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결시 사진의이해 지구 위기를 다루고 있는 사진가의 작품을 선택하여, 8개 의미요소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말결시 사진의이해 지구 위기를 다루고 있는 사진가의 작품을 선택하여, 8개 의미요소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20점] 지구 위기를 다루고 있는 사진가의 작품을 선택하여, 8개 의미요소로 분석하고, 사진가가 지구 위기를 해석하고 제안하는 바에 대해 논하시오.
선택하는 사진 작품은 한 장이어서는 안 되고, 하나의 주제로 촬영한 다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1) 사진에 대한 기본 정보(작가, 소재, 장소, 선정한 지구 위기, 주제 등)를 쓰고, 2) 교재의 사진의 의미요소 8가지 를 적용하여 사진을 분석, 설명하고, 3) 사진가가 지구 위기에 대해 어떻게 해석하고 있고, 우리에게 무엇을 제안 하는지 논하시오. 작가의 생각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반드시 포함하시오.

2. [19점] 뉴스사진(스팟뉴스와 일반뉴스 모두)과 피처사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정의와 사례를 포함)하고, 뉴스사 진과 피처사진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피처 사진이 될 수 있는 요소에는 일상생활 속 희로애락의 이미지, 어린아이의 모습, 자연환경을 표현한 이미지, 상상하기 어려운 부조화 등이 있다.
대비되는 특성을 가지는 두 사진을 본격적으로 비교해 보면, 뉴스 사진은 항상 새로운 것을 제시하며 시의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두는 반면, 피처 사진은 시간의 제약, 즉 시의성을 차치하며 새롭지 않아도 평범한 일상을 보여주는 것이 중점이다. 또한 중요한 차이점으로는 뉴스 사진의 경우 사건이 포토저널리스트를 조정하게 되는데, 피처 사진의 경우에는 포토저널리스트 본인이 주도하에 이미지를 기획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뉴스 사진은 촬영된 이미지가 사건에 종속될 수밖에 없고, 사실의 전달이 중점이 되기 때문에 포토저널리스트의 역할이 수동적이고 제한된다면, 피처 사진의 경우에는 포토저널리스트가 대상의 선정이나 이미지의 전달 등을 능동적이고 주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1- 1)
Foundation for the Exibition of photography. James Balog : Photographs from the Anthropocene. https://www.fep-photo.org/exhibitions/james-balog/
Honoring the futre. Climate Smarts. What you can do. James Balog. https://www.honoringthefuture.org/climate-smarts/artist-to-know/james-balog/
National Geographic. Science & Nature. James Balog on Disappearing Glaciers. https://www.nationalgeographic.com/photography/article/james-balog-on-disappearing-glaciers
Chasing Ice. https://chasingice.com/
2
日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녹아내린 핵연료 6년만에 촬영. 중앙일보. 문병주.https://www.joongang.co.kr/article/21779821. 2017.07.22.
사진으로 본 이재명 제21대 대통령 취임···\"통합정부·실용정부 실현\". 코리아넷뉴스. 이정우.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51588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6.18
  • 저작시기202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4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