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도 죽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신문의 위기

2.한국신문의 위기

3.떠나가는 신문독자

4.신문위기 대책바안

본문내용

우존스 마켓워치가 1월17일자 보도에서 이렇게 소개하고 있네요. "미국 상위 10대 온라인 신문사 블로그 방문객이 지난해 210%나 증가해, 해당 신문사 홈페이지 증가율을 훨씬 앞질렀다.")
[사례] 머니투데이, '나만의 칼럼' 북마크 서비스 실시
머니투데이가 '나만의 칼럼' 서비스와 '최신칼럼 RSS'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편집국의 통합 : 인터넷이 영향력이 커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온라인신문사를 가지고 있지 않는 곳은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영역을 확실히 구분하고 편집과 구성을 다르게 인식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일부 메이져신문사(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와 USA 투데이(Today))와 학자들 사이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편집국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사례] [우리 이웃] Our Asia
미디어빅뱅 시대에 ‘다매체 윈·윈·윈’ 민방 2200만·케이블 1000만가구 시청
조선일보 ‘크로스미디어’ (발행일 : 2007.02.23 / 특집 A9 면)
- NIE 교육 : ‘Newspaper In Education(신문활용교육)’의 약자로, ‘신문을 교재 또는 보조교재로 활용해 지적 성장을 도모하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으로 신문을 읽지 않는 세대를 위해 체계적으로 신문을 읽을 수 있도록 유도.
한국신문은 그 내/외부적인 수많은 요인으로 인하여 현재의 위기에 처해있지만 그 해결방안 역시 위기의 원인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안으로는 잘못된 구조적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뉴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활용해 새로운 미디어시대를 열어 나가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2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