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월드 이면에 숨겨진 이데올로기적 측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싸이월드 이면에 숨겨진 이데올로기적 측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싸이월드의 소개와 그 열풍

3. 싸이월드에 관한 설문조사

4. 싸이월드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측면
4-1. 개인주의
4-2. 공동체주의
4-3. 자본주의
4-4. 역기능(사생활 침해, 중독)

5. 요약 및 맺음말

본문내용

있는 이러한 그래프들이 누군가 자본의 가치를 지닌 선물이나 화폐인 도토리를 줌으로서 미니홈피라는 공간 안에서는 새로운 기호가 되어 결국 그 사용자의 됨됨이를 나타내는 척도라는 오류를 산출한다. 이러한 오류의 생산자 측면에서는 상업적 발상이 농후하지만, 이 오류의 소비자, 즉 사용자들은 무의식중에 이 다섯 가지 척도가 사람의 됨됨이를 평가하는 항목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그에 맞춰 행동하려 노력하는 꼴이 되어 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철저한 자본화·계량화된 개인의 평가지수는 곧 ‘인간성의 척도가 자본에 의해 계량화될 수 있다’는 또 다른 오류로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토리는 자신의 인격성 판단은 물론이며 상대방의 인기 점수를 올려주는 윈-윈 전략 (win-win stragety) 윈윈전략(win-win stragety) : 두 지역에서 일어난 전쟁을 동시에 승리로 이끈다는 미국의 전략을 말한다. 1991년 당시 국방장관이던 체니(Dick Cheney)와 파웰(Colin Powell) 합참의장이 주도한 군사보고서에서 처음 제기된 뒤, 1993년부터 공식적으로 채택되어 2001년 초반까지 군사분쟁에 대응하는 미국의 핵심전략 역할을 하였다.
처럼 작용한다. 도토리의 교환은 1촌 관계에서 빈번하게 일어난다. 빈번한 선물 교환이 일어날수록 랜덤 방문자의 수치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싸이 미니홈피에서의 모든 방문자의 답글이나 흔적에는 그 방문자의 홈피로 연결할 수 있는 링크가 마련돼 있다. 방명록은 바로 그런 역할을 충실하게 담당한다. 방명록을 통해 1촌은 더욱 확장할 수 있고, 확장된 가상의 인간관계만큼 도토리의 순환 역시 바빠진다. 그러나 이러한 도토리의 교환은 오로지 경제적 자본의 교환일 뿐이다. 이것은 화려한 시각적 아이템과 개인 평가지수에 의해 꾸준히 생산·소비되고 순환되고 조정된다. 운영진의 진정한 저의(底意)야 확실하진 않지만, 확실한 것은 이렇게 팔리고 있는 가상화폐는 하루에 1억원 어치에 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재작년 싸이월드 매출은 100억원. 지난해는 250억원 가량의 매출을 보였다. 회사 전체 매출 목표인 987억원의 25% 가량이다. 아이뉴스. 2004.04.06
재작년 IT업계에 수많은 인수합병(M&A)가 있었지만 SK커뮤니케이션과 싸이월드의 경우처럼 시너지(synergy) 시너지(synergy) : 분산상태에 있는 집단이나 개인이 서로 적응하여 통합되어가는 과정 또는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힘이나 효과
를 내는 경우는 드물었다. 도토리 한 개가 100원에 해당한다고 할 때, 이는 실로 엄청난 액수임에 틀림없다. 더구나 이 수입이 알짜배기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돈과 현물을 1:1로 교환하는 일반적인 매매와는 달리, 이는 가상의, 관념의 상품이므로 재료비도, 생산비도 들지 않으며 반품이나 재고 등의 위험요소조차도 없기 때문이다. 이는 1:1이라는 실제상의 매매체계가 무너져 있다는 것을 뜻하며, 증폭되어 가는 수요만이 시장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실제의 거래에선 불가능 하겠지만 싸이월드 안에서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하다. 단 한 치의 의심도 없이, 끊임없이 가상의 시각과 청각의 이미지 아이템을 사고 팔며 선물하고 수치를 올린다. 이런 현상은 오프라인에서도 벌어진다. 경품이 과거 문화상품권에서 싸이월드 도토리 교환권으로 교체되고 한 통신사의 20대 요금제에서는 아침마다 도토리 줍기라는 행사를 벌이고 있다. 상식적으로 일개 한 사이트의 가상화폐가 이토록 효용송이 커질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경제적 자본(돈)을 기호적 자본(도토리)으로 교환하는 것 사이에는 일종의 환율(exchange rate)이 존재한다. 그만큼 실제로 가진 돈이 있어야 싸이월드에서도 힘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여 다시 도토리로 변환하는 두 가지의 절차가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도토리 환전이라는 실제 세계에서의 소비 촉진을 요구하기도 하지만, 1년 전에 SK커뮤티케이션즈가 싸이월드를 합병하면서부터 고급 사용자가 되려면 여기에 OK cashbag, 그리고 Nate.com에 친숙해져야 한다. SK 관련 사용자일수록 특별한 대접을 받는 고급 사용자에 끼일 수 있는 것이다. 그들이 만들어 낸 논리는 교묘하게 포장된 1촌 제도와 개인 평가 지수를 통해서 ‘합법화’된다. 그리하여 SK커뮤니케이션즈는 싸이월드를 합병하기 전 해에 10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었다. 그런 회사가 사이버 도토리를 파는 것만으로 재작년 80억원을 벌어들였다. 한국인터넷마케팅연구회 \"인터넷 마케팅” 삼우사,2003,p397
요즘은 하루 1억원 이상의 도토리 판매 수익을 올릴 정도이다. 이에 따라 싸이월드는 SK커뮤니케이션즈의 재정을 튼실하게 하는 한편, 모기업의 OK캐쉬백 적립금(도토리 매출의 20%가량을 포인트로 구매)으로 인한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이용자들은 처음에는 현금 결제에 거부감을 느끼게 마련이다. 그래서 식구들의 OK캐쉬백 적립금을 도토리로 전환하며 미니룸 꾸미기를 시작하기도 한다. 집안에 싸이질하는 자녀가 한명만 있어도, ‘싸이질’을 하지 않는 식구들의 OK캐쉬백까지 연쇄 소진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카이스트 출신의 싸이월드 제작진의 계획이었던 것이다. 우리가 가상의 미니홈피에 현혹되어 도토리라는 화폐로 가상의 아이템들은 사는 동안 이익을 보는 당사자는 다름아닌 싸이월드이다. 음반스트리밍 때문이라는 그럴듯한 슬로건 아래 배경음악을 유료화하고 그 비용도 점점 올린다. 또 아이템이나 선물이라는 그럴듯한 포장으로 자신의 잇속을 채우고 있는 것이다. 사실 미니홈피의 경우 태그를 막아둔 것도 모두 이런 계산에 의해 있었던 것이다. 다음카페처럼 태그를 먹히지 않게 하여 그림파일을 끌어다 올 수도 없고 음악도 자유롭게 올릴 수도 없게 해둠으로서 한국인은 과시의식이 강하다는 그 심리를 꿰뚫었던 것이고 그것을 이용해서 싸이월드는 잇속을 챙기고 있다. 인간의 욕망을 이용하여 돈을 벌고 실재 세계에서는 있지도 않은 스킨이나 신비감을 연출하는 마우스 꽃비 같은 조잡한 이미지로서 현대사회에 사는 인간 개개인의 존재감을 표현한다고 우리를 쇄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3.2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