와 윤리성
9.1. 시각적 요소의 윤리문제
9.1.1.스크린쿼터에 대한 논쟁
9.1.1.2. 스크린쿼터란
9.1.1.3.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논란
9.1.1.4.스크린쿼터에 대한 찬반의견
9.1.2. 홈쇼핑 허위광고
9.2. 청각적 요소의 윤리문제
9.2.1. 디지털 음악산업의 구조
9.2.2. 디지털 음악산업이 발달된 환경
9.2.3. 온라인 음악파일의 불법적 유통
9.2.3.1. 소리바다 사건
9.2.3.2. 벅스뮤직 사건
9.3법적 윤리문제
9.3.1프랜차이즈의 의의와 정의
9.3.1.1.프랜차이즈의 정의
9.3.1.2. 프랜차이즈의 어원
9.3.1.3. 프랜차이즈의 역사
(1) 프랜차이즈의 태동
(2) 프랜차이즈의 발전
(3) 국내외 프랜차이즈 현황
9.3.2. 프랜차이즈 형태에 의한 분류
9.3.3. 프랜차이즈 체인 형태에 따른 분류
9.3.4. 프랜차이즈의 장점 단점
1.장점
2.단점
9.3.5. 프랜차이즈 성공을 위한 요건
9.3.6.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자들의 역할, 임무
1. 가맹본부의 역할 임무
2. 가맹점의 권리와 의무
3. 성공을 위한 프랜차이즈 가맹본사와 가맹점의 자격 요건
9.3.6.1 프랜차이즈 개점 절차도 및 준비사항
9.3.6.2 프랜차이즈의 경영
1. 가맹본부와 가맹점간의 갈등 사례
9.3.6.3. 프랜차이즈 경영을 위한 자료
9.3.7. 스타벅스가 비싼 이유
9.4 인터넷발달에 의한 윤리문제
* 서론
9.4.1. 사이버문화의 개념
* 본론
9.4.2. 인터넷 익명성의 이해
9.4.2.1. 인터넷 익명성의 정의
9.4.2.2. 인터넷 익명성 문제 최근사례
9.4.3. 인터넷 익명성의 원인
9.4.4. 인터넷 익명성의 문제점
1) 익명성의 장점
2) 익명성의 단점
* 결론
9.4.5.제도적인 접근
9.4.6.의식적인 접근

10.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10.1. 경제적 해결방안
10.2. 사회적 해결방안
10.2.1. 제도적 방법구축
10.2.2. 사람들의 윤리의식 교육


결론
11. 문화콘텐츠 발전방안
11.1.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성공요소
11.2. 문화산업을 위한 정부의 지원노력
11.3.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의 해외시장 진출방안

