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동북공정이란?
3. 동북공정의 진행과정
4. 중국의 동북공정 의도
5. 중국의 주장내역과 우리의 주장
1) 기자조선은 역사적 실체 아닌 전설
2) 기원전 한강유역은 마한 땅이었다
3) 발해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독립국
4) 백두산 정계비 조작 주장
6. 우리의 대응방안
* 참고자료
2. 동북공정이란?
3. 동북공정의 진행과정
4. 중국의 동북공정 의도
5. 중국의 주장내역과 우리의 주장
1) 기자조선은 역사적 실체 아닌 전설
2) 기원전 한강유역은 마한 땅이었다
3) 발해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독립국
4) 백두산 정계비 조작 주장
6. 우리의 대응방안
* 참고자료
본문내용
중국의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응방안
☞ 목 차
1. 들어가며
2. 동북공정이란?
3. 동북공정의 진행과정
4. 중국의 동북공정 의도
5. 중국의 주장내역과 우리의 주장
1) 기자조선은 역사적 실체 아닌 전설
2) 기원전 한강유역은 마한 땅이었다
3) 발해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독립국
4) 백두산 정계비 조작 주장
6. 우리의 대응방안
* 참고자료
1. 들어가며
최근 변강사지연구중심 홈페이지에는 기자조선·부여·고구려·발해를 중국의 역사로 규정하고 한강 유역까지 중국 영토임을 주장하는 논문을 무더기로 올렸다. 급기야 지난 9월6일에는 백두산 천지에서 동계 아시안게임 성화를 채화하기에 이르렀다.
중국 사회과학원 웹사이트에 올라온 동북공정 18개 연구과제 때문에 2003년에 이어 ‘동북공정’ 2라운드가 시작된 형국이다. 차분히 대응하자는 목소리는 이번에도 애국주의 열풍에 묻혔다.
다시 불거진 동북공정에 대하여 논란과 쟁점을 문헌과 언론 보도
☞ 목 차
1. 들어가며
2. 동북공정이란?
3. 동북공정의 진행과정
4. 중국의 동북공정 의도
5. 중국의 주장내역과 우리의 주장
1) 기자조선은 역사적 실체 아닌 전설
2) 기원전 한강유역은 마한 땅이었다
3) 발해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독립국
4) 백두산 정계비 조작 주장
6. 우리의 대응방안
* 참고자료
1. 들어가며
최근 변강사지연구중심 홈페이지에는 기자조선·부여·고구려·발해를 중국의 역사로 규정하고 한강 유역까지 중국 영토임을 주장하는 논문을 무더기로 올렸다. 급기야 지난 9월6일에는 백두산 천지에서 동계 아시안게임 성화를 채화하기에 이르렀다.
중국 사회과학원 웹사이트에 올라온 동북공정 18개 연구과제 때문에 2003년에 이어 ‘동북공정’ 2라운드가 시작된 형국이다. 차분히 대응하자는 목소리는 이번에도 애국주의 열풍에 묻혔다.
다시 불거진 동북공정에 대하여 논란과 쟁점을 문헌과 언론 보도
소개글