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Result
(1) 100hPa 간격의 층 두께
(2) gpm vs 온도 그래프
● Discussion
(1) 실험과정2에서 그린 그래프를 바탕으로 하여 1월과 7월의 다른 점을 말하여라.
(2) 1000hPa면부터 100hPa면까지 100hPa 간격의 층 두께는 1월과 7월에 각각 어떻게 다른지 논의하여라.v
(3) 1월과 7월의 풍속이 최대인 층을 중심으로 상층과 하층을 나누고 상층과 하층의 기온감율을 비교하여라. 또 최대풍속을 나타내는 고도와 대류권계면의 고도를 비교하여라.
● Assignment
(1) 지오퍼텐셜고도(gpm)이란 무엇인가?
(2) 역전층에 대하여 조사하시오.
(1) 침강 역전층
(2) 이류 역전층
(3) 전선 역전층
(4) 복사 역전층
(3) 대기의 연직방향관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하시오.
(1) 100hPa 간격의 층 두께
(2) gpm vs 온도 그래프
● Discussion
(1) 실험과정2에서 그린 그래프를 바탕으로 하여 1월과 7월의 다른 점을 말하여라.
(2) 1000hPa면부터 100hPa면까지 100hPa 간격의 층 두께는 1월과 7월에 각각 어떻게 다른지 논의하여라.v
(3) 1월과 7월의 풍속이 최대인 층을 중심으로 상층과 하층을 나누고 상층과 하층의 기온감율을 비교하여라. 또 최대풍속을 나타내는 고도와 대류권계면의 고도를 비교하여라.
● Assignment
(1) 지오퍼텐셜고도(gpm)이란 무엇인가?
(2) 역전층에 대하여 조사하시오.
(1) 침강 역전층
(2) 이류 역전층
(3) 전선 역전층
(4) 복사 역전층
(3) 대기의 연직방향관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하시오.
본문내용
에 의해 기온이 상승하여 역 전층이 생성되며, 두께가 얇게 형성
(2) 이류 역전층
① 찬 공기 위로 따뜻한 공기가 이동하면 아래층의 공기보다 상층의 기온이 높아져 역전층 생성
② 산을 넘어오는 공기가 더운 경우 잘 형성
(3) 전선 역전층 :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아래에 놓여 역전층 생성 (4) 복사 역전층
① 겨울철 새벽에 구름이 없는 날 지면이 복사 냉각되어 역전층 생성
② 내륙 지방에 안개 형성
(3) 대기의 연직방향관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하시오.
지상으로부터 30km까지는 Raiwinsonde로 관측하며, 보다 높은 상층은 로켓을 사용하여 관측한다. 오늘날에는 전파를 이용한 상층관측 방법으로 원격탐사가 있다. 그 중 하나인 IS레이다는 고주파의 전파를 발사해서 전리층내의 자유전자에 의해 산란되어 지상에 되돌아오는 미약한 전파를 포착해서 공기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특히 현대에는 우주공간에 띄워 놓은 기상위성에 의한 관측이 활발하다. 기상위성에 있는 복사계로 탄산가스의 적외복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대기온도의 고도분포를 계산할 수 있다.
● Reference
-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1997, pp.133-138.
(2) 이류 역전층
① 찬 공기 위로 따뜻한 공기가 이동하면 아래층의 공기보다 상층의 기온이 높아져 역전층 생성
② 산을 넘어오는 공기가 더운 경우 잘 형성
(3) 전선 역전층 :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아래에 놓여 역전층 생성 (4) 복사 역전층
① 겨울철 새벽에 구름이 없는 날 지면이 복사 냉각되어 역전층 생성
② 내륙 지방에 안개 형성
(3) 대기의 연직방향관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하시오.
지상으로부터 30km까지는 Raiwinsonde로 관측하며, 보다 높은 상층은 로켓을 사용하여 관측한다. 오늘날에는 전파를 이용한 상층관측 방법으로 원격탐사가 있다. 그 중 하나인 IS레이다는 고주파의 전파를 발사해서 전리층내의 자유전자에 의해 산란되어 지상에 되돌아오는 미약한 전파를 포착해서 공기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특히 현대에는 우주공간에 띄워 놓은 기상위성에 의한 관측이 활발하다. 기상위성에 있는 복사계로 탄산가스의 적외복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대기온도의 고도분포를 계산할 수 있다.
● Reference
-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1997, pp.133-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