12. 문화콘텐츠의 미래
12.1. 문화콘텐츠 전망
12.2. 문화콘텐츠 나아갈 방향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죄조직들이 깊숙이 개입하면서 산업 전체에 대한 무시할 수 없는 통제력을 확보하고 있었고, 헐리우드 영화 산업의 핵심 투자자인 메이저 은행들의 금융 자본의 입김 또한 막강했다. 결론적으로 스튜디오 자본가들은 자신에게 위기감을 안겨주던 종교적이고 민족적 이데올로기를, 범죄조직이라는 물리적 힘을 거느리면서 반공주의 깃발 아래 진보적 노동자 계급에 대한 범보수 세력들의 결집을 통해 효과적으로 극복해나가는 한편으로, 국내외 시장에서의 영화제작과 수익 창출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폭력적 구조조정을 강제하였고, 자본가들과의 전쟁과 동시에 어용 노조(ISTAE)와의 대결, 그리고 그러한 이데올로기와 정치세력들 간의 이합집산의 복잡한 정세 속에서 CSU는 결국 그 모든 갈등과 투쟁의 희생물로서 패배하고 만다. CSU의 좌절은 곧 민주 노동운동 활동가들에 대한 숙청과 \'헐리우드 10\'(Hollywood Ten)으로 알려져 있는 헐리우드에서의 빨갱이 사냥(Hollywood Blacklist)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 심대한 결과는 비단 헐리우드를 넘어서 미국 전체에서의 진보적 노동운동의 싹을 거세하는 그것이었다. 위와 같이 헐리우드 영화 산업의 최대의 위기로서 1945-6년을 정점으로 한 계급 투쟁에서 복잡하게 얽혀있던 정세를 이용한 극복과정에서 헐리우드는 주지하다시피 오늘날까지 건재해 있다. 50년대 중반부터 60년대에 걸쳐 급속히 보급된 텔레비전의 지속적인 위협과 비디오 매체의 등장, 그리고 90년대 이후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른 기술 및 산업적 재편은, 1980년대 이후 단지 영화가 아닌 미디어라는 더 큰 관점에서 다양한 인접 미디어 분야들을 아우르는 수평·수직 통합을 이루어내도록 추동하였다. 즉 영화(제작, 배급, 상영체인)-TV-CATV-음악-게임-테마파크-출판 등의 통합과, 최근에 AOL-Time Warner의 합병 사례에서 보듯 기존의 영화-미디어의 결합이 아니라 뉴 미디어와 올드 미디어의 결합, 네트워크와 컨텐츠의 결합으로 줄기차게 내달리고 있는 것이다.
영화가 (문화) 산업으로 태동했을 때부터 헐리우드를 중심으로 한 영화 자본은 이미 초국적 자본이었고, 그 이데올로기는 (신)자유주의와 반노동주의였던 것이라 이러한 합병과 결합의 추이는 크게 놀랄만한 일도 아니다. 이제 그 영역이 영화만으로 국한되지 않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확장하고 다양한 창구효과를 창출하면서 우리의 시각문화와 생활세계문화에 대한 지배적 위치를 가일층 굳건히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전지구적 영화-미디어 독점 자본에 대항하는 노동자 계급의 투쟁은 왜 없는 것인가, 아니 정확하게 말해 왜 그러한 노동자들의 투쟁이 우리에게 보여지거나 알려지지 않는 것일까?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위와 같은 헐리우드 영화 산업에서의 계급 투쟁 역사에 대한 누락과 궤를 같이 하는 듯하다. 억압받은 자들의 해방을 위한 투쟁의 역사는 바로 오늘의 투쟁을 추동해낼 수 있는 강력한 동인임에도 왜 이러한 역사는 헐리우드 영화 산업을 다루는 어떠한 책에서도 일언반구 거론조차 되어오지 않았는가. 오늘 우리가 손에 쥔 이 소중하고도 독보적인 연구 성과는 그 동안 누락되어온 헐리우드 영화 역사에서의 노동자 계급 투쟁의 동학과 그 함의를 복원시키는 주목할 만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미국 노동운동사에서, 그리고 항공우주산업 다음 가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신세기 팍스아메리카를 경제적으로 그리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지탱해주고 있는 헐리우드 영화 산업의 바로 오늘을 있게 한 헐리우드의 역사에서 잊혀졌던 이 시기에, 그 자본가들의 입장에서는 최대의 위기를 가져다준 1945년 CSU의 파업 투쟁을 전후로 한 계급 투쟁과 이에 참여했던 여러 사회세력들 간의 사회적 동학, 그리고 더 나아가 헐리우드 영화가 다루는 내용에 대한 재현의 정치학과 어떠한 연관을 가졌는지에 대해 아주 세밀한 분석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일차 자료들과 함께 인터뷰 등의 구두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한 저자 혼(Horn)은 1945년 파업과 46년의 직장폐쇄를 전환점으로 하는 당시의 계급 투쟁을 분석하면서 이 사건들과 연루되어 있던 모든 주체들의 이해관계와 행위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의 부제이기도 한 \'[스튜디오] 거물, 폭력배, 스타, 빨갱이, 그리고 노동 조합원(Moguls, Mobsters, Stars, Reds, & Trade Unionists)\'들이 바로 그들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는 단지 노-자간, 그리고 노-노간의 단체 협상과 관할권 쟁탈을 위한 파업 투쟁과 직장폐쇄의 계급 갈등이라는 일개 특수 사례로 국한되지 않아 보인다. 할리우드 영화에서 나타나는 계급 문제의 재현방식을 비롯한 자본주의적 가치에 대한 유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헤게모니 투쟁, 즉 모순된 사회현실에 대한 은폐와 피억압자들에 대한 소외를 조장하는 헐리우드 \'꿈의 공장\', 이미지의 \'감각의 제국\'에 대해서 단지 그 독점적 소유에 대한 비판과 관람석에 앉아 공정한 묘사에 대한 요구를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 대중들에 대한 계급적 재현의 문제에 대해 노동자들의 직접적인 투쟁을 통해 어떻게 계급적으로 바로 잡을 것인가의 문제와도 연관된 문제라 하겠다. 지배이데올로기, 그리고 이 세계에 대한 지배적인 재현 방식에 대한 투쟁 역시 그것의 생산과정에서 지배 계급인 자본가에 맞선 노동자들의 직접적인 계급 투쟁과 별개의 것이 아니며, 이는 거듭된 실패 속에서도 결코 포기되거나 방기될 수 없는 계급적 의제의 하나로 이와 같은 재현의 정치학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프랑스
1996년, 미국으로 수출된 프랑스 영화는 불과 2억 8800만불이었던 데 반해, 프랑스에서 상영된 미국 영화의 수익은 37억불에 달하였다. 역사적으로 1970년대 중반까지는 프랑스 영화들이 미국 영화들과 직접적으로 맞선던 것을 생각하면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위기 상황에 대한 대치방안으로 , 프랑스는 그들의 문화적 산업을 보존하려는 노력의 최전방에 서왔다. 1989년 유럽 연합령을 입안한 것이 프랑스였을 뿐 아니라, 우루과이 라운드 협정에서 시청각 부문에 있어서는 불이행할 것이라고 협박했고,
  • 가격3,000
  • 페이지수115페이지
  • 등록일2007.03.1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