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지칭한다. 그것은 만물이 없음을, 즉 만물이 결국에는 비존재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가리킨다. 그것은 사회의 흔적을 제거하고 그의 원초적 본성에로 돌아가는 도가인의 길을 지칭한다. 노자는 무지함으로써, 이성을 포기함으로써 신에 접근해야 한다고 믿었다.
제 4장 시원을 찾음
노자는 도덕경에서 “나의 말은 시원을 갖는다. 나의 행위에는 지주가 있다. 사람들이 나를 이해할 수 없음은 정확히 그들이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단 체계가 포착되면 나의 말은 이해하기 매우 쉽고 실천하기 매우 쉽다.”라고 말한다. 이 말이 도덕경을 읽는 사람의 요구에 의존하여 많든 적든 거기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에서 도덕경이 씌어진 이유이다. 따라서 도덕경을 써가는 수준에 있어 노자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최고의 수준에 도달하는 일에 절망케 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최고의 수준에 이르도록 유인한다. 사회는 속인, 통치자 및 성인 등 카스트의 계급 제도로서 그려지는 것이 다니랄 속인이 성인으로 성인이 통치자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은 ‘완전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는 모든 의미에서 덕의 좋은 예가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의 속성들을 통치자와 속인의 모범으로 삼을 수 있다. 노자는 모든 사람이 성인과 같이 되기를 바랬다. 그때 사회는 최초에 있었던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이것이 통치자가 자기 백성을 무지하게 하고 욕망이 없게 만들어야 하는 이유이다.
[참고 문헌]
노자와 도교, 홈스 웰치 지음, 윤찬원 옮김, 서광사
세계 종교와 기독교, 어떻게 다른가 , 방지형 저 ,영성
(노자) 도덕경, 노자, 너울북,
제 4장 시원을 찾음
노자는 도덕경에서 “나의 말은 시원을 갖는다. 나의 행위에는 지주가 있다. 사람들이 나를 이해할 수 없음은 정확히 그들이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단 체계가 포착되면 나의 말은 이해하기 매우 쉽고 실천하기 매우 쉽다.”라고 말한다. 이 말이 도덕경을 읽는 사람의 요구에 의존하여 많든 적든 거기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에서 도덕경이 씌어진 이유이다. 따라서 도덕경을 써가는 수준에 있어 노자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최고의 수준에 도달하는 일에 절망케 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최고의 수준에 이르도록 유인한다. 사회는 속인, 통치자 및 성인 등 카스트의 계급 제도로서 그려지는 것이 다니랄 속인이 성인으로 성인이 통치자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은 ‘완전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는 모든 의미에서 덕의 좋은 예가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의 속성들을 통치자와 속인의 모범으로 삼을 수 있다. 노자는 모든 사람이 성인과 같이 되기를 바랬다. 그때 사회는 최초에 있었던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이것이 통치자가 자기 백성을 무지하게 하고 욕망이 없게 만들어야 하는 이유이다.
[참고 문헌]
노자와 도교, 홈스 웰치 지음, 윤찬원 옮김, 서광사
세계 종교와 기독교, 어떻게 다른가 , 방지형 저 ,영성
(노자) 도덕경, 노자, 너울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